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국어 물명 어휘집 연구
- Alternative Title
- The study of a lexicon of a thing in modern Korean language : Classification of dictionary and the system of vocabulary
- Abstract
-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근대 국어 시기에 편찬된 어휘분류집 중에서 물명 어휘집으로 알려진 《才物譜》, 《物譜》, 《靑館物名攷》, 《物名攷》, 《廣才物譜》에 나타나는 어휘들을 대상으로 사전적 검토 및 어휘들의 의미적 체계를 살펴봄으로써, 근대 국어시기에자생적으로 나타나는 우리 민족의 사전이 지닌 특성을 규명하고, 사전편찬사에 관점 변화의 바탕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술되었다.
본 논문에서 밝혀진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물명어휘집들은 표제어항과 풀이항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사전적인 성격을 지닌 문헌들이다. 그러므로 물명어휘집은 사전이 지닌 실용성을 가지고 나타난 문헌들이다.
2. 물명어휘집들의 사전적 성격을 명확히 할 수 있었다.
《재물보》는 4부 6류 125항목의 3단 구조 속에 표제어 2,133항이 수록되어 있는 사전적 체제를 보이며, 《물보》는 2편 8부 49류 아래에 표제어 1,029항이 수록되어 있으며, 대다수의 정의항에 한글로 된 물명을 대응한 언해식 편찬법과 표제어에 어휘들을 대응한 순수어휘 사전으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청관물명고》는 22류의 가장 간단한 구조에 표제항 1,509개를 제시하고, 《물보》와 함께 순수 어휘사전으로 국어 어휘를 앞세우는 실용성을 보여 준다. 《물명고》의 영인본으로 우리에게 알려진 《물명고ㆍ물보》 속의 《물명고》는 일본인들에 의하여 새롭게 구성된 것이다. 표제어 701항이 5권 4류 14항목의 사전적 체제 속에 분류되어 있으며, 실생활에 필요한 동ㆍ식물, 무생물의 물명만을 수록하고 있음이 특징이며, 《광재물보》는 19세기 초 실학자에 의하여 쓰인 것으로 추정하며, 전체가 4권 35부로 구성되어 표제어 12,778항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물명어휘집은 사전적 성격으로 보아 모두 한자 어휘분류사전이면서 주석사전이고, 대역 사전이면서 이중어 사전이며, 선별형 언어사전으로서 공시적 언어사전이라는 점이 공통점이며, 《재물보》, 《물명고》, 《광재물보》는 백과사전적 언어사전이며, 《물보》와 《청관물명고》는 순수 언어(어휘)사전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3. 물명어휘집의 표제어들은 의미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되어 있다. 즉, 각 문헌의 표제어들은 부류로 제시된 의미영역에 의하여 묶이고 나누어져 있다.
물명어휘집의 표제어들을 통하여 나타나는 의미영역과 그 배열 순서에는 공통적인 분류 기준이 있었는데, 표제어를 분류한 체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가) 자연세계 - 天 / 地
나) 인간 세계 - 개인생활 / 사회생활
다)사물의 세계 - 생물( 식물 : 동물) / 무생물
이와 같은 물명어휘집의 의미 영역설정은 현대의 국어 분류사전과 국어 기초어휘 선정을 위한 국어 어휘의 의미분야 설정의 기준과도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물명어휘집의 편찬자들은 현대의 국어어휘론에서 어휘를 분류하는 이론과 동일한 인식을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4. 표제어에 대응하는 정의항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각 문헌별 특성을 볼 수 있었다.
물명어휘집의 정의항 유형은 크게 다른 단어로의 대치에 의한 정의항과 논리적ㆍ분석적 정의항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다른 단어로의 대치에 의한 정의항 유형은 《재물보》, 《물명고》, 《광재물보》의 경우 전체의 15% 내외, 《물보》과 《청관물명고》는 각각 88%, 71%로 나타나므로, 물명어휘집들은 뚜렷하게 두 가지 성격으로 구별되었다. 그러므로 《물보》와 《청관물명고》는 순수 어휘사전의 성격을 지닌다.
