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사업화역량 및 경영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usiness cap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s of SMEs: Focusing on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knowledge service companies in the Southeast region
- Abstract
-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play a crucial role as follows as a core component of our nation's economy. Firstly, in many countries, SMEs act as a major source of employment and hold a significant portion of jobs in specific industrial sectors. Secondly, SMEs play an essential role in introducing new ideas and technologies to the market, thereby promoting innovation, enhancing productivity, and vitalizing the national and local economies. Thirdly, SMEs expand the range of choices for consumers by offering a variety of products and services. Finally, SMEs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local communities, fostering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nd investments in these communities.
However, SMEs face considerable constraints in resources, infrastructure, and establishing competitiveness compared to large corporations.
In such an environment, they must possess unique and robust core competencies for continuous growth and sustaining competitiveness.
Numerous studies have activel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MEs' core competencies, as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usiness capability—on their performance.
Existing research on the core competencies of SMEs primarily focuses on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or spirit on technological outcomes. However, such studies are limited in explaining a company's ultimate goal of sustainable growth.
Consequently, this study, focusing on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knowledge service enterprises in the southeastern region, analyzed the impact of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usiness capability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utilized corporate data from the Korea Credit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first half of 2023.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were employed for hypothesis testing.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anagement capability of SMEs has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positively affects business capability,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dditionally, business capability positively influences financial performance, and a mediating effect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s essential for SMEs to achieve business success, with firms possess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likely to g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market. Moreover, SMEs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a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business capabilities for both short-term profits and long-term growth. Secondl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cross different industrial sectors revealed that the key factors determining business performance vary by industry. In manufactur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s a crucial factor, while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capabilities are more important. For knowledge service companies, brand recognition and service quality are seen as essential for sustainable growth. Thirdly, an analysis based on the age of the enterprise showed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s vital for start-ups, whereas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re crucial for more established companies. This implies that for continuous growth, SMEs need to identify key competencies appropriate for their business tenure and growth stage, and develop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 plans accordingly.
Therefo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MEs shoul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in their industry sector and business performance. They should also accurately assess their position in their growth stage to establish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Additionally, governments and related agencies should take the lead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detailed policy support measur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ME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다음과 같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첫째, 중소기업은 많은 국가에서 중요한 고용 원천으로 작용하며, 특히, 제조업 산업 분야에서 고용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을 시장에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혁신과 생산성 증대를 촉진하는 등 국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중소기업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은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사회적 책임과 지역사회에 대한 투자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비교하면 자원, 인프라 및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들만의 독특하고 강력한 핵심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중소기업의 핵심역량 중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및 사업화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까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기존 중소기업의 핵심역량에 관련한 선행연구는 경영자의 특성 혹은 기업가정신과 기술적 성과에 관한 영향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기업의 존재 목적인 지속가능한 성장과 수익 창출을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남권 소재 제조, 건설 및 지식서비스 기업들을 중심으로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및 사업화역량이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신용정보원의 2023년 상반기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1,786개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다변량 통계분석 방법인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분석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경영주역량은 사업화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혁신역량은 사업화역량,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업화역량은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의 사업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기술혁신역량을 갖춘 기업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소기업은 단기적인 이익 추구와 함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술혁신역량과 사업화역량을 결합하여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산업 분야별 구조적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각 산업 분야별로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제조기업과는 다르게 건설기업은 프로젝트 관리, 안전성 및 환경경영역량 등이 중요한 요인이며, 지식서비스기업은 브랜드 인지도나 서비스 품질이 지속가능한 성장의 핵심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업력별 구조적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창업기업은 기술혁신역량이 중요한 요인이고, 일반기업은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업경력과 성장단계에 맞는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전략과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들은 그들이 속한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핵심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신들의 성장단계에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나 관련 기관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분화된 정책적 지원방안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 Author(s)
- 진봉재
- Issued Date
- 2024
- Awarded Date
- 2024-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사업화역량, 재무성과, 비재무성과, 구조방정식모형, 중소기업
- Publisher
-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78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9422
- Alternative Author(s)
- Jin Bong Jae
- Affiliation
-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Department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 Advisor
- 이운식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2 연구의 방법과 구성 8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2
2.1 동남권 주요산업 12
2.2 경영주역량 28
2.3 기술혁신역량 35
2.4 사업화역량 42
2.5 재무성과 50
2.6 비재무성과 56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63
3.1 연구모형 63
3.2 연구의 가설 64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방법 77
Ⅵ. 실증분석 97
4.1 자료의 수집 97
4.2 빈도분석 98
4.3 기술통계량분석 104
4.4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reliability) 분석 105
4.5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09
4.6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122
4.7 매개효과분석 128
4.8 다중집단분석 131
Ⅴ. 결론 150
5.1 연구 결과의 요약 150
5.2 연구의 시사점 158
5.3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 161
참고 문헌 163
국내 문헌 163
해외 문헌 176
Abstract 184
부 록 187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기술경영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4-02-16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