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지도를 위한 소설 수업 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Study on Method for Essay Teaching on Novel
- Abstract
- 본 연구는 논술의 본질을 소설에 적용, 학습자의 특성과 단계에 맞추어, 논술에 관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도 방법을 교과 과정 내에서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논술 교육의 필요성은 논술 교육의 목표에서 찾을 수 있으며 정보와 지식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현대 사회에서 정보와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합적으로 구성해내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입시 제도의 변화와 학교 교육의 현장에서의 변화는 학습자로 하여금 더 이상 단편적인 지식의 수동적인 수용으로는 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으며 당연히 교육의 현장에서도 새로운 방법의 모색이 불가피하다.
논술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들이 주어진 문제를 파악하며 그 문제를 넓고 깊게 바라보며 그것에 대한 가치 판단을 논리적이고 통합적으로 표현하는데 있다. 학습자는 여러 측면에 널려있는 사회의 제반 문제에 관한 인식이 부족하다. 또한 그런 여러 문제에 관한 배경 지식이나 문제를 보는 시각, 해결 방안에 관한 능력이 미숙하다. 따라서 논술 교육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유의미한 상황을 제시하고 그 문제 상황을 파악하는 시각을 길러 주어야 하며 파악된 문제 상황을 보는 여러 방향의 시각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생각의 폭을 넓혀 주어야 하며 여러 사람들과의 의견 교환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선택하게 하고 그것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여 자신의 입장을 논리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가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소설 수업을 통한 논술프로그램의 적용은 학생들의 사고력 능력과 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는가? 둘째, 소설을 활용한 논술 수업이 소설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술과 소설 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검토하고 교과서 내의 소설을 활용, 소설에 알맞은 논술지도 모형을 구안, 교육 과정 내에서 그것을 적용하여 보았다.
먼저 제Ⅱ장에서는 논술교육의 본질과 방법, 그리고 소설 교육의 기존 방법에 관해 알아봄으로써 그 이론적 근거와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우선 논설문 쓰기 이론으로 논술 능력 구성 요소와 구체적인 논술지도 방안과 과정중심·장르 중심·대화 중심 쓰기 이론을 살펴보았고, 그와 관련하여 소설 텍스트 읽기를 지도하기 위한 이론으로는 학습 주체의 경험과 능동성을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 과정 읽기 지도 이론과 본 연구의 이론적인 기저가 되는 독서와 작문의 통합 지도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논술과 소설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논술 지도 모형과 절차를 제시하고 구안된 논술 지도 모형을 적용한 학습 지도 과정과 지도 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우선 논술의 기본적인 구성 영역에 맞추어서 논술 모형의 절차를 ‘소설 읽기- 계획하기-작성하기-고려하기’의 단계를 설정하고, 세부적인 전략을 수립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의도된 절차에 따라 논술의 논제를 발견하고 생각을 전개하여 내용을 생성, 문제를 해결하고 논의의 결론에 이르도록 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가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 능력과 쓰기 태도, 그리고 소설 이해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결과를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반응적 측면으로 나누어 그 효과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얻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을 활용한 논술 지도는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논술지도에 비해 학습자의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수준별로는 상위 수준의 학생에 비해 중위,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가 중 1학생들의 논술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 활용한 논술지도 모형은 논술의 지도 목적과 운영이 적절하였다는 학습자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지도는 논술 능력과 흥미는 물론 소설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이 연구는 독서와 작문을 통합하여 지도해야 한다는 통합 언어 교육의 관점을 수용하여 소설 텍스트 읽기와 쓰기를 통합하여 논의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의 절차와 지도모형을 개발하고 실제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셋째 교과서 내의 소설 텍스트를 활용함으로써 논술 교육과 교과교육의 접목을 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현행의 교육과정 내에서 논술 교육과 서술 교육의 대안으로써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며 나아가 비판적·논리적 사고 확장을 위해 소설과 논술의 통합적 지도 방안의 하나로 논술교육의 방향 모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apply the essence of the essay writing to the novel and to frame the draft of the substantial and detailed guiding method of the essay writing in the curriculum, fitt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the student.
In an introduction, we set the stage of the essay model procedure as 'Reading-Planning-Writing-Considering' in an accordance with basic composition domains, and lead the student to reach to the conclusion of the discussion, while experiencing, the stage of finding the subjects, developing their ideas, creating the contents, and solving problems through the intended process. An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essay teaching, applying the text of the novel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logic thinking writing attitude and understanding of the novel by learner in aspects of the cognitive, definitive, and reactive.
O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essay writing guidance, applying the novel, turned out to be efficient, compared to the previous essay writing with the traditional guidance. Also, the guidance of the essay, applying the text of novel, was not only efficient in the enhancement of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a writing, but also, in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he novel.
Firstly,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 in the presentation of the discussion, teaching method by an integration of the reading and writing in novel text. Secondly,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 in the presentation of the practical use by the development of the process of the essay writing and the teaching model applying the text of the novel. Thirdly, it prepared the motivation, which induces the engraftation of the essay education and curriculum education, by applying the text of the novel in the textbook.
The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ed as an alternative of the essay and description education of the present educational procedure,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 the exploration of the essay writing direction as an integrated teaching method of the novel and essay for the extension of the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 Author(s)
- 윤금숙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논술지도 소설수업 논술교육 소설텍스트 정보와 지식관리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79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742
- Alternative Author(s)
- Yoon, Keum-Suk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 Advisor
- 남송우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선행 연구 검토 = 4
3. 논술 교육의 현황 = 6
Ⅱ. 이론적 배경 = 8
1. 논술교육의 이론적 배경 = 8
2. 소설 텍스트 지도의 이론적 배경 = 20
3. 논술과 소설 텍스트와의 관련성 = 28
Ⅲ. 연구 실제 = 32
1. 연구대상 및 기간 = 32
2. 연구 설계 및 절차 = 34
3. 교수 학습 과정 = 39
Ⅳ. 연구 결과 = 72
1. 인지적 측면 = 73
2. 정의적 측면 = 80
3. 반응적 측면 = 81
Ⅴ. 결론 = 90
참고 문헌 = 96
부록 = 9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