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뮤직비디오 이용이 청소년의 현실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upon the Effect of 'Music Video' on How Students Perceive Realities : with an Application of the Cultivation Effect Theory
Abstract
이 연구의 주목적은 뮤직비디오의 내용분석을 통해 뮤직비디오가 청소년의 현실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현실인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조사하기 위해, 문화계발효과이론이란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기초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내용분석은 문헌연구를 통해서 하였고, 그리고 문헌연구를 통해 성 상품화와 폭력성이란 개념을 추출하였다. 이 개념을 토대로 뮤직비디오의 성 상품화와 폭력성이 뮤직비디오 중이용자와 경이용자들 사이의 현실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것을 토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는 뮤직비디오 이용에 있어서 뮤직비디오 이용경험에 따라 중이용자와 경이용자 사이의 성 상품화와 폭력성이 현실인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377명의 뮤직비디오 이용자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용경험을 척도화 하여, 측정해서 중이용자와 경이용자를 구분하였고, 성 상품화와 폭력성이 이들 이용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란 것을 검증하기 위해 SPSS 10.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뮤직비디오를 여성집단이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성별로 나누어 뮤직비디오 이용정도를 구분하였고, 그 결과 뮤직비디오 중이용자와 경이용자간의 차이는 성별에 따른 차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music video has effect on how the youth perceive realities through contents analysis of popular music videos. In order to ascertain that music videos influence on heavy users' recognition of reality, this research adopted the George Gerbner's Cultivation Theory as a theoretical base.
Contents analysis was made with literature study on music videos and its effects. Concepts of 'commercialization of sex' and 'violence' were pulled out from it. With those two key words several questions were made to prove that music video has really an effect upon heavy user's perception of realit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77 high-school students. To differentiate degrees of use and sex, samples were divided to four groups, male-heavy users, male-light users, female-heavy users, and female-light users. By using 'SPSS 10.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In comparison with sex, female groups were found as heavier users than male groups in using music video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heavy and light users among male group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on perception of reality was found between heavy and light users among female groups. As a result, sex was concluded as the main reason making the differences on perception of reality among heavy or light user-groups.
Author(s)
심정욱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Music Video Light-users Heavy-users Commercialization of Sex Perception of Reality Cultivation Theory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81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767
Alternative Author(s)
Shim, Jung-U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한혜경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제1절 문제제기 = 1
제2절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4
1. 연구문제 = 4
2. 연구방법 = 6
제2장 이론적 논의 = 7
제1절 문화계발효과 이론에 관한 논의 = 7
1. 문화계발효과 이론 = 7
2. 문화계발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 = 10
제2절 현실구성 매체로서 뮤직비디오 = 13
1. 뮤직비디오의 이용현황 = 13
2. 뮤직비디오의 세계 = 15
3. 뮤직비디오 이용에 관한 기존 연구 = 27
제3절 연구모델 = 29
1. 연구모델 = 29
2. 연구문제 = 31
제3장 연구방법 = 33
제1절 연구방법 = 33
1. 표본 = 33
제2절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 35
1. 성 상품화 측정방법 = 35
2. 폭력성 측정방법 = 38
3. 뮤직비디오 중이용자와 경이용자 = 41
제3절 분석방법 = 43
제4장 연구결과 = 44
제1절 뮤직비디오 이용정도에 따른 인식의 차이 = 44
1. 성 상품화에 대한 인식 = 44
2. 폭력성에 대한 인식 = 47
제2절 성을 통제한 중이용자와 경이용자 집단 간 인식차이 분석 = 50
1. 성별 뮤직비디오 이용의 차이 = 50
2. 남성 중이용자와 경이용자 집단 간 인식차이 = 51
3. 여성 중이용자와 경이용자 집단 간 인식차이 = 55
제5장 결론 = 60
제1절 요약 및 결론 = 60
제2절 연구한계 및 제언 = 63
참고문헌 = 65
부록 = 7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