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시공사의 수행도 평가모형 개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Assesment Model for Contracto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bstract
프로젝트를 어떻게 수행하느냐는 건설산업의 오랜 관심분야가 되어 왔으며, 특히 중요한 관심분야중 하나는 완성된 프로젝트에서 무엇이 잘 되었고 또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건설 프로젝트의 주요참여자들은 발주자, 컨설턴트 및 시공사이다. 참여자들 사이에서의 상호작용과 상호관계는 건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수행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상호 의존적이다. 프로젝트의 수행은 상호 의존적인지만 각 프로젝트 참여자들은 전체프로젝트의 수행의 중요한 한 구성요소이므로 개개 참여자들의 수행은 그 자체만으로도 전체프로젝트에서 대단히 중한 위치를 차지한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 상호간 협력적 관계 유지는 필수적이므로 프로젝트의 중요 참여자들은 상호간의 수행사항에 대하여 서로 동의할 수 있는 수준과 기준 하에 정보를 공유하고 정기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한다.
새로운 프로젝트 수행에 합당한 시공사선정을 위하여 사전자격심사와 시공회사선택을 위한 평가기준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시공회사들이 책임진 프로젝트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인데 여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 시공사의 수행도 수준을 측정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이해 증진에 기여하는 데 있다. 특별히 이 연구는 건설프로젝트의 주요참여자그룹에 속해있는 건설전문가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건설기간동안 건설회사의 주요한 수행도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평가요인을 분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수행도 평가모형의 적용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경제적인 환경에서 최고 수행 시공사는 많은 이익을 창출 할 있으며 새로운 프로젝트를 수주할 수 있는 기회도 더 많이 가질 수 있다.
이번 연구의 범위는 건설회사의 주요 수행도 요인을 규명하고 수행도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발주처, 컨설턴트, 시공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건설전문가의 현장경험에 기반을 두고 있다. 총 325매의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 응답자의 절반이상(55.08 %)은 시공경험이 10 년 이상인데도 어떠한 수행도 평가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성검정결과 가설로 세운 113개의 수행도 평가변수중 65개의 변수만이 중요한 평가변수로 나타났다. 이 65개의 변수를 상관분석과 요인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53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12개의 수행도 측정요인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의 수행도를 평가할 수 있는 수행도평가모형(KPA)을 개발하고, 모형의 적용분야와 보완사항에 대해 제안 하였다.
The performance of projects has always been an area of interes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Roles of all construction supply chain partners are necessary; however the role of a contractor firm in the construction project is pivotal. This research, there intended to explore a construction firm’s performance criteria which could measure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at firm in an ongoing project. Data were collected from construction professionals working in three principal project participant organizations, namely owner, consultant and contractor. A total of 113 performance assesment item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se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expert consultation, and self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SPSS, a statistical too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Out of total 113 items, only 65 variables were found to be acceptable to each population group of this study. Factor analysis further revealed 12 key performance predicting factors (KPPF) with 53 predictive indicators. The 12 KPPFs with index weights are: work progress and smoothening (9.3%), change order management and work accuracy (9.1%), business relationship building (8.1%), adequacy of construction work procedure (8.6%), quality performance (8.0%), health and site safety adequacy (8.8%), Innovative contractor (8.0%), adequacy of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6.8%), compliance with contract plan/specification requirements (8.9%), credit worthiness and financial capability (8.3%),intra-agency relationship and responsiveness (7.0%) and resource management (9.2%). The result shows that The performance assesment model could be useful to a project management body to evaluate performance of its contractor firm on site as well as the contractor itself to assess own performance and its subcontractors on-site.
Author(s)
임해만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Performance evaluation 시공사 수행도 평가모형 건설산업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84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801
Alternative Author(s)
Im, Hae-M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Advisor
이영대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 1
1.1 연구배경 = 1
1.2 연구의 목적 = 4
1.3 연구범위 = 4
1.4 연구방법 = 5
제 2 장 문헌연구 = 6
2.1 개요 = 6
2.2 이론적 배경 = 6
2.2.1 수행도 = 6
2.2.2 수행도 평가 = 7
2.3 연구동향 = 9
2.3.1 국외의 연구동향 = 9
2.3.2 국내의 연구동향 = 12
2.4 수행도평가 변수 = 14
제 3 장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19
3.1 자료수집 = 20
3.1.1 자료수집도구 = 21
3.1.2 사용 설문 형식 = 22
3.1.3 모집단 및 표본 = 23
3.2 자료분석 방법 = 24
3.2.1 기술 통계량 = 24
3.2.2 유의성 검정 = 25
3.2.3 상관분석 = 33
3.2.4 신뢰도 분석 = 33
3.2.5 요인분석 = 34
제 4 장 분석 및 고찰 = 38
4.1 평가변수분석 및 고찰 = 38
4.1.1 자료분석 = 38
4.1.2 평가변수규명 = 52
4.2 요인분석 및 고찰 = 105
4.2.1 요인도출 = 105
4.2.2 요인별 변수 = 108
4.2.3 요인설명 = 112
4.3 요약 = 118
제 5 장 수행도평가모형 개발 = 120
5.1 평가모형(KPA) 개발 = 120
5.1.1 수행도평가모형(KPA) = 120
5.1.2 수행도평가지표(PPI) = 122
5.2 수행도평가모형(KPA) 분석 = 129
5.3 수행도 평가모형의 적용 = 132
5.4 수행도 개선계획 = 133
제 6 장 결론 및 제안 = 138
6.1 결론 = 138
6.1.1 수행도평가변수 = 138
6.1.2 주요 평가요인 도출 = 139
6.1.3 수행도 평가모형(KPM) = 139
6.1.4 모형의 적용 = 139
6.2 제안 = 140
REFERENCES = 141
APPENDIX = 153
ABSTRACT = 160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