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활용 수업에 대한 중학교 수학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Abstract
-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 교사들의 수학적 공학도구 사용 실태와 사용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제점 및 교육 현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별, 경력별, 담당 학년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활용 과정에서 인식의 차이로 인해 일어나는 제반 문제점을 밝혀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문제는 아래와 같다.
가. 현재 성별, 경력별, 담당 학년별 교육용 컴퓨터 사용 실태는 어떠한가?
나. 교육용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에 대한 중학교 수학 교사의 성별, 경력별, 담당 학년별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다. 수학 교사들이 생각하는 교육용 컴퓨터 활용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6년도 현재 부산광역시 소재 170개 중학교 중 49개 중학교를 임의 할당 표집하여 질문지를 배부한 후 응답한 244명이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PC 통계 처리 프로그램인 SPSS12.0을 이용하여 응답 내용을 유형별로 묶어서 백분율에 의한 빈도 분석, 다중 응답 분석으로 처리하고 집단 상호간의 의견 차이는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의 성별, 경력별, 담당학년별 분포에서 성별은 여교사(73%)로 편중되어 있고, 경력별로는 10년 이상 20년 미만(39%)의 교사가 가장 많이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당 학년별로는 1학년(31%), 2학년(35%), 3학년(34%) 순으로 비교적 고르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의 교사가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대다수의 교사가 컴퓨터를 활용하여 수업을 하거나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의 필요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있으나 관심도 및 활용도에서는 성별 집단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교사보다 남교사가 컴퓨터 활용 수업에 대한 관심도와 활용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지 않은 교사가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에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그 이유로 ‘효과가 적어서’ ‘컴퓨터의 노후화’ ‘진도가 늦어져서’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경력별, 학년별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셋째, 교사들의 82.4%가 컴퓨터 활용 능력이‘중’이상이라고 응답하고 있어 수업 시 컴퓨터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큰 어려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컴퓨터 활용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컴퓨터 활용 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최근 2년간 컴퓨터 관련 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가 107명(44%)으로 적지 않게 나타났으며, 컴퓨터 활용 수업을 위해 학습 자료를 직접 제작한 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터 활용 수업 시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인터넷, CD-ROM 자료 순으로 나타났고, 수학 수업용 응용 프로그램 활용 능력에서는 전체적으로 능숙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교사가 많았고, 교직 경력이 많을수록 응용 프로그램 활용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컴퓨터 활용 빈도가 가장 높은 단원으로는 도형, 규칙성과 함수 순이며, 컴퓨터 활용 수업의 효과에 대하여 대부분의 교사가 효과가 있다는 응답을 보였고, 성별에 따른 컴퓨터 활용 효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이유로는 시각적인 효과, 흥미 유발에 의한 참여도 향상 때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효과적이지 못한 이유로는 수업시간이 많이 소요됨, 프로그램의 구현 불가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컴퓨터 활용 시 어려운 점으로 컴퓨터실 부족 및 컴퓨터의 노후화, 자료 제작 및 수업 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모됨, 활용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부족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컴퓨터 활용 수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미래에 컴퓨터 활용 수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대부분의 교사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검증 결과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컴퓨터 활용 수업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 시설과 환경이 따라 주지 못하기 때문, 수업 진도의 장애 때문으로 나타났고, 아울러 컴퓨터 활용 수업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으로는 수업용 소프트웨어 개발 보급과 컴퓨터 활용 수업이 가능한 교실의 확충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곧 컴퓨터 활용 수업을 위한 개선점으로 연결되었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활용 수업을 위해 실시되는 연수 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연수 기회의 확대, 연수 교육 과정의 개선, 자율 연수를 위한 예산 지원 순으로 응답하였다. 변인별 하위 집단간 반응 분포에 대한 검증 결과 교직 경력별 인식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5년 미만 경력자의 경우 ‘연수 기회의 확대’, 5-10년 미만의 경우 ‘연수 교육 과정의 개선’, 10-20년 경력자의 경우 ‘연수 기회의 확대’, 20년 이상 경력자의 경우 ‘연수 교육 과정의 개선’과 ‘연수 방법의 개선’으로 나타나 경력에 따라 각각 다른 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ave a survey about real classroom situations in which computers are used and to ensure that the computer instructions are conducted more effectivel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signed for this study;
Firstly, what are the actual condition of using computer application in mathematics teaching in regard to gender, teaching career and teaching grade?
Secondly, what are problems in using computer application in mathematics teaching in regard to gender, teaching career and teaching grade?
finally, what are the methods for improvement of computer application teaching in mathematics teaching in regard to gender, teaching career and teaching grade?
This study has been researched on the objectives of 170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Pusan Metropolitan City. Using SPSS 12.0 program, the collected data of the study has been analyzed in the frequency or percentage and practiced (chi-square) test for the differences in variant factors.
- Author(s)
- 박순종
- Issued Date
- 2007
- Awarded Date
- 2007.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컴퓨터 활용 수업 중학교 수학교사 공학도구 교육용 컴퓨터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9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3895
- Alternative Author(s)
- PARK, SOON-JO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 Advisor
- 박용범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2.1 컴퓨터 활용 수업 = 4
2.2 전통적 수업과 컴퓨터 활용 수업 = 8
2.3 수학 교육에서의 컴퓨터 = 10
2.4 수학 교육 과정에서의 컴퓨터의 영향 = 13
2.5 수학 교과의 컴퓨터 활용 교수-학습 방법 = 21
2.6 중등 수학 교육에서의 컴퓨터 활용 수업의 효과 = 26
2.7 선행 연구 고찰 = 28
Ⅲ. 연구의 방법 = 32
3.1 연구의 대상 = 32
3.2 연구의 도구 및 내용 = 33
3.3 자료의 처리 = 34
Ⅳ. 설문 조사 결과 및 해석 = 35
4.1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 검증 = 35
4.2 컴퓨터 활용 수업에 대한 배경 변인별 인식 차이 검증 = 35
4.3 컴퓨터 활용 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차이 검증 = 53
4.4 컴퓨터 활용 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차이 검증 = 57
Ⅴ. 요약 및 결론 = 65
5.1 요약 = 65
5.2 결론 및 제언 = 68
참고문헌 = 71
부록 설문지 = 7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