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中国独立音乐的演变过程研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중국 인디음악의 변화과정 연구
Abstract
중국의 인디음악은 1980 년대 개혁개방으로 인해 서구 인디음악이 도입되면서 등장하였다. 중국의 특수한 정치, 경제환경의 영향으로 중국 인디음악은 변화 단 계별 특징이 뚜렷하다. 본고는 중국 인디음악의 발전 단계를 1990 년대, 2000 년대, 2019 년 이후로 나누고, 각각의 특징을 ‘둥지 형성(筑巢)’, ‘레이블 창립(立牌)’, ‘외 연 확장(破圈)’으로 정리하였다.
제 1 장 서론에서는 본고의 연구 배경과 연구 의의를 서술하고 국내외 학자들의 선행 연구와 관련 이론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기초 이론을 선택 하여 연구의 틀을 확립하였다.
제 2 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 개념을 설명하였다. 본 장에서는 ‘중국 대중음악’ 과 ‘중국 인디음악’에 대한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를 요약정리하였고 ‘정치와 이 데올로기’, ‘진실성'이라는 개념을 추가하여 본고에서 다루는 다양한 개념을 보충 설명하였다.
제 3 장부터 제 5장은 본고의 본론 부분으로 중국 인디음악의 시기별 발전 단계 를 분석하였다. 특히 시기별 대표 사례를 선정하고 인터뷰하여 연구 내용을 보충 하였다. 1990 년대는 중국 인디음악의 이상향이 된 ‘쑤우춘(树村)’을 대표 사례로 선정하였다. 2000 년대는 중국 최대 인디 레이블인 ‘모던 스카이(摩登天空)’를 대 표 사례로 선정하였다. 2019 년이후의 디지털시대는 중국 인디음악의 ‘외연 확장 (破圈)’을 실현시킨 웹 예능 프로그램 ‘더 빅 밴드(乐队的夏天)’를 대표 사례로 선정하였다. 또한 자크 아탈리(Jacques Attali)가 제시한 소음음악의 정치경제학 이론을 적용하여 시기별 중국 인디음악의 발전 시스템을 탐구하고 동시에 진실성 의 즉면에서도 설명하였고 매 시기 중국 인디음악과 뮤지션들이 직면했던 위기와 활로를 분석하였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다시 한번 중국 인디음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여러 변수 와 진실성에 대해 논의하고 각 변수와 진실성 간의 고유한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중국 인디음악은 다양한 요인 변수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음을 발견하였다. 또는 각 장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고의 혁신적인 점과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본고의 단점도 지적하였다. |The origin of independent music in China can be traced back to the 1980s, influenced by the introduction of Western independent music as it entered China along with the wave of economic reform and opening up. Due to the unique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in China at that time, the evolution of independent music in China has distinct phases. The author summarizes it as the "Nesting" of independent music in the 1990s,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music in the 2000s, and the "Breaking Boundaries" of independent music in China after 2019.
The first chapter, the introduction, provides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previous studies, theoretical analysis, research methods, and the research framework. It also discusse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lars, selects relevant theories for this study, establishes the research framework, and introduces the innovations,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structure of the paper.
The second chapter, conceptual analysis, explains the main concepts involved in this study. It summarizes the viewpoints of both Chinese and foreign scholars regarding "Chinese popular music" and "Chinese independent music" and adds variables related to "politics and ideology" and "authenticity" to supplement the concepts covered in this paper.
Chapters three to five are the core of this research, where the development of Chinese independent music in different periods is analyzed. In the 1990s, it focuses on the analysis of "Shu Village," the utopian community of Chinese independent music. In the 2000s, it examines "Modern Sky," the largest independent music label in China. It also delves into the impact of internet-based variety shows like "The Big Band" that broke boundaries for Chinese independent music. Interviews with various subjects from different periods complement the analysis. Drawing from Jacques Attali's theory of the political economy of music, and added additional explan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authenticity, the development systems of Chinese independent music in different eras are analyzed.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development challenges and pathways faced by Chinese independent music and its artists in each period.
