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연령구조모델을 사용한 남방참다랑어 (Thunnus maccoyii)의 자원평가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ock assessment of southern bluefin tuna (Thunnus maccoyii), using age-structured model
Abstract
남방참다랑어는 다랑어류 중에서도 생물학적으로나 경제학적으로 중요한 종중의 하나이다. 1961년 8만 5천톤으로 가장 높은 어획량을 나타낸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가입량 및 산란자원량의 수준도 크게 감소하고 있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구조 모델인 MULTIFAN-CL 모델을 사용하여 남방참다랑어의 자원평가를 하였다 (Fournier et al., 1998). 본 연구에서는 3개의 해역 및 5개의 어업에 따라 1965년에서 2004년까지의 어획량, 노력량, 체장빈도 및 표지 자료를 분기별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순간자연사망계수 (M)은 CCSBT에서 사용되는 0.14/년 대신에 Zhang and Megrey 방법에 의해 추정된 0.103/년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남방참다랑어 회유 및 파라미터 추정에 있어서 불확실성에대한 자원변동을 알아보고자, 회유 및 순간자연사망계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하였다. 1965년 이후, 남방참다랑어의 자원량 및 가입량은 뚜렷이 감소하고 있는 경향을 나타냈다. 생물학적 기준점에 의해 추정된 ABC는 5,375톤으로 추정되었다.
Southern bluefin tuna (Thunnus maccoyii; SB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una species in terms of the significance in the ecology and the economy. Catches were highest in 1961 with 85,000mt, but declined substantially as the catch rate dropped. Recent studies indicated that there were large declines in spawning biomass as well as in recruitment. In this study, a stock assessment of SBT was carried out using the age-structured MULTIFAN-CL model. Catch, effort, length-frequency and tagging data were stratified by quarter (for the period 1965~2004), by three model regions and by 5 fisheries to be used in the analysis.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natural mortality (M) of SBT estimated from the Zhang and Megrey method was 0.103/year. The sensitivity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uncertainty of two parameters, that is, movement and natural mortality. Results showed that biomass and recruitment of SBT had significantly declined after 1965. The acceptable biological catch (ABC) was estimated to be 5,375 ton,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Author(s)
권유정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남방참다랑어 연령구조모델 Thunnus maccoyii age-structured model southern bluefin tuna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60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507
Alternative Author(s)
Kwon, You-J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수산해양학ㆍ연협동과정
Advisor
장창익
Table Of Contents
Abstract = 1
서론 = 3
1. 다랑어류 종류 및 관리위원회 = 3
1.1 눈다랑어 = 3
1.2 날개다랑어 = 4
1.3 황다랑어 = 5
1.4 가다랑어 = 5
1.5 참다랑어 = 7
2. 다랑어류 자원평가 방법 = 10
2.1 생산량모델 = 10
2.2 연령구조모델 = 12
2.3 평가방법의 장단점 = 20
2.4 MULTIFAN-CL 모델 = 22
3. 연구목적 = 22
자료 및 방법 = 24
1. 자료의 재구성 = 24
1.1 해역의 정의 = 24
1.2 시간의 정의 = 24
1.3 어업의 정의 = 26
1.4 어획량과 노력량 자료 = 26
1.5 체장빈도 자료 = 26
1.6 표지 자료 = 29
1.7 순간자연사망계수 = 29
2. 개체군 역학모델 = 31
2.1 연령구조 모델 = 31
2.2 회유 = 32
2.3 체장(L)-체중(W) 관계 = 36
2.4 성장식 = 37
2.5 선택성 = 38
2.6 어획능률 = 39
2.7 순간어획사망계수 = 40
2.8 표지-재포 역학모델 = 41
2.9 자원량 및 산란자원량 추정 = 42
2.10 산란자원량-가입량 관계 = 43
2.11 적정어획사망계수 및 적정어획연령 = 44
2.12 생물학적허용어획량 (ABC) = 46
3. 민감도 분석 = 47
3.1 회유에 대한 민감도 분석 = 47
3.2 순간자연사망계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 = 50
결과 = 52
1. 입력자료의 검정 = 52
1.1 어업별 어획량 = 52
1.2 어업별 체장빈도 = 54
1.3 표지-재포 = 55
2. 파라미터 추정 = 55
2.1 회유율 = 55
2.2 체장-체중 관계 = 55
2.3 성장식 = 58
2.4 선택성 및 어획능률 = 63
3. 자원평가 결과 = 63
3.1 순간어획사망계수 = 63
3.2 자원량 = 71
3.3 가입량 = 74
3.4 산란자원량-가입량 관계 = 77
3.5 적정어획강도 및 어획개시연령 = 81
3.6 생물학적 기준점 및 생물학적허용어획량 = 82
고찰 = 89
요약 = 94
참고문헌 = 9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산해양학연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