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부산 수영만 인공어초 시설해역에서의 어군의 분포특성에 관한 음향학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coustical investigations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 school at the artificial reefs area of Suyeong Man, Busan
Abstract
부산 수영만에 시설된 인공어초 해역을 대상으로 2006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인공어초의 지리적 분포 및 이 해역에 서식하는 어군의 분포특성 등을 정량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현장 실험에서는 sidescan sonar와 split beam echo sounder를 이용하여 인공어초의 상태 및 그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어군의 군집밀도를 측정하였고, 현장에서 수록된 split beam echo sounder에 의한 echo data는 후일 실험실에서 Echoview software를 이용하여 대상어군에 대한 체적산란강도를 추정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산 수영만에 시설된 인공어초는 수심 18∼40m 범위의 해저저질이 rocky 또는 mud shells인 해역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었다.
2. 부산 수영만의 인공어초 시설해역에 대한 어군의 지리적인 분포밀도는 남구의 시설해역과 수심 30m 등심선의 해역에서 가장 높았다.
3. 2006년 4월 7일에 인공어초가 시설되지 않은 해역을 대상으로 측정한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는 -58.77dB이었다. 한편, 인공어초가 시설된 해역을 대상으로 2006년 5월 5일, 8월 24일, 9월 29일에 수록한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는 각각 -57.15dB, -60.38dB, -63.72dB로써, 인공어초 시설해역에 있어서의 어군의 군집도는 5월, 8월, 9월의 순으로 높았다. 인공어초 시설해역에 있어서는 비시설해역 즉, 인공어초 및 자연초가 존재하지 않는 해역에 비해 높은 어군의 분포밀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연초가 잘 발달된 해역에서의 어군 분포밀도는 인공어초 시설해역과 유사한 분포특성을 나타내었다.
4. 인공어초 주변 해역에 군집한 멸치 어군을 대상으로 평균반사강도와 평균체장을 추정한 결과, 그 값은 각각 -58.12dB, 5.2cm이었다.
5. 부산 수영만 인공어초 시설해역에서 어초 구조물의 일부가 해저에 매몰된 상황이 sidescan sonar에 의해 탐지되었다.
Acoustical investigations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 school in the inshore fishing ground with artificial reefs in Suyeong Man, Busan were conducted on 7 April, 5 May, 24 August and 29 September 2006, respectively. A 330 kHz sidescan sonar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osition and situation of the artificial reefs installed on the seabed of the survey water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 school in the survey area was investigated by using a 70kHz split beam echo sounder, and the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SV) of fish school was calculated and analyzed by using Echoview softwar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artificial reefs in the Suyeong Man, Busan were concentrically installed and arranged in the inshore waters at a depth of 18∼40m on the seabed of rocky or mud shells.
2. We observed a geographical difference in fish assemblage according to the season during the period of April and September 2006. The high values of SV measured in the Nam-Gu area and the area where the artificial reefs placed was located along the water depth contour line of 30m.
3. The mean value of SV measured on 7 April 2006 in the inshore waters, where natural structures exist, was -58.77dB. The mean values of SV measured on 5 May, 24 August and 29 September 2006 in the inshore waters where artificial reefs were installed were -57.15dB, -60.38dB and -63.72dB, respectively. However, these results reveal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 school in the inshore waters of natural structures or artificial reefs.
4. The estimated values of target strength(TS) and fish length for anchovies recorded in the inshore waters of the artificial reefs were -58.12dB and 5.2cm, respectively.
5. Images from sidescan sonar for the artificial reefs partially buried under the seabed were recorded at 35° 06´.549N, 129° 08´.717E and 35° 06´.502N, 129° 08´.771E on 29 September, 2006.
Author(s)
오시진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인공어초 sidescan sonar 체적산란강도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412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285
Alternative Author(s)
Oh, Si J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수산물리학과
Advisor
이대재
Table Of Contents
서론 = 1
재료 및 방법 = 3
1. 조사 대상해역 = 3
2. 계측시스템의 구성 = 5
1)sidescan sonar에 의한 인공어초의 분포실태 조사 = 7
2)split beam echo sounder에 의한 어군의 분포밀도 측정 = 7
3. 어군의 체적산란강도 측정 = 9
결과 및 고찰 = 10
1. 인공어초 시설해역의 지형특성 = 10
2. 인공어초 시설해역에 대한 어군의 분포특성 = 12
1) 어군의 지리적 분포특성 = 12
2) 계절별 어군의 분포밀도의 변동특성 = 15
3) 인공어초 주변에서 탐지한 어군의 분포밀도 추정 = 17
3. 인공어초의 시설위치 및 침하상태에 대한 고찰 = 20
요약 = 23
감사의 글 = 25
참고문헌 = 2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산물리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