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제 7차 교육 과정을 바탕으로 한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시 단원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about Po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the 7th Education Program : Korean Language(1) 6th Chapter 'The Beauty of the S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7th education program is sincerely reflected to the textbook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suggests the method to fix the problems.
This study is for the poem education. The reason why I choose poem is that the poem is a essence of people's imagination and creativeness. The poem has been a major genre of literature since the beginning of the human history. Moreover, if one can understand and receive the poem means that he/her can accept the creativeness and imagination of the writer. Through this process, I believe that the education that fits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e power' which is the motto of the 7th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will find out how the 7th education program was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high school and point out the problems. And it will also suggest the way to fix the problems. I wish that the textbook that will be published after the 7th education can reflect my suggestions. This process will be a meaningful trial in the overall field of literary education.
Author(s)
이정훈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노래의 아름다움 6단원 국어(상)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89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852
Alternative Author(s)
Lee, Jeong-H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Advisor
김남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2. 선행 연구 검토 = 2
3. 연구 방법론 = 4
Ⅱ.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어 교과서 = 6
1.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 6
2. 국어 교과서 = 9
2.1. 교과서의 개념과 기능 = 9
2.2.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편찬 방향 = 10
Ⅲ.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상) 6단원 분석 = 12
1. 6단원 개괄적 소개 = 12
2. 단원의 길잡이 및 준비 학습의 문제점 = 13
2.1. 대단원 학습 목표의 부적합성 = 13
2.2. 준비학습의 제재 및 활동의 부적절성 = 16
3. 소단원 제재 분석 및 문제점 파악 = 18
3.1. 소단원 제재의 선정 기준 = 18
3.2. 소단원 제재의 제시가 바르지 않은 단원 = 19
3.3. 감상과 이해가 쉽지 않은 단원 = 22
3.4. 반복되어 사용되는 단원 = 25
4. 각 소단원 학습활동 분석 및 문제점 파악 = 26
5. 단원의 마무리 분석 및 문제점 파악 = 39
6. 보충·심화 학습 분석 및 문제점 파악 = 42
6.1. 흥미 위주의 보충 학습 = 43
6.2. 위계성이 무시된 심화 학습 = 45
7. 개선점 제시 및 적용 사례 = 47
7.1. 개선점 제시 = 47
7.2. 재구성 사례 = 51
Ⅳ. 결론 = 57
참고 문헌 = 6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