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황해 및 동중국해 조하대에서의 중형저서동물 군집 변동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f meiofauna community variation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continental shelf
Abstract
본 연구는 황해 및 동중국해 대륙붕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특 성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Chapter 1 에서는 중형저서동 물의 대한 일반적인 설명, 연구지역의 대한 해양환경 특징, 본 논문의 목적 을 간략히 설명하였다. Chapter 2에서는 계절의 따른 중형저서동물의 변동 성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Chapter 3에서는 황해 및 동중국해의 저층냉수대 를 포함한 황해의 광범위한 지역의 중형저서동물 군집 특성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Chapter 4에서는 황해 및 동중국해에 있는 과학기지 주 변해역에서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Chapter 5에서 는 해당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여 작성하였다. Chapter 2에서는 황해 대륙붕에 계절변동에 따른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특 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자 북위 35도, 36도, 37도에 위치한 황해 9 개 정점에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계절을 고려한 연간 조사를 수행하였 다. 2019년 4월에 9개 정점, 2020년 8월 6개 정점, 2021년 10월 9개 정점, 2022년 2월 9개 정점에서 춘계, 하계, 추계, 동계 4계절 조사를 진행하였으 며, 추계에 378 ± 52 inds./10 cm²로 가장 높았고 동계 260 ± 48 inds./10 cm²로 가장 낮았다. 중형저서동물 전체 서식밀도는 45 ~ 920 inds./10 cm² 의 값을 나타내었고 중형저서동물은 총 21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출현 분류군 중 최우점 분류군은 선충류로 총 서식밀도의 74.4%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저서성 요각류(8.4%), 저서유공충류(7.6%)순으로 나타났다. 분 류군별 서식밀도는 중형저서동물 전체서식밀도의 계절변동과는 다르게 나 타났다. 선충류는 춘계에 295 ± 41 inds./10 cm²로 가장 높았고 하계에 183 ± 37 inds./10 cm²으로 가장 낮았으며, 요각류는 추계에 36 ± 14 inds./10 cm²으로 가장 높았고, 동계에 19 ± 5 inds./10 cm²로 가장 낮았다. 중형저서동물의 수직적 분포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서식밀도가 169 inds./10 cm² (0∼1 cm), 136 inds./10 cm² (1∼2 cm), 80 inds./10 cm² (2∼3 cm)로 점 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저서 퇴적환경 오염도를 파악하기 위한 중형 저서동물을 활용한 N/C ratio, MPI, 지수를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지수들은 정점 및 계절별로 차이를 보였다. Chapter 3에서는 황해 및 동중국해의 황해저층냉수괴(YSCWM)가 있는 조 사지역에서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특성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 해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북위 32◦부터 37◦에 위치한 수심 18 ~ 105 m지 역에서 45개 정점의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해역의 중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34 ± 15 ~ 1610 ± 378 inds./10㎠범위로 나타났다. 중형저서동 물은 총 30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11개의 분류군 수를 보였다. 출현 분류군 중 최우점 분류군은 선충류로 총 서식밀도의 67.3%를 차지했 고, 다음으로 저서성 유공충류(12.0%), 저서성 요각류(8.8%) 순으로 나타났 다. 조하대에서 진행된 이번 연구의 결과 수심은 깊어질수록 중형저서동물 의 서식밀도는 감소하였다. 이번 연구의 퇴적상은 퇴적물 입도(particle size) 가 1.7 ~ 7.3 ø으로 sand의 구성이 100%인 정점도 있었고 silt의 구성이 90% 를 넘는 정점이 있어 다양한 퇴적환경에서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의 중형저서동물은 입도, 사질, 니질, 수심, 환경특성, 분류군 수 등 환경변수 간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형저서동물 군집은 TOC, TN, Hg와 같은 환경요소 가 적고 Sandy한 퇴적상에 서식밀도가 높고 많은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퇴적물의 입자의 크기가 작고 환경요소가 많이 포함된 환경에서 중형저서 동물의 서식밀도가 낮고 분류군수도 적게 출현하였다. 