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남자 초등학생의 태권도 품새, 겨루기 선수 및 일반 수련생의 신체조성과 기초체력의 비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omparison of the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among Taekwondo Poomsae player,Kyorugi player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bstract
본 연구는 남자 초등학교 태권도 품새선수 12명, 겨루기선수 13명, 일반 수련생 13명을 대상으로 신체조성과 기초체력을 비교해보기 위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형태계측
1) 신장은 품새선수 147.33±7.25cm, 겨루기선수 146.31±7.23cm, 일반 수련생 148.61±6.75cm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체중은 품새선수 40.94±8.34㎏, 겨루기선수 39.73±7.53㎏, 일반 수련생 42.32±7.53㎏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신체조성
1) 체지방량은 품새선수 6.34±3.20kg, 겨루기선수 5.33±2.24kg, 일반 수련생 7.30±4.13kg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제지방량은 품새선수 34.61±5.90kg, 겨루기선수 34.42±6.02kg, 일반 수련생 35.03±4.47kg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체지방률은 품새선수 14.81±5.26%, 겨루기선수 13.07±3.92%, 일반 수련생 16.46±7.19%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제지방률은 품새선수 85.18±5.26%, 겨루기선수 86.94±3.96%, 일반 수련생 83.54±7.16%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체밀도는 품새선수 1.053±0.01g/㎖, 겨루기선수 1.056±0.01g/㎖, 일반 수련생 1.046±0.01g/㎖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기초체력
1) 근력(배근력)은 품새선수 54.19±14.95kg, 겨루기선수 50.08±16.85kg, 일반 수련생 50.94±17.05kg로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은 품새선수 39.33±9.12회, 겨루기선수 41.38±8.60회, 일반 수련생 41.62±4.91회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유연성(윗몸앞으로굽히기)은 품새선수 10.07±3.25cm, 겨루기선수 8.90 ±3.81cm, 일반 수련생 7.84±4.04cm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순발력(수직뛰기)은 품새선수 39.88±4.09cm, 겨루기선수 38.19±4.56cm, 일반 수련생 38.54±5.82cm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민첩성(사이드스텝)은 품새선수 20.33±2.27회, 겨루기선수 21.92±1.85회, 일반 수련생 17.85±3.00회로 나타났으며 품새선수와 겨루기선수 집단이 일반 수련생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05) 높게 나타났다.
6) 평형성(눈감고외발서기)는 품새선수 69.00±26.20, 겨루기선수 31.00±19.26, 일반 수련생 18.62±12.89 초로 나타났으며 품새집단이 겨루기선수와 일반 수련생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05)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aekwondo Poomsae player, Kyorugi player and general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Furthermore, it is to gain basic information regarding self discipline and the selection process in respect to the male Teakwondo player in elementary school.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measuring shapes, the Poomsae player were 147±6.75cm tall, the Kyorugi player 146.31±7.23cm and the general students 148.61±6.75cm.
2) About weight, the poomsae player were 40.94±8.34cm, the Kyorugi player 39.73±7.53cm and the general students 42.32±7.53cm.
3) In the comparison of fat mass, the Poomsae player were 6.34±3.20kg, the Kyorugi player 5.33±2.24kg and the general students 7.30±4.13kg.
4) In regard of fat-free mass, the Poomsae player were 31.61±5.90kg, the Kyorugi player 34.42±6.02kg and the general students 35.03±4.47kg.
5) With regard to %fat, the Poomsae player were 14.81±5.26%, the Kyorugi player 13.07±3.692% and the general students 16.16±7.19%.
6) On %fat-free mass, the Poomsae player were 85.18±5.26%, the Kyorugi player 86.94±3.96% and the general students 83.54±7.16%.
7) Concerning body density, the Poomsae player were 1.053±0.01g/ml the Kyorugi player 1.056±0.01g/ml and the general students 1.046±0.01g/ml.
8) In the comparison of muscular strength, the Poomsae player were 54.19±14.95kg, the Kyorugi player 50.08±16.85kg and the general students 50.94±17.05kg.
9) About muscular endurance, the Poomsae player were 39.33±9.12 times per a minute, the Kyorugi player 41.38±8.60 times per a minute and the general students 41.62±4.91 times per a minute.
10) About flexibility, the Poomsae player were 10.07±3.25cm, the Kyorugi player 8.90 ±3.81cm and the general students 7.84±4.04cm.
11) In the explosive muscular strength test, the Poomsae player were 39.88±4.09cm, the Kyorugi player 38.19±4.56cm and the general students 38.54±5.82cm.
12) In the agility test, the Poomsae player were 20.33±2.27 times per a minute, Kyorugi player 21.92±1.85 times per a minute and general students 17.85±3.00 times per a minute. The Poomsae player and the Kyorugi player showd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better results than the general students.
13) In the balancing test, the Poomsae player were 69.00±26.20 seconds, Kyorugi player 31.00±19.26 seconds and general students 18.62±12.89 seconds. The Poomsae player and the Kyorugi player showd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better results than the general students.
Author(s)
하명진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태권도 태권도 품새 겨루기 선수 기초체력 신체조성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51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403
Alternative Author(s)
Ha, Myeong-J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박형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연구문제 = 4
4. 연구의 제한점 = 4
5.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1. 태권도의 발달 = 6
2. 태권도 품새와 겨루기 = 8
1) 품새 = 8
2) 겨루기 = 10
3) 품새와 겨루기의 차이점 = 11
3. 태권도 품새 및 겨루기와 신체조성 = 13
4. 태권도 품새 및 겨루기와 기초체력 = 14
Ⅲ. 연구방법 = 16
1. 연구대상 = 16
2. 연구기간 = 16
3. 측정항목 = 17
4. 측정도구 = 17
5. 측정방법 = 18
1) 형태계측 = 18
2) 신체조성의 측정 = 18
3) 기초체력의 측정 = 18
6. 통계처리 = 20
Ⅵ. 연구결과 = 21
1. 형태계측의 비교 = 21
1) 신장의 비교 = 21
2) 체중의 비교 = 22
2. 신체조성의 비교 = 23
1) 체지방량의 비교 = 23
2) 제지방량의 비교 = 24
3) 체지방률의 비교 = 25
4) 제지방률의 비교 = 25
5) 신체밀도의 비교 = 26
3. 체력의 비교 = 27
1) 근력(배근력)의 비교 = 28
2) 근지구력(윗몸 일으키기)의 비교 = 28
3) 유연성(윗몸 앞으로 굽히기)의 비교 = 29
4) 순발력(수직뛰기)의 비교 = 30
5) 민첩성(사이드 스텝)의 비교 = 30
6) 평형성(눈감고 외발서기)의 비교 = 31
Ⅴ. 고찰 = 32
1. 형태계측의 비교 = 32
1) 신장의 비교 = 32
2) 체중의 비교 = 33
2. 신체조성의 비교 = 34
1) 체지방량의 비교 = 34
2) 제지방량의 비교 = 35
3) 체지방률의 비교 = 36
4) 제지방률의 비교 = 37
5) 신체밀도의 비교 = 38
3. 체력의 비교 = 38
1) 근력(배근력)의 비교 = 39
2) 근지구력(윗몸 일으키기)의 비교 = 40
3) 유연성(윗몸 앞으로 굽히기)의 비교 = 41
4) 순발력(수직뛰기)의 비교 = 42
5) 민첩성(사이드 스텝)의 비교 = 42
6) 평형성(눈감고 외발서기)의 비교 = 43
Ⅵ. 결론 = 45
1. 형태계측 = 45
2. 신체조성 = 45
3. 기초체력 = 46
참고문헌 = 4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체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