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한선을 바탕으로 한 크루저급 세일링보트의 개발
- Alternative Title
- Development of Cruiser Sailing Boat Based on the Traditional Boat Hull Form
- Abstract
- 본 연구는 우리해역의 해황에 적합하게 진화해온 전통돛배를 바탕으로 현대세일(종범)을 장착한 선형의 개발과 제작과정의 연구로, 먼저 발달된 현대보트의 선형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전통돛배를 마더쉽으로 한 새로운 선형을 얻었다. 이러한 선형을 얻는 과정과 일반적인 선박과는 달리 독특한 세일링보트의 성능분석 방법을 설명함과 동시에 현대식 종범을 장착할 수 있도록 선형을 수정하고 부가물을 설계 베치하는 과정의 기술과 설계에 적용된 제 규칙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기본적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제 설계선 전 제작 공정과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정리 분석함과 동시에 새로운 설계법으로서 맥서프를 이용한 3D 설계의 이론과 현재 실정에 맞는 제작공정의 축소를 위해 5축 가공기를 이용한 Female Plug의 제작과정을 연구 수록함과 동시에 제작선의 성능점검을 위한 실제 운항실험결과를 정리하였다.
Recently as the GDP increases, interests on marine leisure is increasing. However, equipment which satisfies these interests such as leisure boats and sailing yachts made by Korean technology did not exist until recent times. It is not that Korea does not have the technology to make these equipment, but the ignorance toward these interests has led to this result. As a leading country in ship building industry, Korea has a potential to develop those kinds of equipment, and it is just the right time to begin.
In this paper, a modern style sailing yacht suitable for the Korean sea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by using the hull form of Korean traditional fishing boats. Learned from experiences dealt with sea condition, Countries that have well developed yacht design technology have continued to make yachts of their own. That means they have their own know-hows from their history. The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fishing boat was so respectable that Dr. Underwood highly evaluated it in form stability performance and styling. Also from the point of modern sailing boat desig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hull form, rudder and sail of Traditional Boat had been studied, and it was proved that the hull form was an excellent candidate of mother ship for modern boat design. Therefore, we need to create our yacht from our experience and technology by using our own hull form.
The main dimension of designed sailing boats wa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built sailing boats. The hull form was varied to adapt modern sail (lateen sail) and determined through circulating water channel model test. Through the model test of designed ship, the resistance performance was verified. Appropriate general arrangement was applied to designed ship through digital mock-up and R/P modeling. Lateen sail, keel and rudder were designed for good propulsion performance. For efficient production, the female deck mould was made by 5-axis N.C. cutting machine, and it was possible by designing full 3-dimensional surface for deck. After construction, the performance of designed ship was confirmed through sea trial and Jangbogo Race.
