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휴먼 모델링 툴을 이용한 조선산업의 작업부하 경감방안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f Workload Reduction in Shipbuilding Industry Using a 3D Ergonomic Modeling Tool
- Abstract
- 최근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은 사업장의 집단적인 발병, 산업재해자수의 급격한 증가 등으로 인하여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조선산업과 같은 중공업분야는 단순반복 작업은 물론 중량물 취급, 부적절한 자세, 진동 등의 요인으로 인해 다른 산업에 비해 훨씬 더 근골격계질환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현업 종사자 및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조선업종의 대표적인 공정 총 10개의 공정을 선정하여 3D 모델링 툴을 통해 작업의 개선을 추구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작업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WMSDs), these days, is one of issues in shipbuilding industry. The number of injured workers has rapidly increased and demands for workers compensation, improvement of work condition and environment to prevent WMSDs become larger. To protect and reduce WMSDs in shipbuilding industry, simulation technique which shows it's ability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productivity will be applied, because simulation technique has the evaluation ability for a worker's danger level of production process by RULA(Rapid Upper Limb Assesment).
In this research, worker's posture had modeled and worker's action has simulated. After the caution level was evaluated, the high-scored body parts of digital human which were made on a 3D modeling tool were checked and improved efficiently.
- Author(s)
- 김현우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WMSDs RULA digital human human modeling & simul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410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263
- Alternative Author(s)
- Kim, Hyun Wo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안전공학과
- Advisor
- 장성록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1.2 연구 내용 = 4
2. 연구배경 = 5
2.1 근골격계질환 = 5
2.1.1 근골격계질환의 정의 및 발생원인 = 5
2.1.2 근골격계질환의 발병단계 및 부담작업의 범위 = 9
2.2 인간공학적 평가프로그램 = 10
2.2.1 RULA = 10
2.2.2 기타 평가프로그램 = 20
2.3 Human Modeling & Simulation = 23
2.3.1 휴먼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의 정의 = 23
2.3.2 DELMIA = 25
2.3.3 국내외 연구사례 = 26
3. 연구 방법 및 진행 = 28
3.1 대상 작업 선정 = 29
3.2 대상 작업 모델링 = 30
3.2.1 Product & Resource = 30
3.2.2 Digital Human Manikin = 31
3.2.3 Product , Resource & Manekin Catalog = 32
3.2.4 Layout = 33
3.3 근골격계 위험작업의 평가 = 34
3.3.1 작업경과 시간 동안의 평가분석 = 34
3.3.2 RULA 평가 = 36
3.4 지체별 변위를 줄이는 개선안 선정 = 37
3.5 개선작업의 Human Modeling & Simulation = 38
3.6 개선작업의 RULA 평가 = 38
4. 연구 결과 = 40
4.1 앉아서 위보기 용접 = 41
4.2 서서 위보기 용접 = 45
4.3 러그 브래킷 용접 = 49
4.4 핀지그 설치 및 해체 = 53
4.5 쇼트 와이어 패일팩 운반 = 57
4.6 소부재 배열 = 61
4.7 론지 취부 = 65
4.8 선체 외판 도장 = 69
4.9 에어리스 펌프 정비 = 73
4.10 페인트 믹싱 = 77
4.11 개선 전·후의 비교 = 81
5. 결론 및 고찰 = 82
참고문헌 = 84
영문요약(Abstract) = 88
감사의 글 = 8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안전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