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CC/PP기반의 학습 프로파일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for Learning Profile based on CC/PP in Uhiquitous Environment
Abstract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정보 통신 기기들이 개발되면서, 콘텐츠 적응화를 수행하기 위해 많은 기능들의 프로파일들이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CC/PP, UAProf, UPS 등이 있으며, 이 기존의 프로파일들은 구성요소의 복잡성, 프로파일 간의 상호호환성, 학습 기능에 관련된 프로파일의 부족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 기능 프로파일의 부족성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학습 프로파일을 제안하였다.
학습 프로파일은 디바이스 프로파일, 환경 프로파일, 사용자 프로파일, 콘텐츠 프로파일, learning 프로파일, 메타데이터 프로파일, 서비스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19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CC/PP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하도록 표준 어휘인 XML변환기술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학습 프로파일은 기존의 프로파일에 사용자 학습 정보 컴포넌트, learning 프로파일, 메타데이터 프로파일등을 더 추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러나 이 학습 프로파일들을 더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문제점인 프로파일의 복잡성을 더 야기할 수 있지만, learning 프로파일, 사용자 학습 정보 컴포넌트를 동적인 요소로 분리하여, 복잡성을 조금이라도 해소시키도록 노력하였다.
미약하지만, 본 논문의 학습 프로파일이 learning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As the Ubiquitous comes into the human's life, users begin to use various device gradually. To provide proper contents for each device, it is inefficient to build each contents for corresponding device. Thus, there are several researches going on for profile contents adaptation that could change conventional contents based on the standard for each device.
But, research for profile of current learning capability is remarkably insufficient, that this study proposes learning profile, adding user learning information component, learning profile, and meta data profile into the system.
Author(s)
박보경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유비쿼터스 콘텐츠 적응화 CC/PP 프로파일 학습 프로파일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86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827
Alternative Author(s)
Park, Bo-Kyo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전산교육전공
Advisor
박만곤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 1
2. 연구의 목적 = 2
Ⅱ. 관련 연구 = 4
1. 유비쿼터스 = 4
가.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 기술 = 5
나. 유비쿼터스 국내외 기술 추진 동향 = 8
2. 콘텐츠 적응화(Content Adaptation) = 13
가. 주석기반 변환 (Annotation-Based Transcoding) = 13
나. XML 문서 변환 기술 = 14
다. Fuctional Object Model (FOM) = 15
라. Multimedia Tarnsformation Engine = 15
3. 콘텐츠 적응화를 위한 프로파일 = 17
가. CC/PP (Composite Capability/Preference Profiles) = 17
나. UAProf (User Agent Profile) = 19
다. UPS (Universal Profiling Schema) = 21
4. 기존 프로파일 문제점 = 23
가. 프로파일의 복잡성 = 23
나. 프로파일 간의 상호 호환성이 부족 = 23
다. 학습 프로파일의 부족 = 26
Ⅲ. CC/PP 기반의 유비쿼터스 학습 프로파일 = 28
1. 유비쿼터스 학습 프로파일 구성요소 = 30
가. 디바이스 프로파일 = 30
나. 환경정보 프로파일 = 32
다. 콘텐츠 프로파일 = 33
라. 사용자 프로파일 = 35
마. learning 프로파일 = 37
바. 메타데이터 프로파일 = 39
사. 서비스 프로파일 = 41
2. 유비쿼터스 학습 프로파일 정적/동적 구성 요소 = 42
3. 유비쿼터스 학습 프로파일과 기존의 프로파일 비교분석 = 44
Ⅳ. 결론 = 46
참고문헌 = 4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전산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