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술혁신 활동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mpact of Management Strategy Types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management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on ESG evaluation ratings. ESG is widely used as an indicator of corporate sustainability.Previous research on management strategie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ESG primarily focused on financial performance. There is limited research examining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the management strategy types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into Prospector strategy and defender strategy type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omplex factors surrounding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and examined the impact on ESG evaluation ratings. Additionally, we examined whether companies’ innovation activities could be categorized as closed of open innovation for better control. We conducted an analysis on 90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that received an evaluation grade from the Korea ESG Standards Institute. The company’s management strategy score was derived from Fn Dataguid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patent information search servi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SG was analyzed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leading management strategy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grades of ESG integration (T), environmental (E), social (S), and governance (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 regulation effect in the impact of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on integration (T) and social (S) ratings. Several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since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SG evaluation, companie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ir non-financial performance by establishing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and reflecting ESG evaluation criteria well. Second, since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control effect on ESG (T) and social (S) ratings,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impact of ope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to prepare a response strateg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본 연구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써 “ESG”가 활용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과 기술혁신 활동이 ESG 평가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영전략, 기술혁신 활동, ESG와 관련된 연구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의 연관성이나 ESG 성과지표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ESG 활동과 경영전략,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을 함께 고려하여 이 요인들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약·바이오 기업을 둘러싼 여러 복잡한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을 선도형과 방어형으로 구분하고, ESG 평가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기업의 혁신 활동을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으로 세분화하여 조절작용을 할 수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한국 ESG 기준원의 평가등급을 받은 90개의 제약·바이오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Fn Data-Guide의 재무제표를 통 해 기업의 경영전략 점수를 도출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한국특허정보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술혁신 활동을 측정한 후 위계적 회귀모형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도형 경영전략은 ESG 통합(T), 환경(E), 사회(S), 지 배구조(G) 모든 등급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도형 경영전략이 통합(T)과 사회(S)등급에 미 치는 영향에서 개방형 혁신 활동이 부(-)의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의 시사점을 제약·바이오 기업에게 제시할 수 있다. 선도형 경영전략은 ESG 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기업은 선도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ESG 평가 기준을 잘 반영하여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개방형 혁신 활동이 ESG(T)등급과 사회(S)등급에 부정적인 조절작용을 보이고 있으므로 개방형 기술혁신 활동 추진함에 있어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uthor(s)
박세진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Keyword
경영전략, 제약바이오, ESG, 비재무적 성과, 기술혁신
Publisher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76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40484
Alternative Author(s)
PARKSEJIN
Affiliation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Departmen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Advisor
천동필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6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가설 설정 9
1. ESG와 경영 9
1) ESG 개념 및 현황 9
2) ESG 평가 11
2. 경영전략과 기업의 성과 12
1) 경영전략 12
2) 기업의 경영성과 15
3. 제약·바이오 산업의 특성과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 17
1) 제약·바이오 산업의 특성 17
2)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 19
4.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의 조절 효과 22
Ⅲ. 연구방법론 25
1. 연구의 데이터 및 변수 25
1) 연구의 대상 25
2) 자료의 수집 26
3) 변수의 정의 및 측정 28
2. 분석법 및 연구모형 33
1) 위계적 회귀분석 33
2) 연구모형 34
Ⅳ. 연구결과 37
1. 기초통계 37
2. 상관관계 분석 42
3. 분석결과 44
Ⅴ. 결론 54
참고문헌 59
부록 2022년 제약·바이오기업의 ESG 평가등급 · 72
영문초록 7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기술경영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4-02-1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