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주 5일 수업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Alternative Title
- Teachers' perception of 5 Schooldays a week System of Elementary School
- Abstract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주 5일 수업제」를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에 관해 교원의 인식이 어떠한지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주 5일 수업제」의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나. 「주 5일 수업제」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 「주 5일 수업제」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서는 「주 5일 수업제」개념과 배경, 「주 5일 수업제」의 외국사례, 「주 5일 수업제」연구학교의 연구결과와 선행연구 결과를 탐색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주 5일 수업제」를 위한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보면, 먼저 측정도구는 「주 5일 수업제」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표집 대상은 교사 248명으로 삼았다. 회수된 질문지는 연구문제에 따라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배경변인별 차이의 유의도는 검증에 의해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월2회 「주 5일 수업제」시행과 선도학교의 많은 연구물로 인해 「주 5일 수업제」도입취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상당히 높아졌으며, 「주 5일 수업제」전면 실시에 대해 대다수의 교사가 적극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5일 수업제」전면 실시에 찬성하는 이유는 문화행사참여, 견학, 여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가족과의 활동시간이 많아져 인성교육에 도움이 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 5일 수업제」가 자기주도적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이는 충분한 휴식에서 오는 집중력의 증가와 주5일간의 집약된 시간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수의 교사이지만 아직까지 주5일근무제가 제대로 정착되지 않아 맞벌이 부부 자녀들의 교육 체험 부족현상을 우려하는 반응과 사회적 인프라 및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부족하여 전면 실시를 늦추어야 한다는 의견과 현재의 7차 교육과정이 전면적인 「주 5일 수업제」를 실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청이나 단위학교에서 주도하는 교육 체험 프로그램에 관한 논의가 있어야 되겠으며 국가주도의 7차교육과정 수정이나 새로운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주 5일 수업제」를 운영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교육과정이다. 현재의 교육과정이 주 6일 수업 연간 수업일수 220일에 맞춰진 것이므로 「주 5일 수업제」를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수정이나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제도적 보완 없이 「주 5일 수업제」를 실시한다면 교사나 학생에게 과도한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주 5일 수업제」의 도입취지를 살리기 어려울 것이다. 현 교육과정체제에서의 보완 방안은 현재의 연간수업일수의 감축이 국가수준에서 필요하며(180일이상-190일미만) 법정 수업시수를 확보하기 위해 불필요한 학교행사를 과감하게 줄이고 각종 경시대회, 현장학습, 과학행사, 고적답사 등도 교과관련으로 연계하여 수업시수로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교과목의 수를 줄이거나 교육내용의 양을 조정하는 것은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을 통한 편성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나 현 교육과정 체제에서 「주 5일 수업제」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체험활동이나 주제중심활동으로 교육내용을 정선하여 통합교과를 운영하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주 5일 수업제」가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주 5일 수업제」에 맞춘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의 사회적 인프라가 「주 5일 수업제」를 완전 시행하기에는 부족하므로 학교의 시설이나 인력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사회문화적 체험을 많이 할 수 있는 방향 과 학생들의 특기 및 소질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대체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셋째, 현재의 사회적 인프라 구축에 대한 인식도가 다소 부정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문제점으로는 전체적으로 시설, 프로그램, 운용, 인력 순으로 나왔으며 국가수준의 사회적 인프라 구축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여가활용 등 사회분위기와 시설, 프로그램의 다양성, 경제적 지원, 자원봉사자와 전문가 확보, 부모들의 교육적 인식공유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와 지방은 교육비의 확충과 더불어 교육과정 틀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국가와 지역사회는 다양한 활동 시설의 확충과 각 분야의 전문 인력 확보와 더불어 학생들의 어려움을 지도조언 할 수 있는 상담 인력의 확보에도 전념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 5일 수업제」는 교육의 목적과 방향에서부터 지식의 문제, 가정과 사회의 교육적 역할에의 문제 등에 이르는 교육 전반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점에서 교육 개혁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주 5일 수업제」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 관점이 무엇인지 명확히 하고 그것을 추진함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사항들 내지 사전 준비 사항들을 면밀히 살펴 학교교육을 정상화시킴으로써 우리 아이들의 참된 지식과 능동적 생활 태도를 길러주는 것은 물론 학부모로부터 공교육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1. Purpose and Subject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awareness of the 「5 School Days a Week」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by examining it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suggesting settling plans for them after visiting the fields examining and understanding errors occurring in its implementation. To achieve such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uggested.
