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자망의 수중 형상에 대한 음향학적 해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coustic analysis on the shape in the current of gill-net
Abstract
2006년 9월 9~10일 (대조기)과 9월 28~29일 (소조기)에 경남 고성군 자란만에서 무선부이식 3차원 수중위치측정시스템을 사용하여, 자망의 수중형상을 측정하였다. 이 실험에서 사용한 7개의 음향송신기 중 6개는 자망의 뜸줄에 부착하였고, 나머지 1개는 해저에 고정시켰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기의 자망은 서쪽으로 최대 27.0 m (22:00) 이동하였고 (4.4 cm/s, 311.9°), 동쪽으로 최대 20.6 m (04:00) 이동하였다 (3.9 cm/s, 66.5°). 자망의 뻗힌 거리 (음향송신기 P1과 P6 거리)는 최대 119.8 m (21:00)이었고 (11.6 cm/s, 321.9°), 최소 109.9 m (23:00)이었다 (16.1 cm/s, 88.5°).
2. 소조기의 자망은 동쪽으로 최대 38.0 m (20:00) 이동하였고 (9.6 cm/s, 278.2°), 서쪽으로 최대 11.0 m (12:00) 이동하였다 (1.9 cm/s, 232.1°). 자망의 뻗힌 거리는 최대 99.6 m (14:00)이었고 (12.5 cm/s, 94.7°), 최소 85.0 m (06:00)이었다 (9.0 cm/s, 265.8°).
3. 대조기에 해저로부터의 자망 높이는 최대 3.7 m (02:00)이었고 (7.4 cm/s, 151.6°), 최소 1.5 m (23:30, 05:00, 06:30)로 실험 기간동안 3차례에 걸쳐서 나타났다. 그 때의 유향 및 유속은 각각 17.9 cm/s, 85.3° (23:30), 16.1 cm/s, 249.4° (05:00), 13.7 cm/s, 291.4° (06:30)이었다.
4. 소조기에 해저로부터의 자망 높이는 최대 3.6 m (12:30)이었고 (2.1 cm/s, 242.3°), 최소 1.5 m (14:00)이었다 (12.5 cm/s, 94.7°).
An experiment to acoustically analyze the shape in the current of gill-net was conducted in Jaran Bay, Gosung, Korea on the 9th to 10th September (spring tide) and 28th to 29th September (neap tide) 2006. It was measured by a 3D underwater positioning system with a radio-acoustic linked positioning buoys. Six of 7 acoustic transmitter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ttached on the float line of the gill-net and the other was fixed on the sea b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uring spring tide, the maximum movement of the gill-net was 27.0 m (22:00) in the west (4.4 cm/s, 311.9°) and 20.6 m (04:00) in the east (3.9 cm/s, 66.5°). The maximum extension of the gill-net (the distance between P1 and P6) was 119.8 m (21:00, 11.6 cm/s, 321.9°) and the minimum was 109.9 m (23:00, 16.1 cm/s, 88.5°).
2. During neap tide, the maximum movement was 38.0 m (20:00) in the east (9.6 cm/s, 278.2°) and 11.0 m (12:00) in the west (1.9 cm/s, 232.1°). The maximum extension was 99.6 m (14:00, 12.5 cm/s, 94.7°) and the minimum was 85.0 m (06:00, 9.0 cm/s, 265.8°).
3. During spring tide, the maximum height of the gill-net from the sea bed was 3.7 m (02:00, 7.4 cm/s, 151.6°) and the minimum was produced the three times as 1.5 m. At that time, the current speed and direction was 17.9 cm/s and 85.3° (23:30), 16.1 cm/s and 249.4° (05:00), and 13.7 cm/s and 291.4° (06:30), respectively.
4. During neap tide, the maximum height was 3.6 m (12:30, 2.1 cm/s, 242.3°) and the minimum was 1.5 m (14:00, 12.5 cm/s, 94.7°).
Author(s)
한진석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gill-net acoustic analysis 자망 수중 형상 음향학적 해석
Publisher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63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546
Alternative Author(s)
Han, Jin-Seo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어업생산학과
Advisor
신현옥
Table Of Contents
緖論 = 1
材料 및 方法 = 3
1. 무선부이식 3차원 수중위치측정시스템 = 3
1) 시스템의 구성 = 3
2) 위치계산 알고리즘 = 6
3) 수파기 좌표의 보정 = 10
2. 현장실험 = 11
1) 실험 어장의 환경과 = 11
2) 장치의 배치 및 측정 = 14
가. 전파음향측위부이 및 음향송신기의 배치 = 14
나. 유향 및 유속 측정 = 17
3) 자망의 수중 형상 측정 = 17
結果 및 考察 = 18
1. 수파기 좌표의 변동 = 18
2. 유향 및 유속 = 20
3. 자망의 수중 형상 분석 = 24
1) 자망의 수평거동 = 24
가. 대조기의 경우 = 24
나. 소조기의 경우 = 26
2) 자망의 수직거동 = 28
가. 대조기의 경우 = 28
나. 소조기의 경우 = 31
要約 = 34
參考文獻 = 3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글로벌수산대학원 > 어업생산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