그리고 한자동의어와 국어어휘가 혼합되어 정의항에 대치된 경우에 《물보》는 반드시 한자동의어를 앞세우고 있으나, 그 외의 네 문헌은 국어 어휘를 앞세우고 있다. 특히 《청관물명고》는 《물보》를 참조하며 이루어졌으나 국어어휘와 한자어가 혼합되어 제시될 경우에 대조적으로 반드시 국어어휘를 먼저 보이고 있다.
논리적ㆍ분석적 정의항 유형은 《재물보》, 《물명고》, 《광재물보》에서 전체의 80%이상을 보였는데 주석 사전으로서의 성격이 드러난다고 하겠다.
《재물보》, 《물명고》, 《광재물보》에서 정의항에 대치한 국어어휘는 명사형이 대부분이었으며, 풀이말은 거의 한문으로 이루어졌는데, 《물보》에서 명사형을 벗어난 서술적 형태의 국어 풀이항이 13개 나타나고, 《청관물명고》에서 국어풀이형의 정의항은 240항이었다. 특히 국어풀이형으로 대치된 《청관물명고》의 표제항들은 신체부와 인도ㆍ기용부에 속하는 어휘들이라는 점에서 실학사상의 발달에 의한 실생활 부분의 어휘를 더욱 많이 정리하였고, 그 영향으로 국어풀이형의 정의항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5. 물명어휘집의 어휘 분류 체계는 거시구조에서나 미시구조에서 모두 의미적 계열관계에 의하여 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보》와 《청관물명고》는 순수어휘사전적 성격으로 인하여 거시구조인 류별 분류와 그 아래 제시된 표제항은 계열관계로 얽혀 있다. 그리고 《재물보》, 《물명고》, 《광재물보》는 거시구조에서나 미시구조 전체에서 계열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재물보》, 《물명고》, 《광재물보》는 거시구조에서나 미시구조 전체에서 계열관계와 결합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물명어휘집에는 의미적 계열관계에 의한 상하관계, 동의관계, 대립관계를, 그리고 결합관계에 의한 합성어와 연어를 보이고 있다.
상하관계는 부분-전체포섭 관계와 부류포섭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 두 관계는 서로 호환될 수 있었고, 대립관계는 《재물보》와 《광재물보》의 표제어와 하위어들에서 주로 확인되었는데, 반의 대립관계, 상보 대립관계, 방향대립관계를 보여 주고 있으며, 정감반의어와 대척어는 보이지 않고, 평가반의어가 가장 많았다. 《물보》는 사전적 체계의 대구조에 방향 대립관계와 상보 대립관계에 의한 의미장이 있었고, 《물명고》도 사전적 체계의 대구조에 유표성에 의한 상보적 대립관계에 의한 의미장이 있었다. 그리고 《재물보》, 《물명고》, 《광재물보》는 결합관계에 의한 합성어와 연어를 제시하며 의미를 확장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물명어휘집은 사전으로서의 체계를 갖추고 실학시대에 자생적 필요성에 의하여 나타난 사전의 초기 문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only for lexical examination but also for grouping the semantic system of the vocabularies in 《Jae-mul-bo》, 《Mul-bo》, 《Chung-kwan-mulmyung-ko》, 《Mulmyung-ko》 and 《Kwang-jae-mul-bo》 which are known as the lexicon of the name of a thing published in Korean modern language. By this process, it could be possible to look into the lexical characteristics seen in our national dictionaries and see how dictionary compilers' viewpoints had been changed.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xicon of the name of a thing are clarified. Judging from lexical features, the lexicon of the name of a thing is an annotation dictionary as well as a Chinese character classification dictionary, a dictionary with the translation, a bilingual dictionary, a select dictionary and a synchronic dictionary.Jae-mul-bo》,《Mulmyung-ko》and《Kwang-jae-mul-bo》are encyclopedic dictionaries.Mul-bo》and《Chung-kwan-mulmyung-ko》are pure vocabulary dictionaries.
