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과제 읽기가 영어 어휘 및 독해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English assigned reading on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aspects
Abstract
본 연구는 영어 과제 읽기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어휘 능력, 독해 능력 그리고 정의적 영역(자신감과 흥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는데 주목적이 있었다. 부가적인 목적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어휘 능력, 독해 능력 그리고 정의적 영역에 대한 영어 과제 읽기의 영향이 다른지를 조사해 보는 것이었다.
통제반 65명, 실험반 63명의 2개의 집단으로 이루어진 부산의 중학교 1학년 128명이 이 연구에 참가했다. 실험반은 2학기 내내 16주 동안 매 수업 후 과제 읽기를 했으나, 통제반은 과제 읽기를 전혀 하지 않았다.
피험자들에 대한 과제 읽기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4가지 도구들이 사용되었다. 첫째, 영어 어휘의 향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30개의 선다형 항목으로 구성된 어휘 시험이 시행되었다. 각 항목 정답 점수는 각 1점이었고 만점은 30점이었다. 둘째, 영어 독해 능력 측정을 위해서 20개의 빈칸으로 이루어진 클로즈 시험이 실시되었다. 이해 가능한 대답은 정답으로 간주되었고 각 정답은 5점이었다. 비문법적이나 이해 가능한 대답은 2.5점으로 인정되었다. 클로즈 시험의 만점은 100점이었다. 셋째, 영어에의 자신감에 대해서는 4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가 제시되어, 최저 4점에서 최고 20점까지 점수로 구성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어에의 흥미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4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설문지가 제시되었다. 최저점은 4점이고 최고점은 20점이었다. 실험 결과는 t-검정과 일원변량 분석으로 처리하였으며 통계적 유의도 수준은 α=.05로 설정해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읽기를 실시한 후 통제반과 실험반 간에 영어 어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과제 읽기가 실험반의 어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클로즈 시험, 자신감 및 흥미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여기에서 독해 능력, 자신감 및 흥미도는 단순히 과제 읽기에 의해서가 아니라 피험자가 클로즈 시험과 같은 시험 유형에 얼마나 친숙한가 하는 정도와 피험자가 놓여 있는 내적?외적 상황에 의해 훨씬 더 쉽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휘 능력, 독해 능력, 자신감 그리고 흥미도에 대해 과제 읽기가 피험자들의 수준별(상?중?하)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못했다. 과제 읽기가 영어 어휘 능력, 독해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대해 특정 수준의 집단에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가져온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2가지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중학교 1학년 128명만 참여하였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가 어렵다. 둘째, 연구 기간이 16주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과제 읽기의 장기적 효과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우리는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고 있다. 우리의 영어 학습 환경에서 자율 읽기를 도입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래서 영어 학습에 있어서 과제 읽기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제 읽기 활동을 도입해서 원하는 기대치를 얻기 위해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읽기 자료의 분량이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적절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잃지 않게 하기 위해, 쉬운 내용의 영어 교과서와 일반 읽기 자료와의 난이도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과제 읽기의 제시 빈도수가 중요하다. 학생들의 부담감을 덜어주기 위해서 매시간보다는 2시간에 한 번씩 과제 읽기를 내 주는 것이 좋다. 넷째, 읽기 자료를 선택할 때 학생들의 의견을 고려해 준다. 다섯째, 도서관에 영어 읽기 자료를 많이 구비하여, 학생들이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영어 읽기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학생들이 과제 읽기를 했을 때 부가 점수나 상 같은 외부적 동기부여를 해 준다.
비록 본 연구의 결과가 4가지 도구의 향상을 가져오리라는 실험 전의 기대에 못 미쳐 실망스럽지만, 영어 과제 읽기는 영어 어휘 능력, 독해 능력, 자신감 그리고 흥미도를 향상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영어 교육에 관계하고 있는 영어 교사들과 교육 당국 관계자들이 가능한 영어 학습자들이 어릴 때부터 많이 읽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영어 읽기를 위해 적절한 환경 조성을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glish assigned reading on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aspects such as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English. An additional purpose wa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English assigned reading on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aspe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first grade middle students.
