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사형제도 폐지의 필요성과 정당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사형제도는 인간의 생명을 박탈하는 극단적인 형벌로서 형벌의 형사정책적 필요성과 형벌이론적 정당성을 가지지 못하고 더구나 사혀이규저을 헌법에도 합치하지 않는 위헌적 요소들을 상당수 포함하고 있으므로 즉시 폐지되는 것이 타당하다.
Author(s)
백성천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413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303
Department
대학원 법학과
Advisor
김선복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문제의 제기 = 1
2. 연구의 목적 = 4
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5
Ⅱ. 사형제도의 개관 = 8
1. 사형제도의 연혁 = 8
가. 종교적 관점에서 본 사형 = 8
(1) 기독교적 관점 = 8
(2) 불교적 관점 = 11
나. 고대 외국의 사형제도 = 14
(1) 이집트 = 14
(2) 바빌로니아 = 15
(3) 로마 = 16
다. 우리나라의 근대 이전의 사형제도 = 19
(1) 고조선과 부여 = 19
(2) 삼국시대 = 20
(3) 고려의 사형제도 = 22
(4) 조선의 사형제도 = 24
라. 현행 우리 실정법의 사형제도 = 26
(1) 현행 형법상의 사형제도 = 26
(2) 특별형법상의 사형제도 = 27
(3) 소결 = 29
2. 사형집행방식 및 변천과정 = 31
가. 근대 이전의 사형방식 = 33
(1) 유럽의 사형 = 33
(2) 우리나라 고대의 사형 = 35
나. 근대 이후의 사형방법 = 37
(1) 교수형 = 37
(2) 총살형 = 37
(3) 참수형 = 38
(4) 전기살 = 38
(5) 가스살 = 38
3. 사형폐지를 향한 국제사회의 노력 = 39
가. 사형폐지를 향한 국제적 합의과정 = 42
(1) 세계인권선언 = 42
(2)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 43
(3)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 = 45
(4) 기타 지역적 인권규약상의 사형폐지 = 47
나. 현재 각국의 사형제도 상황 = 50
(1) 사형을 존치하고 있는 나라 = 50
(2) 일반범죄에만 사형을 폐지한 나라 = 53
(3) 사실상 사형을 폐지한 나라 = 54
(4) 전면적으로 사형을 폐지한 나라 = 55
다. 우리나라 사형폐지운동의 전개 = 60
라. 소결 = 61
Ⅲ. 사형폐지의 형사정책적 필요성 = 64
1. 사형제도의 검증되지 않은 위하력 = 65
가. 사형존치론자의 주장 = 66
(1) 위하이론의 사상적 배경 = 66
(2) 사형존치론자의 논거 = 66
나. 사형의 위하효과 여부에 대한 검토 = 67
(1) 사형제도 유·무에 따른 범죄율 비교 = 67
(2) 범죄억지력의 검증을 위한 비교조사 = 71
다. 소결 = 73
(1) 사형은 중범죄에 대한 범죄억지력이 없다 = 73
(2) 확실한 형벌이 엄중한 형벌보다 위하력이 있다. = 74
(3) 사형제도의 확신범이나 신념범에 대한 부정적 효과 = 75
(4) 사형은 형벌의 보충적 규범성에 반한다 = 74
2. 오판의 가능성 = 76
3. 사형제도는 인도주의에 반한다 = 82
가. 서설 = 82
나. 사형집행에 따른 문제점 = 83
(1) 사형수에 대한 형벌 이외의 고통의 부과 = 83
(2) 피해자 가족에 대한 침해 = 84
(3) 사형을 집행하는 교도관의 고통 = 85
다. 소결 = 86
4. 사형제도에 존재하는 차별적 요소 = 87
5. 범죄피해자의 구제 = 91
6. 사형제도의 정치적 악용의 가능성 = 92
7. 범죄에 대한 사회의 연대책임 = 93
Ⅳ. 사형폐지의 형벌이론적 정당성 = 95
1. 응보적 형벌이론 = 96
가. 형식적 응보이론 = 96
(1) 의의 = 97
(2) 철학적 배경 = 97
(3) 사형제도에 대한 시각 = 98
나. 실질적 응보이론 = 98
(1) 의의 = 99
(2) 철학적 배경 = 99
(3) 사형제도에 대한 시각 = 100
(4) 형벌의 기능 = 100
다. 장·단점 = 101
(1) 장점 = 101
(2) 단점 = 101
2. 예방적 형벌이론 = 102
가. 소극적 일반예방이론 = 102
(1) 의의 = 102
(2) 철학적 배경 = 103
(3) 소극적 일반예방이론의 기능 = 103
(4) 장·단점 = 104
(5) 사형제도에 대한 시각 = 105
나. 특별예방이론 = 105
(1) 소극적 특별예방이론 = 105
(2) 적극적 특별예방이론 = 106
3. 적극적 일반예방이론 = 108
가. 의의 = 108
나. 내용 = 108
다. 사형제도에 대한 시각 = 110
4. 소결 = 110
Ⅴ. 사형제도의 위헌성 = 114
1. 서설 = 114
2. 외국의 판례 = 115
가. 미국 = 115
(1) Furman vs Georgia = 115
(2) Gregg v. Georgia 사건 = 119
(3) Coker v. Georgia 사건 = 120
(4) Lockett v. Ohio사건 = 121
(5) 소결 = 123
3. 일본 = 126
가. 최고재판소 1948년 3월 21일 대법정판결 = 126
나. 최고 재판소 1949년 8월 18일 대법정판결 = 127
다. 소결 = 127
4. 독일 = 130
5. 우리나라의 헌법과 사형제도 = 132
가. 헌법 제110조 4항의 해석 = 132
(1) 근거규정설 = 133
(2) 근거규정부인설 = 133
나. 인간의 존엄과 가치(헌법 제10조 1항) = 134
다. 생명권과 사형제도 = 136
(1)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 136
(2) 생명권의 제한 가능성 여부검토 = 137
라. 소결 = 139
Ⅵ. 결론 = 143
참고문헌 = 148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법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