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동해 남서부 고리 주변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섭식생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pecies composition and feeding ecology of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Kori, Korea
Abstract
2005년 1년간 매월 소형 기선저인망을 이용하여 고리연안에서 출현하는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을 조사하였으며, 주요 어종의 출현 양상과 섭식 생태를 밝혔다.
조사 기간 동안 총 41과, 73종, 7,030개체가 연구해역에서 채집되었다. 반딧불게르치, 청어, 열동가리돔, 줄비늘치, 꼼치, 황아귀, 점넙치, 갈치, 참서대, 게르치, 웅어 등이 우점하였다. 주요 어종 가운데 황아귀, 참서대, 꼼치, 점넙치는 주로 해저 바닥에서 서식하는 반면, 반딧불게르치, 열동가리돔, 청어, 게르치, 줄비늘치, 갈치, 웅어는 수층에서 서식함으로써 서식지 분할이 일어났다.
주요 어종의 월별 출현량 변동을 살펴보면, 부어류의 경우 반딧불게르치는 3월에 최대 출현량을 보였으며, 열동가리돔은 1월과 5월, 청어와 게르치는 5월에 최대 출현량을 보였다. 그리고 줄비늘치는 7월, 갈치는 가을에 출현량이 높았으며, 웅어는 10월에 최대 출현시기를 보였다. 저어류의 경우 황아귀는 5월에서 7월까지 높은 출현량을 보였으며, 참서대와 꼼치의 경우 5월에 최대 출현량을 보였으며, 점넙치의 경우 12월에 높은 출현량을 보였다. 이는 본 조사해역이 여러 종들에 의해 시기적으로 분할되어 이용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주요 어종 어종의 먹이조성의 유사성을 비교해 본 결과, 6개의 섭식 그룹으로 구분이 되었다. 첫 번째 그룹은 어류식자로 황아귀와 점넙치가 속하였고, 두 번째 그룹은 어류-새우류식자로 갈치와 반딧불게르치가 속하였고, 세 번째 그룹은 새우류식자로 웅어, 꼼치, 줄비늘치와 열동가리돔이 속하였다. 그리고 네 번째 그룹은 난바다곤쟁이류-어류식자로 게르치가 속하였고, 다섯 번째 그룹은 새우-난바다곤쟁이류식자로 청어가 속하였고, 여섯째 그룹은 단각류-기타생물식자인 참서대가 속하였다. 이와 같이 주요 어종들이 먹이 생물의 이용에 있어 어느 정도 분할을 보이고 있지만 동일한 섭식 그룹에 속하는 어종 사이에는 먹이자원을 두고 경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같은 섭식 그룹에 속하는 대부분의 어종들이 1년 중 출현 시기를 달리함으로써 먹이 경쟁을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리 주변 해역에서 출현하는 어종 사이에 공간적, 시기적, 그리고 먹이자원의 이용에 있어 분할이 잘 이루어진 결과 고리 해역에서 출현하는 어종들이 서로 경쟁을 피하며 공존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feeding ecology of dominant fish species in the coastal waters off Kori, fish samples were collected by an otter trawl monthly through a year of 2005.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7,030 fishes belonging to 73 species in 41 famili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Acropoma japonicum, Clupea pallasii, Apogon lineatus, Colelorinchus multispinulosus, Liparis tanakai, Lophius litulon, Gadus macrocephalus, Pseudorhombus pentophthalmus, Trichiurus lepturus, Cynoglossus joyneri, Repomucenus valenciennei, Scombrops boops and Coilia nasus. Demersal fishes such as L. litulon, C. joyneri, L. tanakai and P. pentophthalmus inhabit on the bottom area, while pelagic fishes such as A. japonicum, A. lineatus, C. pallasii, S. boops C. multispinulosus, T. lepturus, and C. nasus inhabit in the water column above the bottom.
Temporal partitioning among fish species was a noticeable characteristic in the study area: For pelagic fish species, A. japonicum showed a peak abundance in March, A. lineatus in January and May, C. pallasii and S. boops in May, C. multispinulosus in August, T. lepturus in Autumn, and C. nasus in October. On the other hand, for demersal fish species, L. litulon showed a peak abundance from May to July, C. joyneri and L. tanakai in May, P. pentophthalmus in December.
According to similarities of the composition of diets, 11 major fish species can be divided 6 feeding groups: The first group ("fish feeder") was composed of L. litulon and P. pentophthalmus, the second group ("fish-shrimp feeder") was composed of T. lepturus, and A. japonicum, the third group ("shrimp feeder") was composed of L. tanakai, A. lineatus, C. multispinulosus and C. nasus, the fourth group ("euphausiid-fish feeder") was composed of S. boops, the fifth group ("shrimp-euphausiid feeder") was composed of C. pallasii, and the last group ("amphipod-other organism feeder") was composed of C. joyneri. This results implied that there was trophic segregation among major fish species. There might be some interspecific competitions for food resources among fish species belonging to the same feeding groups. However, these species showed different seasonal abundance patterns with different times of peak abundance to avoid competitions for food resources.
In conclusion, resource partitionings, i.e. spatial, temporal and trophic separation, seem to be the mechanisms for coexistance of many fish species and permit use of the study area with reduced competition for major prey organisms among these concentrated.
Author(s)
추현기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고리 어류 종조성 섭석생태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Kori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53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419
Alternative Author(s)
Choo, Hyun-Gi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학과
Advisor
허성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4
Ⅱ. 재료 및 방법 = 8
Ⅲ. 결과 및 고찰 = 12
1.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 12
1-1. 수온과 염분 = 12
1-2. 어류의 종조성 = 12
1-3. 계절변동 = 17
1-4. 주요 어종의 출현양상 = 19
1-5. 출현양상에 따른 어종의 구분 = 32
1-6. 고찰 = 36
2. 주요 어종의 식성 = 41
2-1. 반딧불게르치 (Acropoma japonicum) = 41
2-2. 청어 (Clupea pallasii) = 44
2-3.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 50
2-4. 줄비늘치 (Coelorinchus multispinuloasus) = 55
2-5. 꼼치 (Liparis tanakai) = 60
2-6. 황아귀 (Lophius litulon) = 65
2-7. 점넙치 (Pseudorhombus pentophthalmus) = 70
2-8. 갈치 (Trichiurus lepturus) = 75
2-9. 참서대 (Cynoglossus joyneri) = 80
2-10. 게르치 (Scombrops boops) = 85
2-11. 웅어 (Coilia nasus) = 88
2-12. 고찰 = 94
Ⅳ. 종합고찰 = 100
Ⅴ. 요약 = 109
Ⅵ. 참고문헌 = 111
Appendix = 121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해양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