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체험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과의존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숲 체험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과의존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통영시에 거주하는 스마트폰 과의존 초등학생 4-6학년 중 참여를 희망한 24명에 대해 학부모 동의를 거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2회 40분씩 총 8회기의 숲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스마트폰 과의존, 자기통제력, 또래관계 검사의 사전, 사후 검사를 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25 통계 프로그램과 공분산분석(ANCOVA)과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으며, 회기별 경험보고를 통해 양적분석 결과를 보완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감소되었다. 둘째, 숲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자기통제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숲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또래관계가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볼 때, 본 프로그램은 스마트폰 과의존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또래관계가 향상되어 스마트폰 과의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The aim of this paper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s' on the self-control and peer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tudents who were considered over-dependent on smartphones. Twenty-four 4th to 6th grade students living in Tongyeong-si, Gyeongsangnam-do,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12 studen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twice a week, for 40 minutes each, for a total of 8 times,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during the same perio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e- and post-test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self-control, and peer relationships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The SPSS25 program, along with covariance analysis (ANCOV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was employed to asses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were further supported by session-specific effects re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experienced a decrease in dependence on smartphones after particip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showed improved self-control after particip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showed improved peer relationships after particip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rogram confirmed that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control and peer relationships of students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reducing smartphone dependenc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Author(s)
- 서은영
- Issued Date
- 2024
- Awarded Date
- 2024-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숲 체험 프로그램, 스마트폰 과의존, 초등학생, 자기통제력, 또래관계
- Publisher
-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72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43099
- Alternative Author(s)
- SEOEUNYOUNG
- Affiliation
-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
- Advisor
- 천성문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가설 7
3.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1. 스마트폰 과의존 초등학생 10
2. 스마트폰 과의존 초등학생의 관련 변인 13
3. 숲 체험 프로그램 18
Ⅲ. 방 법 24
1. 연구대상 24
2. 실험설계 24
3. 측정도구 25
4. 절차 45
5. 자료처리 46
Ⅳ. 결 과 48
1. 양적 분석 48
2. 내용 분석 58
Ⅴ. 논 의 67
참고문헌 75
Abstract 90
부 록 92
1.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92
2. 자기통제력 척도 93
3. 또래관계 척도 96
4. 학부모 동의서 98
5. 숲 체험 프로그램 99
6.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 116
7. 숲 체험 프로그램 내용 타당도 평정 결과 11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교육컨설팅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4-02-16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