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日帝下 金法麟의 佛敎革新論과 梵魚寺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Beomeo-sa and the Innovative Buddhism of Beob-Rin Kim in the period of Japanese Rule in Korea
Abstract
근현대에 이르는 시기에 부산지역의 김법린은 서양철학 및 동양철학을 겸비한 불교계 젊은 엘리트로서 승려와 독립지사 그리고 한글학자로서의 측면으로 특히 그의 교육계몽 활동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그는 중앙학림 시절 삼일운동에 가담 후, 범어사 지방학림의거를 일으킨 장본인으로 그의 활동은 인근 부산·경남 일원의 삼일운동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중앙학림 내의 항일비밀결사, 불교청년운동, 만당결사, 세계피압박민족대회 참가, 조선어학회 참여 등으로 불교혁신론의 바탕을 이루고 있다.
그의 불교혁신은 교육, 항일, 사회참여 등으로 나아 갔으며 사상의 근저에는 교화의 생활화를 들 수가 있고 그것을 위해서는 인재의 육성으로 일반적 계몽운동이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다.
김법린은 교화의 생활화를 위하여“산사로부터 도시에로, 승려본위로부터 신자본위로, 은둔적·독선적 불교로부터 사회적·경제적 불교에로”라고 하여 여기서 교화의 구심점을 다수의 대중, 그것도 하위층에 속하는 서민대중에게 두었다는 점이다.
조선말 각 방면 운동의 정세가 문제의 경중과 본말을 체계적으로 획책하기가 어려운 것과 대중적 불교의 현실이, 신불교운동의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일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신불교운동의 대책으로 불교청년회의 전위적 활동, 포교의 종래 방책을 근본적으로 개혁할 것과 佛典의 민중화 및 현대화를 들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승려는 오직 그 指導 幹旋만을 해야 하며, 佛敎專門學校는 增科를 요망하고 있으며, 일반적 계몽운동을 위해서는 문맹퇴치운동(한글의 보급운동), 상식보급운동(가정위생, 육아법, 가계법, 간이법률 등), 경제운동(농사개량, 부업장려, 협동조합 등), 단체훈련운동(길흉에 대한 일치적 弔慰, 공동조작, 정기집회 등)을 전개하고 있다.
김법린은 조선말 일제하 부산·경남의 급변하는 과정 중에 교육계몽, 민족독립운동, 종교사상, 사회참여 등을 활발하게 지도 전개한 중요한 인물이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다. 이 김법린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부산·경남지역의 시대적 변화 및 근대화 양상에 대해 접근할 수 있었다. 나아가 현금 이 지역의 교육적·사상적·사회적 불교교육을 통한 즉 명정학교 금정중 해동고 등의 교육활동 및 불교교화, 민족독립운동, 사회참여 양상의 변화를 찾는데 자료 제공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도움이 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Beob-Rin Kim of Busan was a young Buddhist intellect who studied Western and Eastern philosophies. His enlightenment activities in the modern times as a Buddhist priest, independence activist and educator were very innovative.
As a member of Junganghakrim, he participated in the 3·1Movement in Gyeongseong. Later, he started the 3·1Movement in Beomeosa Temple. His activities were greatly influential to the 3·1Movement in Busan and the Gyeongnam region. Also, he participated in Secret Anti-Japan Activists, Buddhist Youth Movement, Mandang Activists, World Anti-Imperialism Movement, and Joseon Language Society within Junganghakrim and contributed to the basic formation of Buddhist Reformation Theory.
His Buddhist Reformation was deal with education, anti-Japan, and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and the basis of his theory was enlightenment and education through general enlightenment movements.
As 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Beob-Rin Kim insisted, "From the Mountains to the City, from the Priests to the Believers, and from Concealed and Dogmatic Buddhism to Social and Economic Buddhism", and placed the general public and the commoners in the center of his enlightenment movement.
The most important obstacle of the New Buddhist Movement was the difficulty to address each part of the society and the veal situation of public Buddhism. Thus, the New Buddhist Movement pursued activities through Buddhist Youth Association, essential reformation of Buddhist policies, and popularization and modernization of Buddhist scripts.
For this purpose, priests were solely assigned to instruction and mediation, Buddhist schools endeavored to expand their sizes, Also, general enlightenment movements promoted anti-illiteracy movement (spread of Hangeul), diffusion of general knowledge (home sanitation, childcare, home economics, general law, etc), economic movements(improved agriculture, job training, cooperatives, etc), and group training(congratulations/condolence, joint operation, general assembly, etc).
Beob-Rin Kim was an important character that actively promoted educational enlightenm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in Busan and Gyeongn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However, not many studies have examined his contribution. Through this study, I can gain some insights on the social changes and modernization of Busan and Gyeongnam. I believe that it would contribute to tracing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and Buddhist enlightenment activities,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of Myeongjeong School, Geumjeong Middle School, and Haedong High School that led the educational, ide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of this region.
Author(s)
송진모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불교혁신론 범어사 3ㆍ1운동 교육계몽 독립운동 사회참여 Innovative Buddhism Beomeo-sa 3ㆍ1Movement Educational enlightenment Independence movement Social particip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62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543
Alternative Author(s)
Song, Jin-M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사학과
Advisor
박화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일제하 불교계의 동향 = 5
1. 시대적 배경 = 5
가. 조선불교의 성립 = 5
나. 西學과의 갈등 = 6
다. 일본불교의 침투 = 8
2. 사상적 배경 = 14
가. 선풍재흥운동 = 14
나. 학자불교운동 = 16
다. 불교혁신운동 = 17
Ⅲ. 김법린의 불교혁신론 = 26
1. 김법린의 생애 = 26
2. 김법린의 불교혁신론 = 35
가. 불교의 政敎分立 = 36
나. 불교의 대중화 = 39
다. 불교의 농촌교화 = 44
Ⅳ. 김법린과 범어사 = 50
1. 교육계몽활동 = 58
2. 민족독립활동 = 62
가. 범어사 3·1운동 = 62
나. 세계반제동맹 = 68
다. 만당결사운동 = 72
라. 조선어학회 사건 = 85
Ⅴ. 결론 = 87
참고문헌 = 9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사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