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Difficult English Pronunciations to Acquire for Korean Learners and Suggestion How to Teach Them at Middle School
- Alternative Title
- 한국인 학습자가 EFL 환경에서 습득하기 어려운 영어 발음에 관한 연구
- Abstract
- 현재 우리 학생들과 교사들은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 교수-학습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 교수-학습 경향은 이전의 정확성을 중시했던 문법 중심의 교수나 유창성만을 중시했던 교수법과는 다르게 언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모두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학생들이 언어를 정확하게 듣거나 읽어서 인지하는 것 뿐 만 아니라 본인의 의사를 제대로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학습자들이 왜곡되지 않은 명확한 의사를 전달하기 위하여 꽤 정확한 발음을 구사하여야 하고, 교사들은 수업을 고안할 때 그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구상하여야 한다.
아직은 학교라는 틀 속에서 학습하고 있는 학생들이 미래가 된다면 어떤 사람들과 영어로 대화를 할까? 아마 영어권이 아닌 다른 나라로 여행을 갈 것이고, 출장을 가게 될 수도 있다. 또는 가깝게 현재 다니는 학교를 졸업 후 외국에 있는 학교로 진학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때에 우리 학생들은 영어 원어민과 이야기를 할 경우 보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다른 외국인들과 이야기 할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이렇게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인들과 영어로 대화를 할 때, 발음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원어민은 대화 담화자가 이국적인 억양이나 발음으로 말을 하더라도 타고난 언어에 대한 감각과 추리로 그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 학생들이 미래에 주로 영어로 대화를 하게 될 것인 비원어민 외국인들은 원어민들이 가진 타고난 능력이 없을 경우가 더 많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이 실수이던지 습관이던지 오류로 발화하는 정확하지 못한 발음이 의사소통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학교 영어교육은 EFL(English as Foreign Language)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받게 되는 많은 언어 입력들은 교사들에 의해서 주어지는 다소 인위적인 형태일 경우가 많다. 영어권 국가에서 만들어진 영상물이나 듣기 자료 등을 활용한다 하더라도 ESL(English as Second Language)환경에서의 만큼의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언어 입력을 얻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교육현장에서 주어지는 발음에 대한 자극들은 정확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장에 있는 많은 교사나 미래에 교사가 될 많은 학생들 중에서 일정 시간에 배정된 발음 교육에 대하여 회의적이거나 전혀 생각을 해보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혹은 고려는 해 봤지만 무엇을 가르쳐야 할 지 모르는 사람도 많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한국인 학습자들, 특히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리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우선, 기존의 연구들을 통하여 한국인 학습자들이 어떠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 이후, 학생들이 범하기 쉬운 발음에 관한 실수 중에서 그 시급한 정도를 중함과 경함으로 나누고, 각각 the major problem과 the minor problem이라 명하였다. 현장에서 수업을 구성할 때, 다른 교수 내용과의 시간 분배를 고려한 뒤, 우선적으로 중한 문제를 먼저 수업에서 다룬 후, 그 이후에도 배당할 수 있는 시간이 있는 경우나 수준별 수업의 상위 학생들에게는 의사소통을 막는 정도가 경미한 문제들까지 다루면 될 것이다.
목록에서 제공 되어진 문제들을 수업에서 다루기 위한 과업과 활동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 중 몇 가지 도움이 될 만한 것을 소개하고 있다. 교사는 영어에 막 입문한 학생들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한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활동들을 직접 활용하거나 본인의 수업에 적합한 형태로 응용하여 적용하면 좋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루어지고 있지 않으나, 향후 다른 연구에서 다루어 질 수 있는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째, 앞에서 제공된 발음의 리스트들이 실제 현장에서 학생들의 문제와 얼마나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리스트의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에 비하여 얼마나 더 빈번히 발생하는지와 그 이유에 관한 조사도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제시된 활동과 과업들이 실제로 얼마나 현장에서 잘 적용되어지고 활용되어지는지를 볼 수 있을 것이고, 실제 수업을 해 본 후 교사와 학생들의 선호도도 알아 볼 수 있다.
- Author(s)
- 김아름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영어발음교육 EFL환경 영어발음 지도목록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881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880
- Alternative Author(s)
- Kim, Areum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 Advisor
- Stonham, John
-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1
1.1. Why should correct pronunciation be taught? 1
1.2. Where are learners expected to use English? 2
1.3. Which one should be taught first? 4
Ⅱ. Background 5
2.1. Literature review on Contrastive Analysis 5
2.2 The charts of Korean and English consonants and vowels 9
2.3. The Hierarchy of Difficulty 12
2.3.1. Level 5 : Split 15
2.3.2. Level 4 : Overdifferentiation 17
2.3.3. Level 3 : Reinterpretation 18
2.3.4. Level 2 : Underdifferentiation 21
2.3.5. Level 1 : Coalescence 21
2.3.6. Level 0 : Positive Transfer 23
Ⅲ. A List of Problems 24
3.1. Two elements in English, but only one in Korean 26
3.1.1. Korean /ㄹ/ and English [?] and [l] 26
3.2. Simplifying two vowels of English to one of Korean 29
3.3. No such sound in Korean 33
3.4. Reducing onset clusters to simple consonant sounds 36
3.5. Vowel epenthesis 37
3.6. Similar to Korean language, but pronounced in a different way 39
Ⅳ. Suggestion How to Teach in Middle School in Korea 41
Ⅴ. Conclusion 45
References 5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