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천해빈의 침·퇴적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rosion and Deposition in Eupcheon Beach
- Abstract
-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장조사와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읍천해빈의 해안 침/적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1977년부터 2001년까지의 항측사진을 이용하여 장기간의 해안선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해안선의 변화는 월성원전의 해안구조물이 설치된후 북쪽 해빈은 크게 퇴적되고 남쪽해빈은 침식이 일어나는 것이 명확하게 나타났다. 입사파랑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장기파랑산출자료와 현장관측된 파랑자료를 조사하였고, 이 지역의 주 입사파랑은 NE계열의 파랑으로 나타났다. 흐름은 창?낙조시 SW-NE 계열의 흐름이 탁월하게 나타났으며, 해빈류는 입사파랑에 따라 남향과 북향류가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수치시뮬레이션은 파랑변형, 해수유동, 해빈류 및 해안선변화 수치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계산된 결과들은 기존의 물리적인 특성들을 잘 재현하였고, 특히 해빈류의 경우 모든 계산에서 침식구간에서 북향의 흐름이 탁월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읍천해빈의 침/퇴적은 거대규모의 방파제 설치로 인하여 파랑과 해빈류의 작용에 의한 토사수지의 불균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ause of coastal erosion and deposition in Eupcheon beach, for this field investigation and numerical simulation were accomplished.
Long term shoreline change characteristic is investigated using the aerial image from 1977 to 2001. The shoreline change analysis show that shoreline rapidly changed after construction of coastal structure around the Wolsung Power Plant, which shows a deposition in north side and erosion in south side of the beach.
For the analysis a incident wave characteristics, long term wave data of M.O.M.A.F. and field wave observation data were analyzed. The prevalent incident wave direction was NE in this area. Observed main axis of current direction showed SW and NE direction which flows in flood tide and ebb tide respectively. The measured wave induced current showed north and south alongshore current in accordance with incident wave direction.
Numerical simulation was accomplished to examine a hydrodynamic characteristic and sediment transport. The tidal current simulation, wave transformation, wave induced current and shoreline change modelling were accomplished. The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s well reproduced the physical feature as observed. Particularly, wave induced current showed north direction around the erosion site in all case.
As a results, the coastal erosion and deposition in Eupcheon beach owes to the sediment budget unbalance which is caused by the wave and nearshore current act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large scale breakwater.
- Author(s)
- 석환주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읍천해빈 침·퇴적 Erosion Deposition Eupcheon Beach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87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834
- Alternative Author(s)
- Seok, Hwan-Jo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토목공학과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1.1 연구배경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7
제 2 장 읍천리 해안의 해안침식 실태 분석 = 9
2.1 조사대상해역의 개요 = 9
2.2 장기항측사진 분석 = 11
2.2.1 자료 및 방법 = 11
2.2.2 해안선 변화 분석결과 = 14
제 3 장 침식외력 특성조사 = 20
3.1 파랑자료 분석 = 20
3.1.1 장기파랑산출자료 분석 = 20
3.1.2 파랑관측자료 분석 = 32
3.2 해빈류 관측자료 분석 = 34
3.3 해수유동자료 분석 = 36
제 4 장 수치시뮬레이션 = 41
4.1 해수유동 수치시뮬레이션 = 41
4.1.1 수치모형의 개요 = 41
4.1.2 계산영역 및 수심도 = 46
4.1.3 계산조건 = 49
4.1.4 모델검증 = 50
4.1.5 해수유동 시뮬레이션 결과 = 53
4.2 파랑변형 및 해빈류 수치시뮬레이션 = 56
4.2.1 수치모형의 개요 = 56
4.2.2 수치계산의 개요 = 59
4.2.3 수치계산결과 = 60
4.3 해안선변화 수치시뮬레이션 = 67
4.3.1 수치모형의 개요 = 67
4.3.2 해안선 변형 예측결과 = 71
제 5 장 읍천해빈의 침·퇴적 기구 고찰 = 73
5.1 침·퇴적 현황 = 73
5.2 읍천해안 침·퇴적 기구 = 73
5.2.1 입사파랑 특성으로 인한 해빈 침·퇴적 = 73
5.2.2 해안선변형 예측결과 = 74
제 6 장 요약 및 결론 = 75
참고문헌 = 7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토목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