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시아 항만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Northeast Asia Ports : focused on DEA model
- Abstract
- 본 논문의 목적은 동북아시아 항만에 대해 효율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항만이 되기 위한 효율적인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동북아시아 항만에 대해 DEA모형을 적용시켜 효율성 분석을 하였다. DEA모형은 선형계획법에 근거하여 일반적으로 생산 가능집합에 적용되는 몇 가지의 공준을 가지고 평가대상의 경험적인 투입요소와 산출물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경험적 효율적 프론티어를 도출한 후 평가대상들이 효율성 프론티어상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의 여부로써 비효율성을 측정한다. 이 방법은 다양한 산출물과 여러 가지 투입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 상대적 효율성 값을 도출하여 그 과정에서 각각의 산출물 또는 투입요소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가중치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 아니라 비효율성이 어느 부문에서 발생하며 그 크기가 얼마 정도인지에 대한 수치적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경영자가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DEA-CCR모형, DEA-BCC모형, 그리고 규모효율성을 통해 3년(2003년-2005년)동안 동북아시아 22개 항만에 대해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mplement an empirical research about the efficiency of Northeast Asia pots, and to suggest an effective strategy which can operate these ports more well.
This study tries to apply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odel to Northeast Asia ports. DEA is an efficiency evaluation model based on mathematical programming theory. DEA offers an alternative to classical in extracting information from sample observation. DEA optimizes each individual observation with the objective of calculating a discrete piece-wise frontier determined by the set of Pareto efficient decision making units(DMUs). DEA analysis can involve multiple inputs as well as multiple outputs in its efficiency valuation. This makes DEA analysis more suitable for port efficiency measurement because ports produce a number of different outputs. Furthermore,DEA provides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efficient and inefficient units, as well as the efficiency scores and reference sets for inefficient units.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ve efficiency of 22 ports in Northeast Asia for 3 years from 2003 to 2005 through DEA-CCR,DEA-BCC model and scale efficiency.
- Author(s)
- 권신혜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동북아시아 항만 항만효율성 DEA모형 DEA분석 항만의기초자료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52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417
- Alternative Author(s)
- Kwon, Sin-Hy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 Advisor
- 하명신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1.1. 연구배경 = 1
1.2. 연구목적 및 구성 = 3
제2장 동북아시아 항만의 현황 및 특징 = 4
2.1. 중국의 주요 항만의 현황 및 특징 = 4
2.2. 일본의 주요 항만의 현황 및 특징 = 10
2.3. 대만의 주요 항만의 현황 및 특징 = 10
2.4. 한국의 주요 항만의 현황 및 특징 = 11
제 3장 효율성의 개념 = 13
3.1. 효율성의 정의 = 13
3.1.1. 효율성의 정의 = 13
3.1.2. 효율성과 유사한 용어에 대한 정의 = 13
3.2. 효율성의 측정방법 = 15
3.3. 항만효율성 = 18
3.3.1. 항만 효율성의 정의 = 18
3.3.2. 항만 효율성의 종류 = 19
제 4장 DEA모형 = 20
4.1. DEA모형의 개념 = 20
4.2. DEA모형을 이용한 효율성 측정 = 22
4.2.1. DEA모형의 기존연구 = 22
4.2.2. DEA모형의 전개 = 27
제5장 DEA모형의 적용결과 = 31
5.1. DEA분석을 위한 동북아시아 항만의 기초자료 = 31
5.1.1.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의 선정 = 31
5.1.2. 평가대상의 선정 = 33
5.2. DEA분석결과 = 38
5.2.1. DEA-CCR모형에 의한 분석결과 = 38
5.2.2. DEA-BCC모형에 의한 분석결과 = 50
5.2.3. 규모의 효율성 분석결과 = 62
제6장 결론 = 66
참고문헌 = 6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