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기의 적응에 있어서 이토록 중요한 사회적 유능 감을 우리의 실정에 맞게 우리고유의 놀이 형태인 전통놀이를 이용하여 유아기의 발육발달에 절실히 필요로 하는 신체활동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4.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 활동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유능감(사회적 활동성·안정성·협조성의 증가, 과민성의 감소)이 향상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위치한 S유치원의 만4세 학급 24명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동래구에 위치한 A유치원 만4세 24명의 원아를 통제집단으로 총 48명으로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교사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평가할 수 있도록 pease, clark 과 crase(1979) Iowa 사회적 능력척도 (Iowa Social Competency Scale : ISCS-Preschool Form)의 부모용 질문지의 문항을 변역하고 일부 수정하여 총 29문항으로 작성하여 사용한 양외점(1993)의 교사용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절차는 평가자 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전검사는 실험처치가 시작되기 전에 3집단의 유아들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실험처치의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발달과 흥미에 맞고 기본적인 활동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선정하는데 선행논문과 유치원 교육활동자료를 참고로 하였다. 그래서 선택된 전통놀이 활동은 씨름, 제기차기, 닭싸움, 줄넘기, 꼬마야 꼬마야, 줄다리기, 비석치기, 고싸움, 강강술래, 말타기, 술래잡기, 썰매타기, 고무줄놀이로 13가지의 활동을 신체의 활발한 움직임이 일어나도록 조금 변형하여 6주 동안 매주 2회씩 총 12회씩의 전통놀이를 이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교사 주도의 신체활동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측정한 결과 분석은 SPSS(ver. 12.0)을 이용하여 실험·통제 집단 간 평균차 검증(independent two-samples t-Test)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가설검증에서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통놀이를 이용한 신체활동 놀이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향상(사회적 활동성·안정성·협조성의 증가, 과민성의 감소)시킬 것이다’에 따라 실험처치 이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회적 활동성, 안정성, 협조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과민성에서는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아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 전통놀이를 이용한 신체활동이 활용되어 진다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증진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effects of traditional play 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social competence. To obtain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higher level of social activity than control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higher level of stability than control group. Third,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higher level of cooperation than control group. Fourth,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higher level of hypersensitiveness than control group. Forth eighty 4 year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Iowa Social Competency Scale(Preschool Form)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ocal competenc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study. Finally research qu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with comment 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uthor(s)
장현기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전통놀이 신체활동 사회적 유능감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420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388
Alternative Author(s)
Jang, Hyon-Ky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Advisor
이희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및 가설 = 3
3. 용어의 정의 = 4
4.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1. 사회적 유능감 = 6
2. 유아기의 신체활동 = 13
3. 사회적 유능감과 관련된 신체활동 프로그램 = 17
4. 전통놀이 = 19
Ⅲ. 연구방법 = 27
1. 실험설계 = 27
2. 피험자 표집 = 27
3. 측정도구 = 28
4. 연구 절차 = 29
5. 자료 분석 = 35
Ⅳ. 결과 해석 및 논의 = 37
1. 결과 = 37
2. 논의 = 47
Ⅴ. 요약 및 결론 = 50
1. 요약 = 50
2. 결론 및 제언 = 52
참고 문헌 = 53
부록 1 = 67
부록 2 = 7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