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해양쓰레기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디자인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Upcycling Design Using Marine Waste - Focusing on the use of waste fishing nets and waste plastic -
Abstract
최근 여러 언론매체에서 지구의 환경에 대해서 연일 보도를 하고 있다.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에서 지 구가 끓는 가열화(Global Boiling)시대로 진행되고 있는 과정이다. 지구는 약 70%정도가 해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한반도는 바다에서의 삶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해양은 우 리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어류와 해산물등의 식량공급처이자 생활의 원천이다. 또한, 해양은 무한한 자정능 력이 있다는 인식에 많은 쓰레기들을 처분장소로 여겨져왔다. 해양쓰레기의 자원 활용의 일환으로 업사이클링(Up- cyling)을 통하여 새로운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을 찾고자 한다. 디자인 분야에서는 ‘그린 디자인(Green design)’ ‘친환경 디자인(eco- friendly design)’‘지속가능한 디자인 (Sustainable design)’등의 형태로 환경을 도모하는 디자인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해양쓰레기에 대한 개념과 정의, 폐어망과 폐플라스틱에 관련한 발생원인과 수거현황, 처리현황을 파악해 본다. 그리고 업사이클링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하여 업사이 클링의 개념과 정의, 진행과정을 알아보며, 산업 현황과 시장 규모, 경제적 가치를 파악하여 업사이클 링의 산업 규모를 알아본다. 폐어망, 폐플라스틱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해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지속가능성의 토대를 알아본다. 끝으로, 업사이클링 제품의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사용자 경험을 통하여 업사이클 링 제품의 인식을 개선시키며, 현행 어상자 사용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된 어상자 디자인을 제시하며 마무리 한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장,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범위와 방법, 연구 전개도를 제시한다. 제 2장, 이론적 고찰을 통해 해양디자인의 정의를 알아보고 해양쓰레기의 일반현황, 폐어망 일반현황, 업사 이클링 디자인 현황을 알아본다. 제 3장,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특성과 동향을 살펴보고,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국내‧외 사례분석과 폐어망‧폐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를 분석해 본다. 제 4장, 실증연구를 통해 어(漁)상자 개선을 위한 디자인 기획의도를 정하고, 어(漁)상자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축한다.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기초조사, 분석, 어(漁)상자 디자인, 어(漁)상자 발전단계로 디자인 진행을 한다. 제 5장,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며, 연구의 한계점, 미래 연구 전망을 제시한다. 친(親)환경의 시대를 지나 필(必)환경 시대가 우리에게 다가왔다. 지구의 환경이 해가 지날수록 악화되고 있 으며,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극복해 나가야 할 때가 왔다. 업사이클링은 환경에 대한 재투자와 버려진 해양 쓰레기에 디자인 요소를 가미하여,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버려지고 있는 해양쓰레기의 활용을 늘려 환경문제를 유도하는 친환경디자인에 대한 그 관심이 커지고 있 다. 또한,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완전히 새로운 관점으로 해양쓰레기 업사이클링을 고민한다면 쓰레기가 아닌, 소중한 자원으로 탈바꿈하고 있다는 것을 일깨우고 있는 것이다. 폐어망‧폐플라스틱 활용을 통하여 해양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데 기여를 할것으로 기대한다. 매년 해양쓰레기 의 수거량은 증가하고 있으나, 수거후의 처리문제로 관련 단체들은 많은 고민에 쌓여 있었다. 비록 수거되는 양 에 비해 활용되는 해양쓰레기는 미미할 수 있지만, 차츰 활용되는 양을 늘려나가면 해가 거듭할수록 많은 부분 을 차지할것으로 보인다. 폐어망과 폐플라스틱을 활용하여 업사이클링 어(漁)상자 디자인을 제시하여 기존 어(漁)상자들의 문제점들을 개 선한다. 개선되어진 폐어망 어(漁)상자를 제공함으로써 개선된 위생과 오랫동안 수산물의 신선도 유지를 할 수 있어 종사자와 소비자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소비자들과 관광객의 활발한 많은 방문으로 지역의 명소가 되며, 경제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Author(s)