또한 황해 및 동중 국해에서 중형저서동물을 활용한 MPI 지수는 환경요인(TOC, TN, Hg)들과 상관성을 본 결과 높은 신뢰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냉수대 지역과 비 냉 수대 지역의 중형저서동물 군집은 차이가 있었다. 냉수대 또는 비 냉수대 지역 간에서도 중형저서동물 군집이 다르게 나타나 수온 외에 입도, 환경 요소 등에 따라서 하위 그룹으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저층 수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은 저서성 유공충으로 나타났다. 저서성 유 공충은 낮은 수온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이고 특히 저층냉수대 지역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Chapter 4에서는 황해 및 동중국해에 있는 과학기지 주변해역에서 중형저 서동물의 군집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기간에 서 중형저서동물 전체 서식밀도는 평균 208 ± 27 inds./10 cm²의 값을 나 타내었으며 중형저서동물은 총 19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출현 분류군 중 최우점 분류군은 선충류로 전체 서식밀도의 61.4%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으로 저서성 유공충류가 19.9%, 저서성 요각류가 10.1%순으로 나타났다. 분류군 별 서식밀도는 조사지역에 따라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는 평균 182 ± 23 inds./10 cm², 가거초 해양과학기지는 66 ± 13 inds./10 cm², 소 청초 해양과학기지는 295 ± 37 inds./10 cm²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지역별 군집구조의 유사도 및 차이를 확인하고자 MDS 분석을 진행하였다.
Author(s)
정민규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중형저서동물, 황해, 황해저층냉수대, 해양과학기지, 저서동물
Publisher
국립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82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8437
Alternative Author(s)
Jung min gyu
Affiliatio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Advisor
오철웅
Table Of Contents
Chapter 1. 종합 서론 1
1.1 중형저서동물이란 1
1.2 황해 연구지역의 특징 2
1.3 채집 방법 3
1.4 연구 목표 4
Chapter 2. 황해 대륙붕에서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계절 변동 5
2.1 서 론 5
2.2 재료 및 방법 6
2.3 결 과 8
2.3.1 환경 요소 8
2.3.2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11
2.3.3 우점 분류군 18
2.3.4 분류군 수 20
2.3.5 중형저서동물 크기 분포 23
2.3.6 중형저서동물 수직 분포 24
2.3.7 집괴 분석 . 28
2.3.8 상관 분석 . 30
2.3.9 중형저서동물 지수 32
2.4 고 찰 32
2.5 요약 및 결론 38
Chapter 3. 황해 및 동중국해의 냉수대 와 비냉수대 퇴적물에서의 중형저서동물 군집 특징 40
3.1 서 론 40
3.2 재료 및 방법 41
3.3 결 과 44
3.3.1 환경 요소 44
3.3.2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51
3.3.3 우점 분류군 62
3.3.4 분류군 수 63
3.3.5 중형저서동물 크기 분포 64
3.3.6 중형저서동물 수직 분포 66
3.3.7 중형저서동물 지수 67
3.3.8 집괴 분석 69
3.3.9 상관 분석 71
3.3.10 주성분 분석 73
3.3.11 냉수대와 비냉수대 간의 중형저서동물 군집 차이 74
3.4 고 찰 75
3.5 요약 및 결론 83
Chapter 4. 황해 및 동중국해 해양과학기지의 중형저서동물 군집 구조 84
4.1 서 론 84
4.2 재료 및 방법 85
4.3 결 과 88
4.3.1 환경 요소 88
4.3.2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90
4.3.3 가거초 해양과학기지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93
4.3.4 소청초 해양과학기지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94
4.3.5 중형저서동물 크기 분포 96
4.3.6 집괴 분석 99
4.4 고 찰 101
4.5 요약 및 결론 106
Chapter 5. 종합 토론 107
5.1 종합 토론 107
참고문헌 10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4-02-1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