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불볼락의 식성과 산란생태
- Alternative Title
- Feeding Habits, Maturation and Spawning of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 Abstract
- 부산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불볼락의 식성과 산란생태 연구를 위해 부산 주변해역에서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채집된 불볼락의 위내용물, 간 그리고 생식소를 분석, 관찰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불볼락의 개체는 421개체 였으며, 13.8~31.8 cm SL 범위를 나타내었다.
불볼락은 전형적인 갑각류식자(crustacean feeder)였으며, 갑각류 중 새우류를 주로 섭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볼락은 새우류 중 둥근돗대기새우 (Leptochela sydniensis)를 주로 섭이하여 특정먹이생물을 선호하는 먹이습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우류 다음으로 난바다곤쟁이의 섭이가 높았으나 비교적 작은 크기의 불볼락에서 주로 섭이되었다. 그 밖에 어류, 두족류, 단각류, 곤쟁이류, 게류의 섭이가 있었으나 전체 위내용물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였다.
불볼락은 성장함에 따라 요각류, 단각류→난바다곤쟁이류→새우류로 두차례에 걸친 먹이전환을 하였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입크기가 크게 증가하였지만 먹이생물의 크기변화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고, 먹이생물의 섭취량을 늘리는 먹이습성을 나타내었다.
불볼락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GSI)의 변화는 1월부터 높아져 3월에 최대치를 보였고, 이후 6월까지 낮아진 뒤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수컷 또한 암컷과 유사한 GSI변화를 나타냈으나 그 시기가 암컷보다 1개월가량 빨랐다. 이러한 결과로 불볼락의 산란기는 1월에서 6월까지이며, 그 중 1월에서 2월까지 교미기, 3월에서 6월까지 알이 성장하고 부화하는 성장기 및 출산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동안의 암?수의 개체비는 1:1.08로 수컷이 약간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산란에 참여하는 암컷의 최소 크기는 16.1~17.0 cm SL 이었다. 50%의 군성숙은 20.1~21.0 cm SL에서 나타났으며, 22.0 cm SL이상에서 100%의 성숙이 나타났다.
불볼락의 난은 발생초기에 600 ㎛의 구형이었고, 1.35 mm까지 성숙되었다. 그 후 점차 좌우로 신장되어 타원형으로 1.75 mm까지 성숙되었으며, 난경 1.75 mm를 초과하는 난은 나타나지 않았다.
불볼락의 유생은 3월부터 어미 체내에서 3.3 mm 전후의 크기로 부화하기 시작하여 5 mm까지 성장하였다. 유생의 부화는 개체마다 1~2개월의 시기 차이를 나타내었다.
불볼락은 23,881~44,509개의 포란범위를 나타냈고, 평균 포란수는 30,937개였다. 체장별 포란수 관계식은 F = 9.3762 SL1.1662 (R2 = 0.812)로 나타났고, 체중별 포란수 관계식은 F = 184.37 Ln (BW) - 665.09 (R2 = 0.8713)로 나타나 불볼락은 체장과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포란수가 증가하였다.
Feeding haits, maturation and spawning of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were studied based on 421 specimens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5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The size of S. thompsoni ranged from 13.8 to 31.8 cm in standard length (SL).
S. thompsoni was a crustacean feeder which mainly consumed shrimps and euphausiid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amphipods, cephalopods and fishes. It showed distinct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14-17 cm SL) mainly preyed on euphausiids. However, individuals over 17 cm SL mainly preyed on shrimps.
The gonadosomatic index (GSI) of female increased from January and reached maximum value in March. The spawning seaon was from January to June. There was a significant similarity in sex ratio between females and males (χ2-test, P>0.01). The percentage of sexually mature females was over 50% for the size group between 20~21 cm SL. The size of eggs ranged from 0.6 to 1.75mm. The average size of hatching larvae was 3.3mm. Fecundity varied between 23,881 and 44,509.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 (F) and standard length (SL) of fish was expressed as; F = 9.3762 SL1.1662 (R2 = 0.812).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 (F) and body weight (BW) of fish was expressed as; F = 184.37 Ln (BW) - 665.09 (R2 = 0.8713).
- Author(s)
- 남기문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불볼락 식성 산란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41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287
- Alternative Author(s)
- Nam, Ki M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학과
- Advisor
- 문창호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표 목차 = III
그림 목차 = IV
I. 서론 = 1
II. 재료 및 방법 = 5
1. 식성 = 5
2. 산란 생태 = 6
III. 결과 = 9
1. 식성 = 9
1.1 위내용물의 조성 = 9
1.2 성장에 따른 먹이조성의 변화 = 14
2. 산란 생태 = 18
2.1 생식소중량지수, 간중량지수 및 비만도지수의 월별변화 = 18
2.2 성비 및 성숙도 = 18
2.3 난경 및 체내 유생의 크기 변화 = 24
2.4 포란수 = 24
IV. 고찰 = 30
1. 식성 = 30
2. 산란 생태 = 35
V. 요약 = 39
VI. 감사의 글 = 41
VII. 참고문헌 = 4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