Through this research the total process of design and construction for designed ship was established.
- Author(s)
- 박근옹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크루저급 세일링 보트 전통한선 Sailing Boat Traditional Boat Hull Form Cruiser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64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560
- Alternative Author(s)
- Park, Gen-O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 Advisor
- 김동준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1.1 연구배경 = 1
1.2 연구목적 = 3
1.3 연구내용 = 3
제 2 장 개념설계 = 5
2.1 관련 규정 검토 = 5
2.1.1 ORC 특별 규정 = 5
2.1.2 IMS 규정 = 8
2.2 설계 프로세스 = 8
2.2.1 설계 스파이럴 = 8
2.2.2 시제선의 설계 프로세스 = 11
2.3 사용목적 및 설계개념 = 13
2.3.1 사용목적 = 13
2.3.2 설계개념 = 13
제 3 장 기본설계 = 15
3.1 모선 선정 = 15
3.2 주요치수 선정 및 실적선 자료 비교 = 16
3.2.1 주요치수 선정 = 16
3.2.2 실적선 자료비교 = 25
3.3 선형설계 = 28
3.3.1 모선의 선형분석 = 28
3.3.2 선형 변환 = 32
3.4 선박기본계산 및 선형검토 = 36
3.4.1 선박기본계산 = 36
3.4.2 선형검토 = 37
3.5 세일 및 부가물 설계 = 39
3.5.1 세일 설계 = 39
3.5.2 리그 설계 = 41
3.5.3 세일 효과중심 결정 = 42
3.5.4 밸러스트 킬 설계 = 46
3.5.5 타 설계 = 52
3.6 속도예측프로그램에 의한 성능 추정 = 58
3.6.1 IMS 해석 = 58
3.6.2 항주성능예측 프로그램을 이용한 속력예측과 비교 = 63
제 4 장 배치설계 및 선체구조설계 = 65
4.1 일반 배치설계 = 67
4.1.1 조종실 설계 = 67
4.1.2 슬라이딩 해치 = 70
4.1.3 펄핏, 스텐션과 안전선 = 71
4.1.4 기관 선택 = 74
4.1.5 거주설비의 국제 규격화 시도 = 75
4.1.6 해치 및 기타 부분의 설계 = 77
4.2 구조설계 = 80
4.2.1 외판 치수수정 = 80
4.2.2 격벽 = 82
4.2.3 보강재 설계 = 84
제 5 장 갑판 및 선체 플러그 제작 = 86
5.1 속성성형기 모델링을 통한 사전검토 = 86
5.2 갑판 암플러그 제작 = 88
5.2.1 생산 설계에서의 문제점 검토 = 88
5.2.2 갑판 암플러그 가공 = 89
5.3 선체 플러그 제작 = 95
제 6 장 시제선의 제작 = 101
6.1 제작 준비 = 101
6.2 선체 제작 = 103
6.2.1 몰드제작 = 103
6.2.2 선체적층작업 = 104
6.3 갑판 제작 = 114
6.3.1 암플러그의 조립 = 115
6.3.2 갑판 암몰드의 표면손질 및 추가 보조 작업 = 115
6.3.3 적층 계획 = 118
6.3.4 보강재 설치 = 118
6.3.5 갑판탈형 = 119
6.3.6 갑판 조종실에 관련된 부속 가공물의 제작 및 설치 = 120
6.4 부가물 제작 = 121
6.4.1 킬의 제작 = 121
6.4.2 타의 제작 = 124
6.5 피팅류의 제작 = 131
6.5.1 스탠드리깅 관련 피팅의 제작 = 131
6.5.2 펄핏, 푸시핏 제작 = 133
6.5.3 연료 탱크의 제작 및 조종실 하부의 지지 보강대 제작 = 133
6.6 선체와 갑판 접합 = 135
6.6.1 준비작업 = 135
6.6.2 선체와 갑판 접합 = 138
6.7 배수관, 전기배관 작업 = 140
6.8 부가물 설치 = 141
6.8.1 조타장치 = 141
6.8.2 킬 부착 = 147
6.9 선미판 설치 = 148
6.10 항해장비와 안전비품 = 150
6.10.1 항해장비 = 150
6.10.2 안전비품 = 152
6.11 갑판 미끄럼방지장치 = 154
제 7 장 리그 설계 및 설치 = 155
7.1 리그 배치 설계 = 155
7.1.1 리그 배치의 검토 = 155
7.1.2 문제점 및 해결방안 = 157
7.1.3 마스트와 붐의 치수 검토 = 161
7.1.4 스탠딩리깅 직경 검토 = 164
7.1.5 리그 설계 결과 = 164
7.1.6 집 펄링 시스템 = 167
7.2 리그 설치 = 168
7.2.1 펄러 와이어 길이 조절 = 168
7.2.2 러프 성형물 길이 조절 = 170
7.3 세일조절 장치 설치 = 171
7.3.1 윈치 = 172
7.3.2 클리트 = 174
7.3.3 트래블러 = 176
7.3.4 제노아 트랙 = 177
7.3.5 붐뱅 = 179
7.3.6 조절줄 = 181
제 8 장 진수 및 시운전 = 184
8.1 진수 = 184
8.2 시운전 = 185
8.2.1 시험항해 = 185
8.2.2 장보고요트레이스 참가 = 187
제 9 장 결론 = 189
참고 문헌 = 191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