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의 서술식 교과평가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 Alternative Title
-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f Descriptive Subject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
- Abstract
- 본 연구는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서술식 교과 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에 따른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술식 교과평가의 평가목적 달성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서술식 교과평가의 평가기능 수행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부산광역시내에 소재하는 학교를 중심으로 교사 227명, 학부모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구체적 표집 대상은 지역교육청별로 ‘가□□급지 1개교, □□나□□급지 1개교, □□다□□,□□라□□급지 중 1개교, 총 15개교를 표집하여 저·중·고학년별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조사 도구는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서술식 교과평가에 대한 인식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관련된 참고문헌 및 선행 연구를 통하여 검정된 자료를 토대로 수정 보완하여 제작하고 설문 문항의 구성은 5점 척도 측정문항과 객관식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회수한 자료를 교사와 학부모 구분하고 5단계 척도에 응답하도록 작성하여 이를 비교 분석, 유의수준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서술식으로 기록하는 평가 방법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서 41.4%가 ‘대체로 좋지 않다’라는 반응을 보임으로써 현재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서술식 교과평가 방식은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서술식 교과평가에 대해 학부모의 인식도 교사와 거의 같은 맥락을 유지하였으나 실질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에 대한 견해는 43%가 ‘대체로 좋다’라는 반응을 보임으로써 기존의 서술식 교과평가의 기능을 묻는 문항에서 부정적으로 대답하였던 것과는 달리 서술식 교과평가 방법 자체는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부모 입장에서는 서술식 교과평가 방식을 현 상태로 유지시키되 그 적용 방법에 있어 보다 본질적인 기술식 평가의 기능을 잘 살릴 수 있도록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즉, 현재의 서술식 교과평가 방법에 대해 학교 현장 적용면에서 많은 개선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서술식 교과평가에 대하여서 교사들은 다소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학부모들의 인식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인식 결과로 보아 교사들의 부정적인 반응은 서술식 평가제도에 대한 문제라기보다는 평가 방법상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나, 학부모들은 서술식 평가 방법상의 문제가 아닌 평가 결과에 대한 문제로, 평가 내용이 정확한 정보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다하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교사의 서술식 교과평가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기 때문에 서술식 교과평가의 목적과 기능에 충실하게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것은 학부모에게 서술식 교과평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결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즉, 학부모들의 교과평가에 대한 인식은 구성주의 교육, 외국 등 다양한 교육장면 접촉 기회 확대, 성적보다 아동들의 소질계발의 관심 증폭 등으로 많이 달라지고 있음에도 교사들은 여전히 기존의 전통적인 시각에서 서술식 평가를 해 옴으로써 학부모에게 오히려 서술식 교과평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는 것이다.
학부모들은 이전처럼 경쟁적이고 지식 중심의 학습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현저하게 줄고 있으며 서술식 교과평가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현재의 서술방식에 대해 많은 불만을 표출하고 만족도가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교사들이 이러한 학부모의 요구를 충분히 이해하고 수렴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서술식 교과평가 진술 방법과 적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부모들의 기대와 요구를 충족하는 서술식 교과평가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teachers and parents place on description methods of subject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s. Two research questions are the focus of this paper. First, what are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parents on achieving objectives of subject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 Second, what are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parents on continuing function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s?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est was used. Approximately six hundred copies were distributed to 307 elementary school parents and to 227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ving in Busan. The remaining copies were discounted as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WIN 12.0, the data was processed, analyzed using data percentage and t t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arent recognition of the achievements objectives of the description method of subject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overall negative. Supporting this is the teacher’s recognition of achieving objectives of descriptive method of subject evaluations, which is also negative.
Second, parent recognition of performing function of description method of subject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average. It is meaning for parents to be not positive. With these result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performing function of description method subject evaluation in elementary is moderately positive.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eachers’ attitudes or approach to description method subject evaluation is negative.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of misconduct and misleading description of method subject evaluations by teachers, resulting in a greater possibility for parents to have confusion about description method subject evaluation. Therefore, if teachers correctly conduct the method and principles of description method subject evaluation, the recognition of description method subject evaluation will be positive. Teachers must study and explore description method subject evaluation and provide correct and high-quality information to parents.
- Author(s)
- 김기원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서술식 교과평가 평가목적 달성도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평가기능 수행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422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419
- Alternative Author(s)
- Kim, Gi Wo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 Advisor
- 장한기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1. 교육평가의 개념 = 5
2. 교육평가의 목적과 성격 = 7
3. 교육평가의 기능 = 8
4. 교육평가의 유형 = 11
5. 평가의 요건 = 11
6. 교육과정의 평가와 관리 = 13
7. 현행 서술식 교과평가 = 15
8. 초등학교 교과평가 = 17
Ⅲ. 연구의 방법 = 21
Ⅳ. 연구 결과 = 26
1. 서술식 교과평가의 평가목적 달성도에 대한 인식 = 26
2. 서술식 교과평가의 평가기능 수행도에 대한 인식 = 41
Ⅴ. 요약 및 결론 = 55
참고문헌 = 60
부록 = 6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