First, how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effects and problems of 「5 School Days a Week」?
Second, how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operation of curriculum of 「5 School Days a Week」?
Third, how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establishment of social infra of 「5 School Days a Week」?
2. Study Method and Content
For this study the author gave questionnaires to 300 elementary teachers who are working at 25 public Elementary School belong to Pusan Education office. Of the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276 are returned. The rate of return is 92 percent, and the rate of practical use is 82.7 percent. The writer analyzed the opinions of teachers about 「5 School Days a Week」using the χ² verification.
3. Conclus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eachers agreed to the 「5 School Days a Week」, and they all realized that participation in cultural events, school trips, travel, and activity time with family are useful character education of students. Also, effects of「5 School Days a Week」influenced the extension of self-leading study. Few teachers are worried about the lack of experiential activity of children with a dual-income family and insufficient social infra and programs. Also, present 7th curriculum is overall inappropriate for carrying out「5 School Days a Week. Therefore, local education office and each school should discuss about programs related to education experiences. The revision of 7th curriculum or the amendment of new curriculum must be attained.
Second,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operating 「5 School Days a Week」 is curriculum. For this system, present curriculum has to be achieved curriculum reformation or amendment in national dimension because current courses are based on 6 School Days a Week. To manage 「5 School Days a Week」in the 7th curriculum, school days a year should reduce and unnecessary school events should be reduced or changed into class unit events as well as field learning and remote learning should be related to curriculum, to secure the number of legally necessary school days.
Third, most of teachers have negative tendency toward establishment of present social infra, and the factors are related to equipment, program, operation, and human strength. The problems with establishment of social infra in the national dimension are social environment, faculties, the diversity of programs, economical supports, the supplement of volunteers and experts, and lack of educational common recognition of parents. To solve these problems, a nation and corporate towns must change curriculum and expand educational finances.
「5 School Days a Week」may be a motivation in educational reformation because it includes the problems of whole education. Therefore, to carry out 「5 School Days a Week, a nation and curriculum experts must minutely examine the considerate points and previous preparation items. Thorough these, we could gain reliance about public education from parents as well as knowledge and an active attitude of pupils.
- Author(s)
- 이우태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주 5일 수업제 사회적 인프라 교육과정운영 초등학교 사회적인프라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66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586
- Alternative Author(s)
- Lee, Woo-Ta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 Advisor
- 원효헌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4
3. 용어의 정의 = 4
가.「주 5일 수업제」정의 = 4
나.「사회적 인프라」정의 = 4
4.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1.「주 5일 수업제」의 개념 = 6
2.「주 5일 수업제」의 도입 배경 = 8
3. 외국의 「주 5일 수업제」 사례 = 14
4. 국내의 「주 5일 수업제」 운영사례 = 26
5.「주 5일 수업제」의 단계적 모형 = 27
6. 제7차 교육과정 편제에서의 「주 5일 수업제」분석 = 29
Ⅲ. 연구 방법 = 32
1. 연구 대상 = 32
2. 측정 도구 = 33
3. 자료 분석 = 34
Ⅳ. 연구 결과 = 35
1.효과 및 문제점 인식 = 35
2.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인식 = 46
3.사회적 인프라에 관한 인식 = 66
Ⅴ. 요약 및 결론 = 76
1. 요약 = 76
2. 결론 = 82
참고문헌 = 84
부록 = 8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