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분석을 통한 고려속가 교육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The Study of Goryeo Sokga teaching Method through Image analysis
- Abstract
- 본 논문은 고려속가를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고려속가를 지도하는 실제 수업 과정에서 야기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을 중심으로 고전시가 중 고려속가에 나타난 이미지 유형과 상상력의 변용이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되었는가를 분석하고,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학습자들로 하여금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 지도 방안은 무엇인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학습 방법으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해 보고자 한다.
고려속가는 내용, 형식, 문학적 표현 면에서 우수성을 띠고 있고 고려인들의 풍부한 정서를 형상화하였으며, 오늘날의 현재적 미의식과 가장 가까운 시가문학으로, 한국 현대시의 원형을 이루는 요소들을 많이 가지고 있어, 우리 민족의 미의식을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갈래로서 문학 교육적 위상의 크다고 할 수 있다.
현대시 분석의 많은 이론 중, ‘이미지’를 통한 접근이 작자의 의도를 훼손하지 않고 작품의 내용을 충실히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이미지 중심으로 고려속가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선 현대시 ‘이미지’기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고전시가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며, 이미지의 시적 감수성에 대한 의미와 상상력 확대라는 측면에서 고찰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을 통해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모색하려 하였다.
이미지의 기본 속성이 심리적인 것과 심미적인 것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현대시 분석에 많이 사용된다. ‘이미지’는 시의 한 요소로서 뿐만 아니라, 주제와도 관련이 있다. 시인이 어떤 의도로 표현했는가를 다각적으로 검토해 본다면, 고려속가를 통해 곡조는 없지만 가사에 담긴 선조들의 사상과 철학을 체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학생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풍부하게 해 옛것을 통한 현재의 재발견이 가능하고, 전통의 계승뿐 아니라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나름대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문학 수업에 있어서도 지도방법의 개발과 교수-학습의 모형에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리라 확신한다.
To seek a effective approach teaching Goryeo Sokga, a classical songs and lyrics, this study is to analyse problems which will be highly occurred in the course of practical instruction, look for how the type of image and transferred use of imagination are expressed, and create a teaching-learning model with the 7th curriculum. Learners can get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ose Goryeo Sokga works and what the teaching method is.
Goryeo Sokga has superior contents, beautiful forms, and literary expressions, forms astounding feeling, and great aesthetic sense to know directly, and is close current aesthetic sense in songs and lyrics, therefore it has considerable stature in a branch of literature.
As the approach using image is fully understandable without prejudice of authors' purposes, this study is focusing on it in the modern poetry studies.
This study is to look over the approach using image theoretically, go through how the approach can be applied, consider to amplify on the side of meaning on poetical sensibility and exercise imagination, and try to create a learner centered effective teaching method through a teaching-learning model.
Rooted from psychological things and esthetical things, a basic attribute of image has been used analyse of modern poetry. Image is a part of poem as well as it is related to the subject of poem. If you study what purpose authors expressed in Goryeo Sokga multiply, it is helpful to know the ancestors' thought and philosophy at that time.
This approach can increase students' imagination ability and creation ability, and students can understand the new by exploring the old and we can convince creating teaching-learning method is helpful to teachers as well.
- Author(s)
- 서호진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고려속가 학습자 중심 이미지 상상력 교수-학습 모형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87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837
- Alternative Author(s)
- Seo, Ho-Ji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 Advisor
- 김쾌덕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사 검토 및 연구 방법 = 3
Ⅱ. 이미지 교육의 중요성과 방향 = 7
1. 이미지 교육의 중요성 = 7
2. 이미지 교육의 방향 = 16
Ⅲ. 고려속가에 나타난 이미지 분석 = 23
1. 의 이미지 분석 = 27
1.1. 원형적 이미지 = 27
1.2. 감각적 이미지 = 34
1.3. 교수-학습의 방향점 및 설계 = 45
2. 의 이미지 분석 = 48
2.1. 원형적 이미지 = 48
2.2. 감각적 이미지 = 51
2.3. 교수-학습의 방향 및 설계 = 55
Ⅳ. 이미지를 통한 고려속가 교육의 실제 = 59
1. 교수 - 학습 계획 = 59
2. 교수 - 학습 모형 = 65
3. 고려속가 작품의 교수-학습 과정안 = 85
Ⅴ. 이미지를 통한 고려속가 교육의 가능성 및 기대효과 = 92
Ⅵ. 결론 = 98
참고문헌 = 10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