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기법을 이용한 Fast Track 건설공사의 VE 수행방안
- Alternative Title
- Improvement of VE Process by Using Design Review Technique in Fast Track Project
- Abstract
- 건설공사는 사업이 시급성을 요하거나 공기가 부족하여 사업기간의 단축을 필요로 경우 설계계약시공이 일정시간 오버랩(Overlap)되어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설계시공병행기법(Fast Track)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Fast Track이 적용된 건설공사의 경우 VE활동은 시간적․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형식적인 VE 수행으로 치우쳐질 수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VE 수행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ast Track으로 진행되는 건설공사에서 VE 수행을 위해 “기본설계와 실시설계 도서를 검토하여 설계의 적용 공법이나 시스템의 적정성 등의 확인을 통하여 설계의 전반적인 품질 및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업무”를 실시하는 DR기법을 이용한 VE 추진철자 및 설계단계별 DR업무 등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개선안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DR을 실시한 초고층 사례를 바탕으로 DR기법을 이용한 VE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행 VE 적용의 어려움의 해소 및 원가절감, 품질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다양한 건설사업 발주방식으로 계약되어 Fast Track을 적용한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DR기법을 이용한 VE 추진절차 및 설계단계별 DR업무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한다면 Fast Track을 적용한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VE 수행에 이바지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As to construction works, if a construction project is a matter of urgency or the period of project needs to be shortened due to tight term of construction works, we can apply so-called “Fast Track” which is characterized by an overlapped combination of planning, contract and execution in parallel with one another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However, the construction works based on this Fast Track may be exposed to a risk of formal VE activities performance due to limited time and space. That is wh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y better ways to perform VE activities effectively.
Thus, as a part of efforts to perform VE activities in the construction works based on Fast Track, this study suggested possible procedures of VE activity promotion by means of DR technique and proposed possible DR works at each planning step with a view to “examining preliminary and working drawings and checking applied methods for planning or reasonableness of system before carrying out works to improve overall quality and perfection of planning.” In order to demonstrate possible applicability of proposed improvement, VE activities by means of DR technique were performed on the basis of skyscraper construction cases using DR technique.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demonstrate positive effects of VE activities in shooting troubles with application of current VE activities as well as saving costs and improving quality.
Conclusively, if follow-up studies continue to investigate VE promotion procedures by means of DR technique and DR works at each planning step, as proposed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applied cases of Fast Track according to contracts based on various ordering systems of construction project, it is expected that their findings will contribute to performing VE activities across a variety of construction projects by means of Fast Track
- Author(s)
- 이상화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설계시공병행방식(Fast Track) Design Review(설계검토) Value Engineering(VE)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884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500
- Alternative Author(s)
- Lee Sang Hwa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 Department
-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dvisor
- 김수용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1.3 기존 연구 현황 3
제2장 이론적 고찰
2.1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VE) 7
2.2 설계시공병행방식 17
2.3 건설사업 발주방식 및 CM 21
제3장 DR기법을 이용한 Fast Track 건설공사의 VE 수행방안
3.1 Fast Track에서 현행 VE 적용 문제점 29
3.2 설계검토(Design Review)의 개념 31
3.3 DR기법을 이용한 VE 수행방안 33
3.4 DR 협업체계 37
3.5 DR 보고서 39
제4장 DR기법을 이용한 VE 적용사례 연구
4.1 Fast Track에 의한 사업관리 40
4.2 설계관리와 DR 46
4.3 단계별 VE의 실시 48
4.4 소결 52
제5장 결론 53
참고문헌 5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