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공크기가 조절된 메조다공질 TiO₂를 이용한 염료감응태양전지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Studies of Dye-sensitized Solar Cell utilizing pore-size controlled Mesoporous TiO₂
- Abstract
- P-123 block copolymer를 이용해서 BET가 375~550㎡/g이고 기공의 규칙성이 적은 비결정 TiO₂ 분말들을 만들었다. 그 다음, 고온에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비결정 TiO₂ 분말들을 460℃에서 하소하였다. 하소 후에는 BET가 61~89㎡/g인 anatase결정 TiO₂ 분말들이 얻어졌다. TiO₂-paste들을 소결시켜 FTO glass 위에 분산시켜 보았다. 하소하지 분말들을 이용해서 만든 TiO₂-paste들은 FTO glass 위에서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그래서 염료감응태양전지는 하소한 TiO₂ 분말들을 이용해서 제조하였다. 하소한 분말들을 염료감응태양전지에 적용했을 때 세 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단락전류가 BET에 비례하지 않았다. 둘째, TiO₂의 기공크기는 염료감응태양전지의 효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셋째, 염료감응태양전지에서 일부 TiO₂들은 염료의 흡착시간에 따라 성능이 달라졌다.
Amorphous TiO₂ powders with BET of 375~550㎡/g was made by P-123 templating block copolymer, but pore-regularity was small. Then the powders were calcined at 460℃ to observe changes at high temperature. After calcinaTiO₂n, anatase crystal was obtaind, but BET decreased to 61~89㎡/g. TiO₂-pastes were casted on FTO glass through sintering process. Pastes that used no calcined TiO₂ powder cracked on FTO glass. So dye-sensitized solar cell was produced by using calcined TiO₂ powders. When calcined TiO₂ powders were used to dye-sensitized solar cell, three results showed. First, short circuit current was not proporTiO₂nal to BET. Second, cell's efficiency was not affected to pore-size of TiO₂. Third, performance of some TiO₂ in dye-sensitized solar cell changed by dye-adsorpTiO₂n time.
- Author(s)
- 김기혁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기공크기 메조다공질 TiO₂ 염료감응태양전지 반도체전극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78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734
- Alternative Author(s)
- Kim, Ki-Hyeok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DSC에 대한 소개 = 2
2. DSC에서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 = 7
가. 염료 = 7
나. 반도체 = 8
다. 전해질 = 9
라. 상대전극 = 10
마. 투명전도성기판(TCO) = 10
3. DSC에 이용하고 있는 TiO₂ = 11
4. 본 연구에서 TiO₂ = 12
Ⅱ. 실험 = 14
1. 시약 및 재료 = 14
2. 메조다공질 TiO₂ 합성 = 15
3. 전극 제작 = 17
4. Cell 조립 = 18
5. Characterizations = 19
Ⅲ. 결과 및 고찰 = 21
1. 합성한 TiO₂들의 특성 = 21
가. 합성한 TiO₂들의 전반적인 특성 = 21
나. 물의 양에 의한 차이 = 25
다. P-123의 양에 의한 차이 = 30
라. 성장온도에 의한 차이 = 32
마. 하소 후의 변화 = 32
2. 합성한 TiO₂들이 DSC에서 가지는 특성 = 39
가. TiO₂ 반도체 전극막들의 특성 = 39
나. BET의 크기에 따른 차이 = 42
다. Pore크기에 의한 차이 = 44
라. 염료흡착시간에 따른 차이 = 45
Ⅳ. 결론 = 47
Ⅴ. 참고문헌 = 49
Ⅵ. 부록 = 5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