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중학교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자기효능감 및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of the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 on Self-efficiency and Fear of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Abstract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남·여 학생별로 자기효능감 및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학년별로 자기효능감 및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학교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을 이수하는 4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자기효능감, 수학불안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처리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학과 특별보충과정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의 변화정도, 수학불안의 변화 정도, 남·여 학생별로 자기효능감 및 수학불안의 변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와 학년별로 자기효능감 및 수학불안의 변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대한 t-검정과 F-검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가.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을 받은 학생 집단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p<.001로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긍정적으로 향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에 대한 효과는 p<.001로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을 통하여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이 긍정적으로 향상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 효능감에 대한 효과는 p<.001로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을 통하여 자기효능감 중 자지조절 효능감이 긍정적으로 향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자기효능감 중 과제난이도에 대한 효과는 p<.001로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을 통하여 자기효능감 중 과제난이도가 긍정적으로 향상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나.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학생의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p<.001로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수학불안 중 수학교과 요인에 대한 효과는 p<.001로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수학불안의 하위 요소 중 수학교과에 대한 불안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불안 중 수학성취 요인에 대한 효과는 p<.001로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수학불안의 하위 요소 중 수학성취 불안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불안 중 인지요인 및 부정적인 생각 요인에 대한 효과는 p<.001로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수학불안의 하위 요소 중 인지요인 및 부정적인 생각에 대한 불안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학불안 중 수학에 대한 태도 요인에 대한 효과는 p<.001로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수학불안의 하위 요소 중 수학에 대한 태도에 대한 불안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학불안 중 교사 요인에 대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을 받기 이전보다 받고 난 이후에 교사요인에 있어 불안감이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
다.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남·여 학생별로 자기효능감 및 수학 불안에 미치는 효과
(1)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남·여 학생별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남·여 학생별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자기효능감 및 각 하위요인들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수준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남·여별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2)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남·여 학생별로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남·여 학생별로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수학불안 및 각 하위요인들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수준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남·여 집단별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학불안에 대한 하위요인 중 교사요인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지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수준의 불안을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남학생: M=3.29, SD:.40, 여학생 :M=3.51, SD:.33).
라.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학년별로 자기효능감 및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
(1)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학년별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학년별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3.38, P<.05). 2학년과 3학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2학년: M=2.81, 3학년: M=3.29), 1학년과 2학년간에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1학년: M=3.01, 2학년: M=2.81).
(2)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학년별로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학년별로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F=1.57).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자기효능감과 수학불안에 대부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수학불안 중에서 교사요인에 관한 하위요인에서는 불안이 줄어들기는 하였으나 그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편, 남·여 학생별 차이에서는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자기효능감과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를 보여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별 차이에서는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가 학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1. Purpose and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 on self-efficiency and fear of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It has been developed specially to establish an efficient Special Supplementary Class model by providing a foundational insight into the world of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 in Korea's educational system. Therefore,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attitude toward learning mathematics.
The following are the concrete subjects.
First, how do Special Supplementary Classes in mathematics affect self-efficiency?
Second, how do Special Supplementary Classes in mathematics affect fear?
Third, how does the effect of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on self-efficiency and fear of mathematics differ according to gender?
Fourth, what is the effect of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on self-efficiency and fear of mathematics according to grade?
2. Study Method and Content
For this study, the students involved in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in middle school took a pre-test and an post-test. An SPSS program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es. The paired T-tests and F-tes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 pre-test and an post-test.
3. Conclus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showed increased self-efficiency in mathematics after the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 This means that this supplementary class gave them increased capabilities in solving mathematic problems by themselves and having the self-confidence to reach a higher plane of achievement.
Second, the students showed a decreased fear of mathematics after the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 This indicates that the class is necessary because the middle school period is a crucial time in the development of student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effect of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on self-efficiency and fear of mathematic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 2 and Grade 3, and between Grade 1 and Grade 2 in the effect of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on self-efficiency in Mathematic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s in the effect of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on fear of mathematics.
Author(s)
김명생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중학교 수학과 특별보충과정 자기효능감 수학불안 Self-efficiency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65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572
Alternative Author(s)
Kim, Myung-Sae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원효헌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문제 = 3
3. 용어의 정의 = 3
4.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제7차 교육과정과 특별보충과정 = 5
2. 자기효능감 = 10
3. 수학불안 = 1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5
1. 연구 대상 = 25
2. 측정 도구 = 25
3. 자료 분석 = 29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0
1. 중학교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30
2. 중학교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 = 31
3. 중학교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남·여 학생별로 자기효능감 및 수학 불안에 미치는 효과 = 33
4. 중학교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학년별로 자기효능감 및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 = 38
Ⅴ. 요약 및 결론 = 41
1. 요약 = 41
2. 결론 = 45
참고 문헌 = 4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