2. The lemmas in the lexicon of the name of a thing are classified by meanings. That is, the lemmas of each document are grouped and classified by some meaning categories ; [nature world - sky and earth], [human world - individual life and social life], [object world - living things(plants and animals) and non-living things ]
3. Each characteristic in each document could be seen by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definers which correspond to the lemmas. The definers in the lexicon of the name of a thing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definers that are replaced with other words, the logical and analytical definers.There were 13 items of predicative Korean interpretations in 《Mul-bo》. They departed from noun forms. There were 240 items of definers of Korean interpretations in 《Chung-kwan-mulmyung-ko》. Especially, the lemmas in 《Chung-kwan-mulmyung-ko》substituted by Korean interpretations include the parts of body, implements and containers. From this point, it was possible to sort out vocabularies needed for a living by the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science. It might have had an effect on increasing the definers of Korean interpretations.
4. It could be made sure that the vocabulary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lexicon of the name of a thing was organized by a semantic system in both the macroscopic system and the microscopic system. The semantic system was found between the macroscopic system and the hyponymous lemmas in 《Mul-bo》 and 《Chung-kwan-mulmyung-ko》. The semantic system was found in both the macroscopic system and the microscopic system in 《Jae-mul-bo》,《Mulmyung-ko》and《Kwang-jae-mul-bo》.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to analyze the up and down relation, synonymy relation and antonym relation by the semantic system in the lexicon of the name of a thing.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could be made sure that the lexicon of the name of a thing is the document of the first stage which has the lexical system and appeared out of necessity of itself in the era of the practical science.
- Author(s)
- 이덕희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물명 어휘집 어휘 체계 사전적 분류 표제항 정의항 거시 구조 미시 구조 the lexicon of the name of a thing classification of dictionary the system of vocabulary a semantic system the macroscopic system the microscopic system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51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395
- Alternative Author(s)
- Lee, Duck-He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Advisor
- 박영준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선행 연구사 = 4
1.2.1 총괄적 연구 = 4
1.2.2 개별적 연구 = 8
1.2.2.1 전반적 연구 = 8
1.2.2.2 분야별 연구 = 11
1.3 연구의 방법과 구성 = 15
제2장 물명 어휘집에 대한 검토 = 17
2.1 물명어휘집의 사회문화적 배경 = 18
2.2 물명어휘집에 대한 문헌적 검토 = 22
= 2.2.1《재물보(才物譜)》23
= 2.2.2《물보(物譜)》26
= 2.2.3《청관물명고(靑館物名攷)》32
= 2.2.4《물명고(物名考)》33
= 2.2.5《광재물보》41
제3장 물명 어휘집의 사전적 검토 = 45
3.1 사전적 체제와 사전적 분류 = 45
3.1.1 사전적 체제 = 45
= 3.1.1.1《재물보》45
= 3.1.1.2《물보》48
= 3.1.1.3《청관물명고》53
= 3.1.1.4《물명고》57
= 3.1.1.5《광재물보》73
3.1.2 사전적 분류 = 77
3.2 표제어에 대한 분석 = 89
3.2.1 문헌별 표제어 비교 = 89
3.2.2 표제어의 분류 부류 = 97
3.2.3 표제어 분류의 기준 = 107
3.3 정의항의 유형 = 123
3.3.1《재물보》,《물명고》,《광재물보》의 정의항 = 124
3.3.1.1《재물보》의 정의항 = 125
3.3.1.2《물명고》의 정의항 = 131
3.3.1.3《광재물보》의 정의항 = 137
3.3.2《물보》와《청관물명고》의 정의항 = 143
3.3.2.1《물보》의 정의항 = 143
3.3.2.2《청관물명고》의 정의항 = 148
제4장 물명 어휘집의 어휘 체계 = 159
4.1 의미의 계열관계 = 163
4.1.1 상하관계 = 163
4.1.1.1 부분-전체포섭 관계 = 163
4.1.1.2 부류포섭 관계 = 168
4.1.2 동의관계 = 187
4.1.3 대립관계 = 191
4.2 의미의 결합관계 = 200
4.2.1 합성어 = 201
4.2.2 연어 = 204
제5장 결론 = 207
참고문헌 = 213
Abstrac = 397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