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양국 대학생 블로그의 이용에 관한 비교연구
- Abstract
- Recently, blog ha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in many countries. This study, which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aimed to compare the motivation and the subsequent blog activity between two two different groups: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plore if there is andy differince in motivation or using activity between individualistic bolggers and collectivistic bloggers. To achieve these goals, 370 questionnaires were collectied from both countries and 320 of them were finally used for the empirical test.
- Author(s)
- 왕환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68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627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한혜경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1
2. 연구문제 4
II. 이론적 배경 5
1. 블로그에 대한 이론적 논의 5
1) 개념 5
2) 특성과 기능 6
3) 분류 8
2. 한·중양국 블로그 이용현황 11
1) 한국의 현황 11
2) 중국의 현황 13
3.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문헌 연구 17
1) 이용과 충족이론 17
(1) 이용과 충족이론의 개요 17
(2) 이용과 충족이론의 기본 가정 18
(3) 이용과 충족 접근의 평가 19
2) 미디어 이용동기 20
3) 블로그의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24
4. 개인-집단주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26
1) 개인-집단주의 성향 26
2) 개인-집단주의 성향에 대한 연구 30
3) 개인-집단주의 성향과 이용동기 32
4) 국가간 인터넷 이용의 차이에 관한 선행연구 33
III. 연구방법 36
1. 조사대상자의 선정 및 자료수집 방법 36
2.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37
1) 블로그 37
2) 개인-집단주의 성향 37
3) 블로그 이용동기 38
4) 브로그의 이용형태 38
3. 자료 분석 방법 39
IV. 연구결과 및 해석 41
1. 한·중양국 대학생의 표본특성 41
2. 한·중양국 대학생의 개인-집단주의 성향 43
3. 한·중양국 대학생의 블로그 이용동기 45
4. 한·중양국 대학생 블로그 이용형태 53
1) 블로그의 사용기간 53
2) 블로그의 이용정도 54
3) 블로그의 하루 평균 이용 시간 55
4) 블로그의 이용장소 56
5) 블로그의 이용종류 57
6) 블로그의 사용활동 58
5. 한·중양국 대학생의 개인-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블로그 60
1) 이용동기 60
2) 블로그의 사용활동 68
V. 결론 77
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77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80
참고문헌 82
부록 8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