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중학교 3학년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관사 사용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ENGLISH ARTICLE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bstract
7차 교육과정에서 의사소통 중심 영어교수가 강조되면서, 영어수업은 학생들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문법교수보다는 상대적으로 말하기가 영어 수업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EFL상황인 우리나라에서는 말하기 수업이 원활히 진행되기 어렵다. 또한 수업의 중심이 정확성에서 유창성으로 옮겨감에 따라 문법교수의 중요성이 간과되기 쉽다. 그러나 문법교육이 없이는 영어의 말하기 또한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왜냐하면 영어의 정확성도 유창성 못지않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관사는 거의 모든 영어 문장에 빈번히 등장하기 때문에 관사를 알지 못하면 영어를 제대로 배웠다고 할 수 없으며, 유창하고 정확하게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기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 관사의 용법은 대단히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들조차 관사의 사용에 관한 용법들을 모두 알고 있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들은 훨씬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3종에 나타난 관사의 종류별 분포를 조사한다. 둘째, Bickerton(1981) 의 양분자질에 의거하여 교과서상에 나타난 정관사,부정관사, 무관사의 용법들을 분류하고 그 사용 빈도수를 조사하여 실제 교과서에 나타난 관사의 사용별 분포를 파악한다. 셋째, 관사의 사용을 연구하여 한국 영어 교사들에게 효과적인 관사 지도의 방향을 제시해 한다.
본 연구의 2장에서는 관사와 관계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다. 전통문법학자들은 관사를 친숙성의 정도’에 따라 분류하였고, 구조주의 문법학자들은 관사의 형태적 기준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Bickerton(1981)이 제시한 [±Specific Reference],[±Hearer Knowledge]의 양분자질에 따라 관사를 분류한다.
3장에서는 한국 학생들의 관사 사용 오류에 관한 연구들을 분석한다. 한국인 학생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관사의 용법은 무관사인 것으로 나타난다.
4장에서는 Bickerton(1981)의 양분자질에 따라 한국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관사의 사용을 분류한다. 이 때 가장 적은 분포를 이룬 관사는 무관사인 것으로 나타났고, [-SR][+HK]의 관사용법에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관사의 용법을 분석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3종의 교과서에 나타나는 관사의 종류는 정관사가 42.77%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관사가 36.26%를 차지하였다. 이렇게 정관사와 부정관사는 그 분포상의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무관사의 경우에는 29.06%로 정관사나 부정관사에 비하여 사용 빈도수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Bickerton(1981)의 네 가지 관사 용법에 따라 교과서에 제시된 관사의 사용을 분석해 본 결과 [-SR][+HK]의 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다음으로 [+SR][+HK]>[-SR][-HK]> [+SR][-HK]의 순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각 관사별로 그 사용을 분석해 보았는데, 정관사의 경우 대부분[+SR][+HK]의 용법으로 사용되었고, 부정관사와 무관사는 거의 [-SR][+HK]의 총칭적 용법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R][-HK],[+SR][-HK]는 정관사를 제외한 부정관사와 무관사에 사용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그 관사 사용 빈도수가 현저히 떨어졌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HK]용법의 경우 청자의 정보 공백이 있으므로 화자의 정보를 청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대화가 길어질 수 있다. 실제 자연스러운 대화에서는 화자와 청자에게 주어진 다양한 대화상황에 의하여 긴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교과서는 그 특성상 말하기 영역 구성 분량의 한계가 존재하므로 주로 [+HK]의 용법이 사용되었다고 해석된다.
위와 같은 사실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효율적인 관사 학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관사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필요하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주지시켜야 하며 관사는 단순한 단어나 구 단위가 아니라 담화 맥락을 고려한 범위 내에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Bickerton의 [±Specific Reference] [±Hearer Knowledge]의 네 가지 용법에 의한 청자와 화자간의 대화 상황이 반영된 관사 지도를 많은 예문을 통하여 한다면 효과적 관사 지도가 이루어 질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에 나타난 관사의 오류율은 무관사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교과서에서 가장 낮은 관사 사용 빈도수를 차지한 것은 무관사였다. 따라서 교사가 의식적으로 무관사 지도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무관사 학습은 정관사나 부정관사에 비하여 자칫 소홀히 다루어지기 쉽다, 따라서 교사는 관사 지도 시 무관사에 좀 더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무관사는 총칭적 용법으로 주로 사용되므로 이점을 활용하면 관사학습 지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Although the use of English articles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accuracy in learning English, Korean teachers tend to overlook the articles in class. However most EFL students, especially Koreans whose mother tongue does not have articles, find it very hard to use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use of article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o give some more efficient ways to teach articles to Korean English teachers.
Chapter Ⅱ deals with theoretical hypothesis related to articles. Traditionalists categorized the use of articles by 'stages of familiarity', structuralists put emphasis on 'formalistic criteria', and Bickerton(1981) divided English articles into four categories by binary features, [±Specific Referent] [±Hearer Knowledge].
Chapter Ⅲ researches some studies that analyzed Korean learners' errors in using English articl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type of zero-form (Φ) is most difficult to Korean learners.
Chapter Ⅳ analyzes the use of articles in Korean middle school text books according to the kinds of articles and Bickerton's binary featur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ast used type of articles is zero-form and the use of [-SR][+HK] is most frequently shown in the text books.
In conclusion, zero-form of articles is most difficult to learners but rarely shown in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lso, the generic use of [-SR][+HK] is most used in the textbook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Korean English teachers pay closer attention to zero-form of articles in class and showing many examples of articles based on the use of [±SR][±HK] in context would be helpful in teaching English articles.
Author(s)
정기진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영어관사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관사사용 문법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90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863
Alternative Author(s)
Jung, Ki-J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박순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 과제 = 2
1.3 연구의 구성 및 한계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2.1 전통문법적 분류 = 5
2.2 구조주의적 분류 = 10
2.3 양분자질적 분류 = 12
Ⅲ. 선행연구 = 17
Ⅳ. 교과서 분석 = 26
4.1 연구 대상 및 방법 = 26
4.2 교과서 관사 사용 분석 = 27
4.2.1 정관사 = 28
4.2.2 부정관사 = 31
4.2.3 무관사 = 35
4.3 분석결과 = 38
Ⅴ. 결론 및 제언 = 47
참고문헌 = 4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