A total of one hundred and twenty-eight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led group of 65 students and the experimental group of 63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did their reading assignment 60 times right after each class for 16 weeks during a whole second semester; the controlled group didn't.
Four instruments were employed to assess the effects of English assigned reading on the subjects. First, as for English vocabulary, the Vocabulary Test consisted of thirty multiple choice items. A correct answer on each item earned one point. Possible scores on the Vocabulary Test ranged from a minimum of 0 point to a maximum of 30 points. Second, as for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the Cloze Test was comprised of twenty deletions. An acceptable response was defined as an exact word. Each acceptable response counted as 5 points. Each ungrammatical but acceptable response counted as 2.5 points. Possible total scores ranged from a minimum of 0 point to a maximum of 100 points. Third, as for self-confidence in English,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items. Possible total scores ranged from 4 points to 20 points. Fourth, as for interest in English,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items. Possible total scores ranged from 4 points to 20 points. The results were examined through One-Way ANOVA and t-test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t the level of α=.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on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nglish vocabulary between the controlled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Assigned reading only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s vocabulary. This result show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self-confidence and interest could be more easily affected by the subjects' familarity of the Cloze Test,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rather than by the assigned reading; second, there was no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self-confidence and interest according to high-level, mid-level, and low-level students through English assigned reading. That is, English assigned reading didn't have any effect on any specific level of the subjects as for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self-confidence and interest.
There are two limitations in the study: first, a total of 128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econd, it is hard to confirm the long-term effects of assigned reading because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only 16 weeks.
We lear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t is hard to adapt free voluntary reading to our English learning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English assigned reading in our school in Korea. In this case, this researcher woul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reading materials has to be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levels; second, the gap between the easy English textbooks and other English reading materials should be diminished so as not to lose the students'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English; third, the frequency of assigned reading is important. Not to make the students feel troubled the teachers could have students do their English assigned reading homework every other English class; fourth, when choosing reading materials, the teachers should consider students' opinions; fifth, we have to have the library full of English reading materials, which could get the students to read any kind of reading materials naturally; sixth, it is necessary to give the students some incentives such as extra points and prizes when they accomplish English reading assignment.
Alth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 little disappointing, but English assigned reading could be one of the best ways to improve English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self-confidence and interest. So we, the English teachers and the staff of the Bureau of Education should try to make the appropriate situations for English reading to motivate the English learners to read as many English reading materials as possible from childhood.
Author(s)
김현화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영어 과제 읽기 어휘 능력 독해 능력 자신감 흥미도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77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719
Alternative Author(s)
Kim, Hyon-hwa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오준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연구의 구성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읽기의 모형 = 6
가. 상향식 읽기 모형 = 6
나. 하향식 읽기 모형 = 7
다. 상호작용 읽기 모형 = 8
라. 정의적 읽기 모형 = 10
2. 자율 읽기와 과제 읽기의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 12
가. 자율 읽기에 관한 연구 = 12
나. 과제 읽기에 관한 연구 = 15
Ⅲ. 연구 방법 = 18
1. 연구 대상 = 18
2. 연구 도구 = 19
가. 읽기 자료 = 19
나. 어휘 시험 = 21
다. 클로즈 시험 = 22
라. 자신감 및 흥미도 설문 조사 = 22
3. 자료 수집 및 분석 절차 = 23
가. 자료 수집 방법 = 23
나. 자료 분석 = 2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6
1. 사전 동질성 검사 결과 = 26
2.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에 대한 어휘 능력, 독해 능력, 자신감 및 흥미도에 미치는 과제 읽기 영향의 결과 분석 = 33
가. 어휘 점수 증가치 분석 = 34
나. 클로즈 점수 증가치 분석 = 35
다. 자신감 점수 증가치 분석 = 38
라. 흥미도 점수 증가치 분석 = 40
3.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수준에 따라 영어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과제 읽기 영향의 결과 분석 = 43
가. 어휘 점수 증가치 분석 = 43
나. 클로즈 점수 증가치 분석 = 45
다. 자신감 점수 증가치 분석 = 46
라. 흥미도 점수 증가치 분석 = 48
Ⅴ.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7
부록 = 6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