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해운 전문계열 사범계 학과의 발전 방향
- Alternative Title
-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EACHER'S DEPART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THE FISHERIES AND SHIPPING BUSINESS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와 재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과 재학생의 의식에 관련된 변인들을 조사, 분석하여 수산·해운 전문계열 사범계 학과의 발전방향을 위한 기초 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 30명과 수산·해운 전문계열 사범계 학과 재학생(2002년도 70명, 2004년도 50명, 2006년도 70명)을 대상으로 반응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조사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사 직무수행능력은 성별, 전공별, 근무학교 형태별, 근무학교 소재지별로 구성하였으며, 재학생의 의식은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 학과 지원 형태에 대한 내용, 입학 후의 인식구조, 교육목표에 대한 내용별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별에 따라 백분율로 환산하였으며,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분산분석에 의한 F 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 05로 설정하여 SPSS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에 대한 사명감과 보람 및 가치를 추구하고 있으며, 다만, 남자교사가 여자교사에 비해 직무수행능력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동료교사의 인간관계 형성도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지도 능력은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특히 남자교사가 여자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생활지도 및 특별활동 지도능력은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남자교사와 여자교사의 유의한 차이가 있으므로 균둥한 참여 기회가 요구되어진다.
넷째, 연구 및 경영활동 능력은 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 분야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다섯째, 교원양성학과의 특성 때문에 복수전공, 부전공을 이수함으로써 학점이수에 부담감이 있으며, 졸업 후 취업에 대한 불안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생의 학과 지원에 가장 큰 영향은 학부모, 교사의 권유 등 여러 요인이 있으며, 학과 선택 시기는 입학원서 쓸 무렵에 가장 많이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ther background data of teachers and undergraduat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ies. This data will provide direction for developing teaching depart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the fisheries and shipping busines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variables related to teaching performance trends and the ability of undergraduates stude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opinions of thirty teachers and undergraduates within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fisheries and shipping business (2002, 2004, 2006, the number of responses 70, 50, 70, respectively). Also included were responses from teacher training depart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hich are referred to as preceding research.
The assessment of data was based on several criterions. Teaching performance consisted of sex, major field, type of school, and school location. Undergraduate assessment consisted of opinions of curriculum, application method for the course, cognition structure after entrance, and educational goals.
Analysis of each response resulted in different percentage ratings. Statistical analyses produced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onducted F verifications in compliance with an analysis of variance.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p <. 05 and SPSS10.0 program was used for all statistical analyse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continually seek goal achievement, rewarding jobs, and a feeling of self-worth. However, it was found that male teachers have stronger task performing ability and form stronge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tners than female teachers.
Second, it was shown that teachers have a much higher percentage of ability to teach. Particularly, male teachers are generally higher than female teacher.
Third, it was shown that teachers have a much higher percentage of ability to teach, but it is required that they both get equal participation opportunity as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mal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Fourthly, it was found teachers exhibited a lower percentage rate of ability to manage activities, and required further development of programs for expansion of professionalism of this field.
Furthermore, due to the requirements of teacher training departments, undergraduates seek alternative major and minors.
Lastly, there are other influential factors to be considered, specifically parent and teachers’ advice which greatly impact students applications for departments.
- Author(s)
- 이종호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수산 해운 전문계열 사범계학과 발전방향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414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316
- Alternative Author(s)
- Lee, Jong H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수산교육전공
- Advisor
- 김삼곤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10
3. 연구의 동향 = 11
Ⅱ. 이론적 배경 = 12
1. 사범계 대학 설치 배경의 역사적 추이 = 12
2.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 양성 현황 = 14
3. 수산·해운 전문계열 고등학교 현황 및 교사 현황 분석 = 19
4. 전문계열 사범계 학과에 대한 교원양성 교육 = 25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29
1. 연구의 방법 = 29
2. 설문지의 구성 = 29
3. 조사 대상 및 자료 분석 = 33
Ⅳ. 연구 결과의 분석 = 35
1.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 직무수행능력 분석 = 35
2. 수산·해운 전문계열 사범계 학과 재학생의 의식 분석 = 53
Ⅴ. 요약 및 결론 = 65
1. 요약 = 65
2. 결론 = 69
참고문헌 = 70
부록 = 7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수산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