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수성 포장과 침투 트렌치를 고려한 수정 SWMM의 개발 및 적용
- Alternative Title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dified SWMM to Simulate Permeable Pavement and Infiltration Trench
- Abstract
- An infiltration facility is operated as a method of reducing flood discharge of urban rivers and increasing flow during the dry season. The present study modified the existing SWMM model to simulate permeable pavement and infiltration trenches. In the course, errors in evaporation treatment and the groundwater output function were also corrected. To test the adequacy of the modified program, the simulation results of SWMM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hysical model experiments on permeable pavement and infiltration trenches.
The program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permeable pavement and infiltration trenches was applied to the watershed of Hakuicheon, which is an upstream tributrary of Anyangcheon, and the effect of the infiltration facilities were analyzed. First, we analyzed the hydrological cycle structure of the entire Anyangcheon watershed as well as the Hakuicheon watershed. Changes in the impervious area caused by urbanization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the runoff characteristic were analyzed at the Gocheokgyo for the Anyangcheon watershed and at the Bisangyo for the Hakuicheon watershed. Urban impervious areas were distinguished by analyzing the land uses using LANDSAT TM satellite images between 1975 and 2000.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hydrological cycle showed that surface runoff increased from 50 % in 1975 to 65 % in 2000 and subsurface runoff decreased from 13 % to 7 % in the entire Anyangcheon watershed. In the Hakuicheon watershed, surface runoff increased from 55 % in 1975 to 62 % in 2000 and subsurface runoff decreased from 11 % to 7 %.
If we make the impervious areas in the Hakuicheon watershed permeable by 10 %, the low flow (Q_275) increases by 3 % and the drought flow (Q_355) by 17 % at the Bisangyo stage station. As to infiltration trenches, if five to ten trenches with a length of 100 m are constructed at each Hakuicheon subcatchment, the low flow increased by around 1 % and the drought flow by around 9 %. With the modified SWMM, we can analyze the effects of infiltration trenches and permeable pavement on the recovery of water flow during the dry season in urban watershed.
- Author(s)
- 이정민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permeable pavement infiltration trench hydrological cycle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infiltration facility experiment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67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602
- Alternative Author(s)
- Lee, Jung-Mi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토목공학과
- Advisor
- 이상호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동향 = 3
1.2.1 도시유출 모형과 SWMM = 3
1.2.2 침투 증진시설과 도시유출 모형 = 5
1.2.3 유량회복 요소를 고려한 도시유출 모형 선정 = 8
1.3 논문의 구성 및 범위 = 11
2. SWMM의 개요 및 이론적 배경 = 12
2.1 SWMM의 개요 및 개발현황 = 12
2.2 이론적 배경 = 18
2.2.1 소유역의 특성인자 = 18
2.2.2 침투 및 증발산 = 20
2.2.3 RUNOFF 블록의 기본이론 = 23
2.2.4 TRANSPORT 블록의 기본이론 = 25
3. 침투 증진시설을 고려한 수정 SWMM의 개발 = 31
3.1 투수성 포장을 고려한 수정 SWMM의 개발 = 31
3.1.1 RUNOFF 블록 구조분석 = 31
3.1.2 투수성 포장의 개요 및 구조 = 33
3.1.3 투수성 포장을 고려한 SWMM 4.4H의 수정 = 35
3.1.4 투수성 포장을 고려한 SWMM RUNOFF 블록의 입력자료 = 39
3.2 침투 트렌치를 고려한 수정 SWMM의 개발 = 44
3.2.1 침투 트렌치의 개요 및 구조 = 44
3.2.2 침투 트렌치를 고려한 SWMM 4.4H의 수정 = 47
3.2.3 침투 트렌치를 고려한 SWMM RUNOFF 블록의 입력자료 = 53
4. 모형실험의 수행 및 수정 SWMM의 검증 = 55
4.1 투수성 포장 모형실험의 수행 및 수정 SWMM의 검증 = 56
4.1.1 투수성 포장 실험의 수행 = 56
4.1.2 투수성 포장 실험 토조의 제작 = 57
4.1.3 실험 기기의 구성 및 설치 = 59
4.1.4 실험 조건 및 방법 = 63
4.1.5 투수성 포장 모형실험에 의한 수정 SWMM의 검증 = 64
4.2 침투 트렌치 모형실험의 수행 및 수정 SWMM의 검증 = 74
4.2.1 침투 트렌치 모형실험의 수행 = 74
4.2.2 침투 트렌치 실험 토조의 제작 = 75
4.2.3 실험 기기의 구성 및 설치 = 77
4.2.4 실험 조건 및 방법 = 79
4.2.5 침투 트렌치 모형실험에 의한 수정 SWMM의 검증 = 81
5. 투수성 포장과 침투 트렌치를 고려한 수정 SWMM의 적용 = 94
5.1 안양천 유역의 수문 순환 모의 = 95
5.1.1 안양천 유역의 현황 = 95
5.1.2 안양천 유역 수문관측소 및 기상자료 = 97
5.1.3 소유역 특성인자 입력자료 구축 = 99
5.1.4 위성영상을 이용한 안양천 토지이용분석 = 104
5.1.5 지하수 입력자료 구축 = 109
5.1.6 하수량 입력자료 구축 = 112
5.1.7 안양천 고척교 지점에 대한 유역연속 유출모의 = 115
5.1.8 불투수율 변화에 따른 안양천 고척교 지점 유출변화 특성분석 = 123
5.1.9 안양천 유역의 수문 순환 분석 = 126
5.2 학의천 시범유역 연속유출모의를 위한 입력자료 구축 = 128
5.2.1 학의천 유역의 현황 = 128
5.2.2 학의천 유역 내의 수문관측소 및 기상자료 분석 = 130
5.2.3 학의천 유역의 특성인자 추출 = 132
5.2.4 학의천 유역의 토지이용분석 = 142
5.3 모형의 보정 및 검증 = 145
5.4 학의천 유역 연속유출모의 및 수문 순환 분석 = 148
5.5 투수성 포장을 고려한 수정 SWMM의 적용 및 효과분석 = 152
5.5.1 투수성 포장의 재생과 방치 결과의 비교 = 153
5.5.2 불투수유역과 투수성 포장유역의 침투특성 비교 = 156
5.5.3 투수성 포장 포화투수계수의 변화에 따른 침투특성 비교 = 158
5.5.4 학의천 유역에 대한 투수성 포장 효과분석 = 160
5.6 침투 트렌치를 고려한 수정 SWMM의 적용 및 효과분석 = 164
6. 결론 = 170
참고 문헌 = 172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토목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