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홈 헬스케어 서비스 적용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mart Home Health Care Service for Active Seniors
Abstract
우리나라는 고령자의 인구 증가로 인해 2025년에는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예 측되었다. 이에 따라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도 다양해지고 있는 가운데 그중 생겨 난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는 소비, 여가 생활을 즐기고, 자녀에게 의존하던 전통적인 시니어와 다르게 독립하고자 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사 회적 고립과 연결되어 외로움 및 우울 증상을 겪는 시니어 수가 많아지고 있다. 오 늘날 기술 개발과 인프라의 급격한 확산을 통해 미래 환경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 다. 이러한 변화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환경과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사람과 환경, 제품, 서비스 등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경험과 가치는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게 되었다. 과거에 주로 공급자나 개발자의 입장이 중심이 되어 새로 운 기술 개발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무엇’을 제공하느냐가 중요하게 부각되어 왔다 면, 기술 개발이 보편화된 오늘날에는 사용자그룹인 사람들의 경험과 가치가 미래 의 생활을 예측하는 핵심요소가 되고 있으며, 오히려 새로운 서비스나 기술이 사용 자들의 요구에 따라 제안되어 개발되기도 한다. 코로나19에 대한 여파로 다양한 문 화 시설과 행사, 문화 활동에 제한이 생기면서 문화소비와 여가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액티브 시니어 세대는 다양한 문화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액티브 시니어 세대와 심층 면 담을 통해 현재까지의 액티브 시니어 문화 활동 경험과 코로나19 시기 이후 문화 활동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고령층 인구 급증과 ‘팬데믹’으로 인한 온 라인 기반의 언택트(Untact) 라이프스타일의 확산은 시니어들의 가장 큰 관심사인 건강과 취미생활 등의 영위에 있어서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이 중요한 이 슈가 되고 있으며 디지털 정보격차 문제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술 중심적 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는 ‘스마트 홈 헬스케어 서 비스’(Smart Home Healthcare Service)를 ‘인간 중심’ (Human-Centered) 패러다임 으로 전환시켜 액티브 시니어들의 감성적·심리적인 두려움까지 반영한 사용자 경험 (UX) 기반 서비스 개발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 적은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에 익숙한 액티브 시니어층을 대상으로 기술에 어려움 없이 적응하면서 독립적으로 건강을 관리하고 즐거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 ‘스마트홈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는 데 있 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고려하여 ‘Digital Active Senior’와 ‘Digital Inactive Senior’라는 두 개의 ‘페르소나’를 문헌연구와 필드 리서치에서 추 출한 니즈를 기반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다음 단계로는 이들 페르소나를 중심으로 시나리오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을 통해 ‘사용자 평가’(User Test; UT)를 진행 하여 최종 2개의 시나리오를 선별하여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 사 용자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2개의 시나리오 와 (원격진료) Assist Service for Digital Inactive Senior>는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제반 기술을 시나리오에 접목하 여 ‘액티브 시니어’ 사용자들이 집안에 머물러 있으면서도 가상세계로 들어가 건강, 즐거움, 자아실현 등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위드코로나(With Corona 19) 이후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홈 헬스케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제 안하였다. 시나리오 개발은 미래 디자인에 대한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함으로 미래 서비스를 보다 인간 중심적인 방향으로 디자인할 수 있도록 상상력을 넓혀 주는 것이 궁극 적인 목적이다. 본 연구는 향후 계속 증가하게 될 액티브시니어층의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디지털 문화가 익숙한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홈 헬스케어 사용자 시 나리오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액티브 시니어가 건강하고, 안전하며, 독립 적이고 활동적인 삶을 영위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제품 등의 개발에 기 여할 수 있을 것이다.
Author(s)
김진선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액티브시니어, 스마트홈, 미래선행디자인
Publisher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73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40557
Alternative Author(s)
Kim jinseon
Affiliation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dvisor
조정형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2.1. 연구내용 5
2.2. 연구방법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1. 액티브 시니어의 개념 9
2. 액티브 시니어의 특징 11
3. 시니어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13
3.1. COVID-19 이후 시니어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15
4.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 · 19
4.1. 액티브 시니어의 삶의 질과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19
4.2. 액티브 시니어 헬스케어 서비스 사례 23
제 3 장.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홈 헬스케어 사용자 니즈 27
1. 사용자 니즈 분석 · 27
1.1. 설문 조사 · 27
1.2. 설문 결과 분석 30
2.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홈 헬스케어 니즈 분석의 유형화 37
제 4 장.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홈 헬스케어 서비스의 사용자 시나리오 42
1.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홈 헬스케어 페르소나 42
1.1. 액티브 시니어 사용자 여정지도 51
2.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홈 헬스케어 사용자 시나리오 개발 57
2.1. 사용자 시나리오 평가(UT) 57
2.2. 사용자 시나리오 평가(UT) 결과 60
2.3. 사용자 시나리오 평가(UT) 종합분석 64
3.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홈 헬스케어 서비스의 사용자 시나리오 · 68
3.1. 사용자 시나리오 디자인 68
3.2. 디지털 액티브 시니어 사용자 시나리오 68
3.3. 디지털 인액티브 시니어 사용자 시나리오 75
4. 스마트홈 헬스케어 공간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 81
4.1. 디지털 액티브 시니어 스마트홈 헬스케어 공간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 81
4.2. 디지털 인액티브 시니어 스마트홈 헬스케어 공간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83
4.3. 사용자 시나리오 공간 서비스 요소 85
5. 사용자 시나리오 설계 요소 87
제 5 장. 결론 · 89
참고문헌 · 93
영문초록 · 97
부록 · 10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4-02-1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