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Roll-to-roll printing용 전도성 paste 물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Properties Conductive Paste for Roll-to-Roll Printing
Abstract
전자 디스플레이 시장은 급속한 정보화 사회 속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100여 년간 우수한 휘도와 응답속도, 저가격으로 브라운관 형태의 디스플레이인 CRT(Cathode Ray Tube)가 1세대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 시장을 장악하였으며, 현재는 1세대 디스플레이의 단점인 큰 부피와 높은 소비전력을 보완한 2세대 디스플레이인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FPD : Flat Panel Display)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평판 디스플레이는 유리기판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깨지기 쉽고, 변형이 불가능하여 휴대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를 보완한 3세대 디스플레이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대(flexible display)가 도래하였다1).
또한 프린터 배선판, RFID(Radio Freqeuncy IDentification) 안테나, 전자파 차폐, 맨브레인 스위치(membrane switch), 압전 소자 등 일렉트로닉스 분야에서도 플렉시블한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2).
이러한 전자 디스플레이 및 일렉트로닉스 제품에 전도성 패턴은 폭넓게 적용되어지고 있다. 전도성 패턴(conductive pattern)은 어떠한 도포 방식에 의해 임의의 도막 패턴이 형성되어지고, 그 도막 패턴에 전기가 흐르는 것을 말한다3).
전도성 패턴의 형성방법으로 기존에는 주로 스크린 인쇄법을 사용하였으나, 스크린 인쇄법은 마스크의 한계에 의해 고정세 패턴 형성이 어렵고, roll-to-roll printing이 힘들어 고속인쇄 및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oll-to-roll printing 중 그라비어 인쇄에 적합한 전도성 페이스트를 개발하여, 저온에서 경화 되면서 우수한 전도성을 띌 수 있는 전도성 패턴을 플렉시블한 필름 위에 형성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표로 하였다.
Electronic display markets has been developed. The cathode ray tube of brown form recently celebrated their 100th by first display. Also LCD of flat form recently celebrated their 25th by second display and it has advantage of small volume, lower consumption power. But FPD has problem that is property of brittle and non-carrying by glass substrate. Therefore the arrival of portable electronics devices has put an increasing premium on durable, lightweight and inexpensive display components. It is flexible display by third display. Also electronics field such as printed wiring board, RFID, membrane switch prefer flexible display. The conductive pattern can be used mostly in field of Electronic displays and Electronics.
This manufacture of conductive pattern in present used is screen printing. The screen printing has problem that is low productivity and use not flexible substrate because of high fire temperature. This study was developed novel method to form the conductive pattern. This gravure printing is one of roll to roll methode. It has advantages of flexibility, high conductivity, drying in low temperature, good conductivity.
Author(s)
조미정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2
Type
Dissertation
Keyword
Ag powder Roll-to-roll printing coudcutive paste gravure printing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40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167
Alternative Author(s)
Cho, Mi-jeo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인쇄공학과
Advisor
남수용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이론 = 3
1. 전도성 패턴 형성법 = 3
2. Roll-to-rolll 인쇄 = 4
가. 그라비어 제판 = 5
나. 그라비어 잉크의 전이성 = 8
3. 전도성 필러 = 9
4. 전도성 페이스트 = 11
5. 레올로지 = 13
Ⅲ. 실험 = 17
1. 시료 = 17
가. Ag 분말 = 17
나. 레진 = 18
다. 용제 = 19
2. 실험방법 = 20
가. Ag 페이스트 제조방법 = 20
나. 전도성 패턴 형성방법 = 21
3. 측정 및 분석 = 22
가. Ag 페이스트의 분산 특성 측정 = 22
나. Ag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 = 23
다. 전도성 패턴의 접착성 측정 = 23
라. 전도성 패턴의 퍼짐성, 패킹성 및 막의 균일성 측정 = 23
마. 전도성 패턴의 전기전도성 측정 = 24
Ⅳ. 결과 및 고찰 = 25
1. Ag 형상 및 페이스트의 점도에 따른 Ag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 = 25
가. Ag 형상에 따른 Ag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 = 25
나. 페이스트의 점도에 따른 Ag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 = 27
2. Ag 형상 및 점도에 따른 Ag 페이스트의 분산 특성 = 29
가. Ag 형상에 따른 Ag 페이스트의 분산 특성 = 29
나. 페이스트의 점도에 따른 Ag 페이스트의 분산 특성 = 30
3. Ag 형상 및 페이스트의 점도에 따른 전도성 패턴의 인쇄적성 = 31
가. 그라비어 선수에 따른 전도성 패턴의 접착성 = 31
나. 그라비어 선수에 따른 전도성 패턴의 퍼짐성 = 33
(1) Ag 형상에 따른 전도성 패턴의 퍼짐성 = 33
(2) 페이스트의 점도에 따른 전도성 패턴의 퍼짐성 = 35
다. 그라비어 선수에 따른 전도성 패턴의 패킹성 및 막의 균일성 = 36
(1) Ag 형상에 따른 전도성 패턴의 패킹성 및 막의 균일성 = 36
(2) 페이스트의 점도에 따른 전도성 패턴의 패킹성 및 막의 균일성 = 38
라. 그라비어 선수에 따른 전도성 패턴의 전기전도성 = 39
Ⅴ. 결론 = 41
참고문헌 = 4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인쇄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