공공서비스디자인 기반 퍼소나 구성요소의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framework of public service designbased persona components
- Abstract
- '정부 1.0'의 권위적인 행정체계에서 국민의 편의를 고려한 '정부 3.0' 행 정서비스로 변화하였고, 현대사회에서는 공공 부문 혁신의 요구가 중요시 되었다. 사용자 중심 디자인이 공공서비스 혁신과 효율성을 촉진하며, 다 양한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고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맥 락에서, 공공서비스디자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중심에는 '사용자'가 있다. 이 사용자의 이용 방식을 예측하고, 이해하는데 유용한 툴인 사용자 집단을 대표한 가상 사용자 ‘퍼소나’이다. 퍼소나를 제작 시에 어떤 구 성요소를 사용해서 제작을 할 것인가에 대한, 구성요소 우선순위에 대한 어려움과, 주어진 시간 내에 작성해야 한다는 다양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몇몇의 연구자들이 퍼소나 구성요소 프레 임워크를 제시하였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디지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UX디자인 분야였기에, 공공서비스디자인에 적용하기에는 사용자(수요자) 와의 접점(Touchpoint)이 맞지 않기에 적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 분야를 지방자치단체 대상 국민정책디자인단으로 범위를 설정하였다. 이후 선행연구들의 퍼소나 구성요소 프레임워크를 분 석한 뒤, 구성요소들을 분야 전문과들과 함께 선별, 수정, 추가, 검증 단계 를 거처 공공서비스디자인에 맞는 퍼소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공익 적 선택적 서비스라는 특성을 가진 국민정책디자인단 프로젝트의 성격을 분석하여, 본인 중심의 경험이 아닌‘수요자와’ 수요자를 둘러싸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경험’,‘지역성 파악’등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 를 크게 특성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작 용도 파악하였다. 이처럼 공공서비스디자인 퍼소나 제작 시 프로젝트의 상 황과 성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서비스디자인 퍼소나 프레임워크 연구 및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는 실제 퍼소나 적용 및 사 례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Author(s)
- 최소윤
- Issued Date
- 2024
- Awarded Date
- 2024-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공공서비스디자인, 퍼소나, 서비스디자인
- Publisher
-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65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44402
- Alternative Author(s)
- choe so youn
- Affiliation
-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dvisor
- 조정형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3. 연구흐름도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1. 공공서비스와 공공서비스디자인 6
가. 공공서비스의 정의 및 특징 6
나. 공공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이해 11
다. 공공서비스디자인 정책 모델 : 국민디자인단 14
2. 서비스 디자인 17
가. 서비스 디자인 정의 및 특징 17
나.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21
다. 공공서비스디자인 툴킷 : 국민정책디자인단 TOOL-KIT 23
3. 퍼소나 26
가. 퍼소나의 정의 및 특징 26
나. 퍼소나의 구성요소 29
다. 퍼소나 제작방법 및 종류 31
제 3 장. 연구방법 및 분석 33
1. 선행연구 35
가. 선행연구 결과 36
나. 한계점 및 시사점 40
2. 요소 선별 41
가. 전문가 구성과 가이드라인 41
나. 요소 선별 42
3. 요소 수정 45
4. 요소 추가 48
5. 검증 단계 53
가. 설문조사 방법 및 절차 53
제 4 장. 연구 결과 54
1. 설문 결과 54
가. 인구통계학적 기술통계 54
나. 신뢰도 분석 59
다. 요인 분석 60
라. 단일표본 T-검정 61
2. 분석 결과 63
가. 공공서비스디자인 퍼소나 외적 특성 구성요소 63
나. 공공서비스디자인 퍼소나 내적 특성 구성요소 63
다. 공공서비스디자인 퍼소나 경험 및 이해도 구성요소 64
라. 공공서비스디자인 퍼소나 행태 및 경향 구성요소 65
제 5 장. 결론 66
1. 요약 및 논의 66
2. 시사점 68
3.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의 과제 69
영문요약 70
참고문헌 72
부록 7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4-02-16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