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국어 지식’ 영역의 체계와 내용에 대한 비판과 개선 방안
- Alternative Title
- A Critique with Revision on Structure and Content of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Section in Middle School Textbook
- Abstract
- 본 연구는 7차 국어과 교육 과정의 하위 영역인 중학교 생활국어 교과서 ‘국어 지식’ 영역의 체계와 내용이 지닌 문제점을 살피고 내용 체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내용이다. 이를 위해 1장 1절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법 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써서 제출한 자료에서 발견되는 문법 사용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7차 교육 과정 해설서에서 밝히고 있는 국어 지식 내용 체계 구성의 기본 관점과 실제 교과서 구성과의 괴리가 매우 크다는 사실을 밝히고, 교육 과정 해설서와 교과서 ‘국어 지식’ 영역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장부터 ‘국어 지식’ 영역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하였다.
2장에서는 용어의 변천을 살피고 문법 교육이 왜 필요한지 밝히는 작업을 하였다. 1절에서는 문법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2절에서는 국어과 교육 과정에서 사용되어 온 문법 용어의 변천을 살폈다. 이를 통해 현재 중학교에서는 ‘국어 지식’, 고등학교에서는 ‘문법’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용어를 ‘문법’으로 통일하자는 제안을 하였다. 3절에서는 문법 영역이 학교 현장에서 도외시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문법 교육을 왜 해야 하는지 그 필요성을 세 가지로 밝혔다. 그것은 첫째, 국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둘째, 유형별 글말을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셋째,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이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3장에서는 ‘국어 지식’에 대한 대안으로 ‘문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그 내용 선정과 조직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3장 1절에서는 지금까지 국어과에서 논의되었던 내용 선정의 기준과 제7차 교육 과정 고등학교「문법」교과서의 내용을 살피고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에서 교수·학습해야 할 문법 영역의 내용 체계를 제시하였다. 2절에서는 이렇게 선정한 내용을 조직하는 기준에 대하여 계열성을 바탕으로 살피고 학년별로 다루어야 할 문법 영역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핵심은 교과서 ‘국어 지식’ 영역의 내용 체계가 지닌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한 제4장이다. 1절에서 4절까지는 3장에서 연구자가 제시했던 기본 문법 내용을 기준으로 교과서 ‘국어 지식’ 내용의 적절성을 범주별(국어의 본질, 국어의 이해와 탐구, 국어의 규범과 적용, 국어의 태도)로 살피면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아울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5절에서는 기본 문법 내용 가운데서 어떤 내용을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 살펴서 학년별로 그 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교수·학습되기 위해서는 문법 영역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적절한 수업 시수의 확보, 쓰기·말하기와 연계된 통합적인 수업 실시 등의 과제가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이상에서의 논의들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교수·학습의 현장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교재인 교과서의 내용 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다루는 이와 같은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진다면 더 바람직한 교과서를 만들어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problems in the system and content of 'Korean knowledge' section of Middle school practical Korean language textbook in the 7th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and provides an improved plan for the system and contents of it.
In Chapter 1, we examined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le presenting problems of the grammar education implemented in school these days.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necessity of the grammar education.
In Chapter 3, we presented the content system to teach and learn with the grammar content for each grade in the common educational curriculum by adopting the 'grammar' as an alternative of 'Korean Language Knowledge'.
In chapter 4, problems and improved plan for the system of the content in the section of 'Korean knowledge' is presented.
Chapter 5, comprehensively, concludes the discussion in previous chapters.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oblems in Korean knowledge section of Middle school like followings: First, the term is dualized as the 'Korean knowledge' is used in middle school, while 'grammar' is used in high school. Second, the gap between the fundamental point of view for the structure of the system of Korean knowledge in the guidanc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actual structure of the textbook is very enormous. Third, the content of Korean knowledge section is unevenly composed,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mprehension and research on Korean knowledge', the content of Korean knowledge section is edited with excessive details in the morphology, compared to the much abbreviation in semantics. Fourth, contents of Korean knowledge section, not organized sequently, will be an impediment for the systematic grammar learning of the students'.
Upon this, this study advises to arrange and adjust the content system of Korean knowledge in the middle school of the current 7th Educational curriculum with the chart. Constant efforts for future studies, dealing with current problems of the textbook that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the practical lesson, will make an advisable textbook.
- Author(s)
- 신말희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7차 교육과정 국어지식 중학교 문법교육 교과서 구성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90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864
- Alternative Author(s)
- Shin, Mal-He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 Advisor
- 조미정
-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기 = 1
1.1. 문제 제기 = 1
1.1.1 학생들의 쓰기에서 발견되는 문법 사용의 문제점 = 1
1.1.2. 7차 교육 과정 해설서와 생활국어 교과서 ‘국어 지식’ 영역 내용 체계의 문제점 = 8
1.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및 범위 = 18
1.2.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8
1.2.2. 연구의 범위 = 23
Ⅱ. 문법(국어 지식) 영역 교육의 필요성 = 25
2.1. 문법 교육의 이론적 배경 = 25
2.2. 문법 영역을 가리키는 용어의 변천 = 28
2.2.1. 언어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법’ = 29
2.2.2. 4차~6차 교육 과정에서 사용된 ‘언어(언어 지식)’ = 31
2.2.3. 7차 교육 과정에서 제시된 ‘국어 지식’ = 33
2.2.4. ‘국어 지식’이라는 용어에 관련된 문제와 대안 제시 = 36
2.3. 문법 영역 교육의 필요성 = 41
2.3.1. 국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 42
2.3.2. 유형별 글말을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 44
2.3.3.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 = 50
Ⅲ. ‘국어 지식’에 대한 대안으로서 ‘문법’ 영역의 내용 선정과 조직의 기준 = 53
3.1. 문법 영역의 내용 선정 기준 = 54
3.1.1. 문법 교육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에 따른 문법 내용 체계 = 54
3.1.2. 제7차 교육 과정 고등학교「문법」교과서의 내용 = 60
3.1.3. 문법 영역의 내용 체계에 대한 연구자의 제안 = 65
3.2. 문법 영역의 내용 조직 기준 = 70
3.2.1. 교과 내용의 조직 원리 = 71
3.2.2. 문법 영역의 학년별 내용 조직에 대한 연구자의 제안 = 73
Ⅳ. 7차 교육 과정 중학교 교과서 ‘국어 지식’ 영역에 대한 비판과 개선 방안 = 76
4.1. ‘국어의 본질’ 범주의 학습 내용에 대한 분석 = 79
4.2. ‘국어의 이해와 탐구’ 범주의 학습 내용에 대한 분석 = 82
4.3. ‘국어의 규범과 적용’ 범주의 학습 내용에 대한 분석 = 90
4.4. ‘국어의 태도’ 범주의 학습 내용에 대한 분석 = 92
4.5. 중학교 교과서 문법 영역의 학년별 내용 체계에 대한 제안 = 94
Ⅴ. 맺기 = 99
참고 문헌 = 10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