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문화로서 동영상 밈 생산에 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f video memes production as a participatory culture :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with producers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significance of video meme creation as a new form of engagement in participatory culture and to explore distinctive features of it. To address this, this study focused on four main questions. First, what inspires video content creators to create memes? Are there any distinctive features in creating process? Second, does video meme production have a sense of everydayness? Third, are the video meme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Lastly, is video meme related to identity? Therefore, we aimed to discuss the reasons, everydayness, interaction, and identity of video meme creation comprehensively. To find out, this study has adopt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in-depth interviews. “Media users in their 20s to 50s who have at least five video memes on TikTok, Instagram Reels, or YouTube Short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one-on-one. First, the study has found six reasons for creating video memes: "Memes are fun and easy," "Expecting a financial reward," "Storing memories," "Account management,”“Showcasing hobbies and skills,"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Second, in terms of the everydayness of participation, unlike traditional text and image engagement, creating video memes is characterized by a certain activation in everyday life, as opposed to organizing or documenting everyday life. Third, in terms of interaction, creating video memes is characterized by interactions that are more like the formation of a mob than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that is strongly desired by traditional text and image engagement. However, creating video memes can lead to offline connections that has the potential to new, stronger bonds or communities. Lastly, in terms of identity, rather than having a deep conversation with 'myself' or having an identity that penetrates the core of 'myself', video meme creation is a matter of “Self”. In other words, seeing the reactions of video memes shown by others is characterized as an opportunity to meet 'myself', as if the light in the mirror falls on 'me'. Unlike traditional engagement with text and image, the creation of video memes, especially those that mimic the original video,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activeness and creativity of engagement. In that regard, this study has showed a midpoint of change in participation culture. This is why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research on the creation of video memes.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문화의 관점에서 동영상 밈 생산이 새로운 양상으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동영상 밈 생산이 독특성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주로 네 가지 쟁점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첫째, 동영상 밈 콘텐츠를 생산하는 생산자들이 어떠한 계기로 밈을 생산하게 되었는가? 그리고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특징이 있는가? 둘째, 동영상 밈이 일상성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셋째, 동영상 밈 생산들이 실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동영상 밈 생산이 정체성과 관련이 있는가? 즉, 동영상 밈 생산의 이유, 일상성, 상호작용과 정체성의 측면을 종합적으로 동영상 밈 생산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 인터뷰를 채택하였다. ‘최소 5개 이상의 동영상 밈 콘텐츠를 틱톡이나 인스타그램 릴스 또는 유튜브 쇼츠에서 보유하는 20대부터 50대 미디어 이용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일대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동영상 밈을 생산하는 이유는 ‘밈이 재밌고 쉽다’, ‘물리적인 보상 기대’, ‘추억 저장’, ‘계정관리’, ‘취미와 능력 발휘’, ‘심리적 만족감’ 6가지 이유로 발견되었다. 둘째, 참여의 일상성 측면에서는 기존의 텍스트 및 이미지 참여와 달리 매일의 일상을 정리하거나 기록하는 것보다는 동영상 밈 콘텐츠의 생산은 일상생활 중에 어떠한 이벤트화하는 특징을 가진다. 셋째, 참여의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동영상 밈 생산 과정에서 기존의 텍스트 및 이미지 참여에서 강조한 커뮤니티의 형성에 대한 강한 욕구보다는 오히려 몹(mob)의 형성에 가까운 상호작용의 특징을 가진다. 그렇지만, 동영상 밈 생산을 계기로 오프라인과 연결될 때 기존보다 더 강력한 새로운 유대감이나 커뮤니티의 형성 및 새로운 소셜을 만들어내는 가능성이 또한 가지고 있다는 지점을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참여의 정체성 측면에서는 ‘나’와 깊은 있는 대화를 나누거나 ‘나’의 본질을 꿰뚫은 정체성이라기 보다는 동영상 밈 생산은 단지 셀프(Self)의 문제이다. 즉, 동영상 밈 생산에 참여하고 이에 참여의 결과물이 남에게 보여지는 과정을 스스로가 다시금 보면서 마치 거울 속에 빛이 ‘나’에게 빠져드는 것처럼 ‘나’ 자신을 만나는 계기가 되는 특징이 있다. 동영상 밈 생산은 기존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활용한 참여와 달리 특히, 원본 영상이 있는 것을 모방한 동영상 밈을 통한 참여라는 점에서 참여의 적극성 및 창의성을 되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참여문화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간 지점으로서 본 연구가 동영상 밈 생산을 연구하는 것이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 Author(s)
- LI QINGMEI
- Issued Date
- 2024
- Awarded Date
- 2024-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밈, 동영상 밈, 참여문화, 일상성, 상호작용, 정체성
- Publisher
-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84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43593
- Alternative Author(s)
- LI QINGMEI
- Affiliation
-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Advisor
- 이소은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Ⅱ. 선행연구 검토 6
1. 인터넷 밈의 개념 6
2. 인터넷 밈에 관한 연구 9
3. 참여문화의 개념 11
4. 온라인 참여문화에 관한 연구 13
Ⅲ. 연구 방법 27
1. 연구설계 및 연구 참여자 27
2. 연구 참여자 정보 및 인터뷰 질문 항목 28
Ⅳ. 연구 결과 34
1. 인터뷰 참여자 특성 34
2. 동영상 밈 콘텐츠를 생산하는 이유 35
2.1 동영상 밈 콘텐츠를 처음에 생산하는 계기 35
2.2 동영상 밈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이유 37
3. 동영상 밈 생산을 통한 삶의 이벤트화 39
4. 몹과 같은 일시적인 회동의 상호작용 44
5. 셀프를 손쉽게 발견하게 되는 계기 47
6. 동영상 밈이 기존의 다른 참여와의 차이점 50
Ⅴ. 결론 52
1. 결과 정리 및 함의 52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55
Ⅵ. 참고문헌 56
국문 초록 6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4-02-16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