이종해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Keyword
해양 디자인, 해양쓰레기, 폐어망,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어상자
Publisher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821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40771
Alternative Author(s)
Lee Jong Hae
Affiliation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dvisor
조정형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와 방법 3
Ⅱ. 이론적 고찰 5
1. 해양디자인이란 5
2. 해양쓰레기의 일반현황 7
2.1. 해양쓰레기의 개념 7
2.2. 해양쓰레기의 발생원인 9
2.3. 해양쓰레기의 문제점 10
2.4. 해양쓰레기 수거 및 처리 현황 12
2.4.1. 해양쓰레기 수거 현황 12
2.4.2 해양쓰레기 처리 현황 17
2.5 해양쓰레기섬의 원인과 문제점 17
2.5.1. 해양쓰레기섬의 원인 17
2.5.2. 해양쓰레기섬의 문제점 19
2.6. 해양쓰레기 관련 법규 19
2.6.1. 해양환경관리법 20
2.6.2.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법 23
3. 폐어망 일반현황 25
3.1. 폐어망 발생 원인 25
3.2. 폐어망 문제점 25
3.3. 폐어망 수거 및 처리 실태 26
4. 업사이클링 디자인 현황 28
4.1.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개념 28
4.2.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제작 공정 30
4.3. 업사이클링 디자인 산업 규모 31
4.4. 업사이클링 디자인 기업 현황 33
4.4.1. 해외 업사이클링 기업현황 33
4.4.2. 국내 업사이클링 기업현황 36
Ⅲ. 업사이클링 디자인 분석 41
1.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특성 41
2.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동향 42
3.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분석 44
3.1. 사례분석 요인 44
3.2.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분석 45
3.2.1. 프라이탁(Freitag) 45
3.2.2. ㈜ 우시산 50
3.3.3. 아디다스 팔리 런닝화 54
3.3.4 Focean(포션) 56
3.3.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조사 종합분석 58
Ⅳ. 실증연구 61
1. 어(漁)상자 개선을 위한 디자인 기획의도 61
2. 어(漁)상자 디자인 프로세스 61
3. 기초조사 (Research) 62
3.1. 국내 수산물 유통구조 62
3.2. 어(漁)상자 이용현황 62
3.2.1 나무 어(漁)상자 62
3.2.2 스티로폼 어(漁)상자 63
3.2.3 플라스틱 어(漁)상자 64
3.2.4 어(漁)상자 사용 비율 64
3.3. 어(漁)상자 종합 비교 분석 65
4. 분석 (Analysis) 66
4.1. 설문조사 개요 66
4.1.1 설문조사 목적 및 내용 66
4.1.2 설문조사 기간 및 과정 67
4.1.3 설문조사 대상 67
4.2. 설문조사 분석 68
4.2.1 어(漁)상자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 결과분석 68
4.2.2 업사이클링 제품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70
4.2.3 어(漁)상자 디자인 개선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72
4.3. 설문조사 종합 분석 73
5. 어(漁)상자 디자인(design) 75
5.1. 디자인 콘셉트 75
5.2. 1차 디자인 제안 76
5.2.1 아이디어 스케치 76
5.2..2 1차 디자인 시안 76
6. 어(漁)상자 개선(Develope) 77
6.1. 1차 디자인 문제점 분석 77
6.2. 1차 디자인 시안 의견을 수렴한 2차 아이디어 스케치 77
6.3. 최종 디자인 제안 78
Ⅴ. 결론 및 제안 82
1. 연구 결과 요약 82
2. 연구의 한계점 83
3. 향후 연구 전망 84
참고문헌 85
Abstract 87
부 록 90
용어 정의 94
감사의 글 9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4-02-1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