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액비료화를 위한 미생물의 순수분리,동정 및 어분 폐액의 호기적 생물분해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and their aerobic biodegradation of fish-meal wastewater for liquid-fertilization
Abstract
최근 수산가공업의 발달에 따라 환경오염은 나날이 심각해져가고 있고, 특히 횟집이나 수산물 가공공장 등에서 나오는 수산폐기물은 해양오염의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수산폐기물은 고급 사료로 이용되는 fish meal을 생산하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지만, fish meal제조공정에서 악취를 함유한 wastewater (FMW)가 발생되고 있어 이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MW를 액비로 활용하기 위해서 FMW의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시키기 위해 7종의 호열성 균주들이 분리되었다. 이들을 16S rDNA sequencing을 이용해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 Bacillus licheniformis, Brevibacillus agri, Bacillus coagulans, Bacillus circulans, Bacillus anthracis, Bacillus fusiformis 로 나타났다.
이 7종의 혼합균주를 이용하여 5l 반응기에서 FMW의 호기적 생분해 반응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호기적인 조건하에 8배 희석한 FMW에서 COD_(cr)와 TN제거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다. 8배 희석한 FMW의 반응 후 산물의 아미노산 성분을 분석한 결과, 반응 전보다 아미노산 함량이 2배정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식물독성 영향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반응최종 산물의 seed germination index를 조사한 결과, 낮은 GI 수치를 보였다. 식물독성영향을 줄이고자 32배 희석한 FMW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그 결과, 악취가 많이 제거되었으며 COD_(cr), TN, NH4^(+)-N의 농도가 평균적으로 1415.8, 164.6, 15 mg·l^(-1)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반응산물을 2배 희석하게 되면 GI값이 높은 수치로 안정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fish meal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FMW는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생물학적인 처리로 고부가 가치의 액비로 재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uthor(s)
김정보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액비료화 미생물 순수분리 어분 폐액 생물분해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59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501
Alternative Author(s)
Kim, Jeong-B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물공학과
Advisor
김중균
Table Of Contents
Ⅰ. INTRODUCTION = 1
Ⅱ. MATERIALS AND METHODS = 4
1. Isolation of useful microorganisms = 4
2. Tests of antagonism and salt effect on growth = 5
3. Identification of useful isolates = 6
4. Aerobic biodegradation by screened isolates = 8
5. Analytical Methods = 12
6. Seed germination test = 13
Ⅲ. RESULTS AND DISCUSSION = 15
1. Screening of useful microorganisms = 15
2.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 16
3. Effects of oxygen and dilution ratio on biodegradation of FMW = 19
4. Biodegradation of FMW in a bioreactor and properties of final broth = 26
Ⅳ. CONCLUSION = 37
Ⅴ. ACKNOWLEDGEMENT = 39
Ⅵ. REFERENCES = 4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생물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