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이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현재완료 학습에 미치는 효과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S OF FOCUS-ON-FORM INSTRUCTION ON KOREAN HIGH SCHOOL LEARNERS' LEARNING OF ENGLISH PRESENT PERFECT
- Abstract
- 제 2 언어 습득 및 외국어 학습에 있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과 그 효과는 계속해서 논의되어 왔다. 한 때 언어의 의미와 기능을 중시하는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이 강조되면서 문법 교육의 위상이 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외국어로 영어를 학습하는 상황에서도 의미중심 접근법이 적합한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 중에 학습자들이 언어형태에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접근법의 효과가 입증되면서 언어형태에 대한 관심과 지도의 필요성이 다시 높아졌다. 현재 언어 습득에 있어서 문법의 필요성은 대부분이 인정하고 있으나, 다양한 문법 교수·학습 중 어떠한 방법이 보다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문법 지도에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의 세 가지 수업모형을 현재완료 학습에 적용하였다. 세 수업모형들이 목표 문법 항목의 학습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세 반의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는데, 간단한 규칙설명 후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을 실시하는 집단, 자세한 규칙설명과 통제활동 후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을 실시하는 집단, 그리고 마지막으로 명시적인 규칙 설명 없이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만을 실시하는 실험집단이다. 이들 실험집단과 함께 통제집단은 사전능력 검증을 위한 사전시험을 치루고, 실험수업 후에는 각각의 수업 모형이 학습자들의 목표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사후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완료에 대한 어떠한 학습도 일어나지 않은 통제집단과 세 실험집단들 사이에는 유의수준 0.05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의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수업한 세 실험집단들이 모두 학습자들의 현재완료 학습에 유의미한 정도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지는 않았다.
둘째, 비록 통제집단과 실험집단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각 실험집단 내의 사전·1차 사후시험의 성취도를 비교하면 어느 정도의 교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간단한 규칙설명 후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을 한 실험집단은 실험집단 중 향상 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세한 규칙설명과 통제활동 후에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만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순으로 그 향상 정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들이 읽기, 말하기, 쓰기 활동을 통해 목표 문법 규칙을 스스로 발견하는 것과 함께 교사의 명시적인 설명이 추가 제공되었을 때, 보다 나은 학습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문법 규칙을 간단히 설명한 집단이 향상 정도가 더 높은 것을 볼 때, 교사에 의한 지나치게 자세한 문법 규칙의 설명은 오히려 학습자들이 학습하는 데 내적 동기를 낮추거나 위압감을 줄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셋째, 실험 후 2달 뒤에 실시한 2차 사후시험 검사를 통해 명시적인 규칙설명 없이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만을 제공한 실험집단 C를 제외한 실험집단 A, B의 학습 효과가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영어 학습 상황에서는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과 함께 명시적인 규칙 설명이 수반될 때, 그 학습효과가 오래 지속됨을 알 수 있다. 반면 통제집단의 2차 사후시험 점수의 향상은 실험의 결과가 아닌, 시간 경과에 따른 자연 성숙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은 언어의 의미와 형태를 통합하여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교실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사는 수업을 설계할 때, 간단한 규칙 설명과 함께 다양한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들을 학습자들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의 결과를 전체 영어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또한 목표언어 항목이 현재완료에 국한된다. 따라서 여러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의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본다면, 교육적으로 더 바람직한 문법 교육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s some defective aspects of the communicative approach were revealed, a new perspective of the role of teaching grammar has emerged. Although there is a general consensus that focus-on-form instruction can play a crucial role in the acquisition of target structures, nevertheless, the issue of how to teach grammar in second language learning has not yet been resolv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corporating three focus-on-form instruction models in Korean EFL high school classes on the learning of English present perfect. To this end, four intact classes (N=147) at a high school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All the groups were asked to take a pretest, an immediate posttest, and a delayed posttest. Each experimental group received different focus-on-form instructions proposed by Doughty and Williams(1998) for five 25-minute-long treatment sessions.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received brief rule explanations and then engaged in focus-on-form activities, while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received detailed rule explanations, followed by controlled activities and focus-on-form activities. Lastly, the third experimental group had only focus-on-form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four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ir scores on the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s. However, each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tatistically higher scores on the two posttests than on the pretests. Furthermore,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al group were found to maintain their learning on the delayed posttest. Thes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focus-on-form instructions can be effectively employed in Korean EFL classes, and that learners may benefit from explicit rule explanations along with focus-on-form activities.
- Author(s)
- 이현정
- Issued Date
- 2008
- Awarded Date
- 2008.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영어 문법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 문법 교육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427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474
- Alternative Author(s)
- Lee, Hyun Ju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 Advisor
- 조윤경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2.1 2.1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focusonform) = 4
2.2 선행연구 = 13
Ⅲ. 연구 방법 = 18
3.1 연구의 대상 = 18
3.2 연구의 도구 = 18
3.3 연구의 절차와 내용 = 21
3.4 자료 분석 방법 = 2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7
4.1 기술통계 = 27
4.2 사전 동질성 검증 = 28
4.3 사후시험 점수 비교 = 28
4.4 집단 내 성취도 향상 검증 = 30
Ⅴ. 결론 및 제언 = 38
참고문헌 = 41
부록 = 4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