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 船舶燃料油 市場의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 Alternative Title
- An Activation Scheme of China`s Marine Fuel Market
- Abstract
- 2006년 중국의 총 항만물동량은 약 55억 톤, 컨테이너 화물량은 9,400만 TEU에 달하여 연속 4년째 세계 제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동량의 증가는 중국에 접안하는 유조선, 화물선, 컨테이너선 등 선박의 수치를 역사적인 최고치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선박연료유시장은 충분한 발전을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선박연료유 시장은 여전히 매우 작다고 볼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볼 때, 선박보세연료유는 매년 1억여 톤 정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비해 중국의 연료유 매출양은 300만 톤 미만으로 전 세계 매출시장의 2% 수준, 싱가포르 선박연료유 매출양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여 그 수준은 매우 미비한 수준이다.
본 논문은 선박연료유의 구매에 있어서 중국의 선주 및 선박관리업체가 중요시하는 구매요인들을 도출하여 "국제항해선박보세유공급"자격을 취득한 4대 업체의 향후 발전에 방향을 제시하고 중국선박연료유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였다.
In 2006 China's volume of harbor freight is approximately 5.5 billion tons, the containerized freight is 94 million tons, occupying the world first place for four years running. The increase in such as volume of goods handled caused the number of oil tankers, cabinet ships and bulk carriers that called on the Chinese port reached historical new high record; however, the Chinese shipping fuel oil market is under-developed. At present China’s marine fuel market is still relatively small. The whole world bonded fuel oil sold to 100 million tons per year, whereas the domestic sale less than 3 million tons, only accounting for a little more than 2% of the global market and1 /10 of Singapore, the in the biggest fuel supply port in the world.
The article aims to study the purchase factors of the prominent ship owner and the ship handling company which takes in the purchase fuel oil process, so as to obtain the international navigation ships bonded oil supplies qualifications the supplier and point 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the activation bunker oil market active development in the further.
- Author(s)
- 홍금의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중국 연료유 선박연료 선박연료유 시장 선박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89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860
- Alternative Author(s)
- Hong, Jin-Yi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 Advisor
- 하명신
- Table Of Contents
- 제 Ⅰ 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연구 방법 및 범위 = 3
제Ⅱ장 선박연료유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이론적 배경 = 4
제1절 구매경로 = 4
1. 계약구매의 이점 = 5
2. Stop시장 구매의 이점 = 6
제2절 품질 및 가격 = 7
1. 품질 통제 = 7
2. 선박연료유의 가격 = 12
제3절 서비스 구매요인 관련 선행연구 = 19
제4절 선박연료유 구매요인 도출 = 24
제Ⅲ장 선박연료유 시장에 관한 일반적 고찰 = 26
제1절 선박연료유 생산구조 = 26
1. 생산 프로세스 = 26
2. 단위 생산구조 = 28
제2절 선박연료유 시장의 메카니즘 및 유통형태 = 29
1. 선박연료유 시장의 메카니즘 = 29
2. 선박연료유 유통형태 = 33
제3절 중국 선박연료유 시장의 현황 및 흐름 = 35
1. 중국 선박 연료 유한책임회사 = 35
2. 보세연료유에 대한 중란유한책임회사의 관리방법 = 36
3. 중란유한책임회사 보세연료유 고객관리 시스템 = 39
제Ⅳ장 선박연료유 사용자에 대한 실증분석 = 43
제1절 설문의 개요 = 43
1. 조사대상과 방법 = 43
2. 설문지의 구성과 자료 분석방법 = 43
제2절 표본의 특성 및 설문분석 결과 = 45
1. 표본의 일반적 특징 = 45
2. 선박연료유 제품적 속성에 대한 분석 = 49
3. 선박연료유 관계적 속성에 대한 분석 = 57
제Ⅴ장 선박연료유 시장의 활성화 방안 = 63
제1절 공급자 입장에서의 고찰 = 63
1. 제품적 입장에서의 제언 = 63
2. 관계적 입장에서의 제언 = 64
제2절 수요자 입장에서의 고찰 = 65
1. 제품적 입장에서의 제언 = 65
2. 관계적 입장에서의 제언 = 71
제Ⅵ장 결론 = 73
제1절 요약 및 결론 = 73
제2절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 76
참고문헌 = 78
설문지 = 82
부록 = 9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