The last chapte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Chinese independent music and the authenticity are discussed agai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s analyzed. The development of Chinese independent music is the result of the combined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and continues to evolve under the collectiv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In addition the conclusion, sums up the preceding chapters, proposed the innov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t also pointed out the shortcomings in this study.|中国独立音乐的起源可以追溯至20世纪80年代,源于西方独立乐的传入与影响,随着改革开放的大潮传入中国。由于受到中国特殊的政治环境与经济环境的影响,中国独立音乐的演变过程呈现较为明显的阶段性特征。笔者将其总结成为1990年代中国独立音乐的“筑巢”、2000年代中国独立音乐的“立牌”与2019年之后中国独立音乐的“破圈”。
第一章序论部分包含了本次研究的背景与研究意义、先行研究、理论辨析、研究方法与研究框架。从中外学者的研究现状出发,选取本次研究的相关理论,确立本次研究的框架,同时对与本次研究的创新、方法思路与本次论文的结构安排等进行了相应的介绍。
第二章概念辨析部分解释了本次研究中所涉及的主要概念,本章总结了中外学者对于“中国流行音乐”与“中国独立音乐”的观点,并加入“政治与意识形态”与“真实性”两个变量对于本文所涉及的各类概念进行补充说明。
第三章至第五章为本次研究的本论部分,分别选取了中国独立音乐在不同时期的发展载体为分析对象进行了剖析,即,1990年代选取中国独立音乐的乌托邦——“树村”、2000年代选取中国独立音乐最大的厂牌“摩登天空”以及2019年以后新媒体时代使中国独立音乐实现“破圈”的网络综艺节目——“《乐队的夏天》”作为研究对象,并辅以不同时期不同的访谈对象进行补充说明。结合贾克·阿达利(Jacques Attali)的音乐的政治经济学理论,并从真实性的角度进行了补充说明,分析了不同时代中国独立音乐所处的发展系统,同时提出了每个时期中国独立音乐与中国独立音乐人面临的发展困境与进路。
最后一章结论部分再次对影响中国独立音乐发展的各种因素变量以及真实性进行了讨论,分析各变量之间的关系。中国独立音乐也在上述各种因素变量的共同作用下不断发展开来。除此之外也对前文进行了总结,在提出本次研究的创新与以后的研究方向之外,也指出了本次研究中存在的不足之处。
Author(s)
ZHANG XINPEI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77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8965
Affiliation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중국학과
Advisor
예동근
Table Of Contents
Ⅰ.序论 1
1.研究背景与研究意义 1
2.先行研究 . 4
3.理论辨析 16
4.研究方法 32
5.研究框架 35
Ⅱ.概念辨析 . 38
1.中国流行音乐 38
2.中国独立音乐 41
3.从政治性与意识形态上来看流行音乐与独立音乐 47
4.从真实性上来看流行音乐与独立音乐 51
Ⅲ.1990 年代中国独立音乐的“筑巢”——以“树村”的形成与解散为中
心 58
1.引子 . 58
2.树村再现 59
(1)树村形成之前的时代背景 59
(2)树村的形成 60
(3)树村的象征符号 . 68
(4)打口带与打口 CD 71
(5)树村的解散 74
3.从“再现(Representation)系统”向“作曲(Composition)系统”跨越的
尝试 78
4.1990年代中国独立音乐面临的困境与进路 90
5.本章小结 93
Ⅳ.2000 年代中国独立音乐的“立牌”——以独立音乐厂牌“摩登天空”
为中心 .96
1.引子 . 96
2.摩登天空 97
(1)“魔岩三杰”神话的破灭 97
(2)厂牌 98
(3)“北京新声”运动 101
(4)亚文化输出者的商业化探索 105
(5)“盗版+互联网”冲击下的商业垄断 107
(6)摩登天空产业链与版图扩张 108
(7)其他不得不提及的独立厂牌 114
3.“重复(Repetition)系统”与“作曲(Composition)系统”之间的摇摆116
4.2000年代中国独立音乐面临的困境与进路 129
5.本章小结 133
Ⅴ.新媒体时代中国独立音乐的“破圈”——以网络综艺节目《乐队的
夏天》为中心 136
1.引子 136
2.《乐队的夏天》引起的“破圈” 137
(1)《乐队的夏天》的角色扮演 137
(2)商业破圈 142
(3)跨界破圈 149
(4)网红破圈 151
(5)其他与独立音乐有关的综艺节目 . 162
3.从“破圈”到“作曲(Composition)系统” 164
4.新媒体时代中国独立音乐面临的困境与进路 176
5.本章小结 180
Ⅵ.结论 . 184
1.关于影响中国独立音乐发展的变量与真实性的再讨论 184
2.结论与展望 186
参考文献 . 189
附录:访谈对象汇总 198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중국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4-02-1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