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기반의 매시업을 통한 실시간 재해정보 추출 및 표현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f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Extraction and Displayusing the Mash-up based on SNS : using the Twitter API and Google map API
- Abstract
- There are many disaster that people can not predict, and the important to spread information about disaster on the site is increasing. therefore, in this thesis, I analyzed social network service for disaster information system and pointed the problem that SNS is used only information notification.
The end result is fastest disaster information gathering and spreading using short message on twitter. Especially I studied methods to find disaster tweets from a lot of messages on twitter. In addition, I implementation mash-up system that can get disaster information using Twitter API and display on the map using Google map API.
This mash-up system is difference with other application that people have to report disaster information using dedicated software. eventually, this study is not only propagation disaster conditions but information collection used crowd-sourcing on social network service.
- Author(s)
- 서태웅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트위터(Twitter)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방재(Disaster Prevention) 매시업(Mashup)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889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561
- Alternative Author(s)
- Seo, Tae Woo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IT융합응용공학과
- Advisor
- 김창수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1.2 연구 목표 3
2. 관련연구 5
2.1 전자 재해지도 5
2.1.1 재난과 재해 5
2.1.2 전자 재해지도의 연구 동향 및 활용 6
2.2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현황 및 활용 분야 7
2.2.1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개념 7
2.2.2 트위터(Twitter) 8
2.2.3 한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10
2.2.4 매시업 활용 11
2.2.5 크라우드소싱 11
2.3 재난상황에서 소셜미디어의 활용 사례 12
2.3.1 국내 12
2.3.1.1 소방방재청 CBS 재난 문자 방송 12
2.3.1.2 Daum 폭우피해지도 13
2.3.1.3 서울시 종합방재센터의 트위터 활용 15
2.3.2 국외 15
2.3.2.1 호주의 ‘이머전시 2.0 오스트레일리아’ 16
2.3.2.2 미국의 재난 상황의 소셜미디어 활용 17
3. SNS의 재해정보 추출에 관한 연구 19
3.1 트윗 검색을 위한 연구 방법 20
3.1.1 자연어처리 21
3.1.2 온톨로지 분류 22
3.1.3 룰베이스 23
3.2 재해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재해정보 추출 23
3.2.1 재해분류에 따른 도시침수 관련 재해 용어 24
3.2.2 재해 트윗 분석을 통한 빈출 용어 선정 28
3.2.3 재해와 무관한 제외규칙어 선정 30
3.3 트위터 사용자의 특성을 이용한 재해정보 추출 40
3.3.1 트위터 유력자를 이용한 재해 정보 추출 41
3.3.2 유용한 계정의 리스트 구동 44
3.3.3 리트윗 특성을 이용한 중요도 평가 45
3.4 상황별 재해정보 검색 절차 46
4. 트위터API를 이용한 재해정보 수집 구현 49
4.1 데이터베이스 설계 49
4.1.1 재해 관련 테이블 50
4.1.2 트윗(글) 관련 테이블 51
4.1.3 트위터 사용자 관련 테이블 51
4.2 구현 52
4.2.1 구현 환경 52
4.2.2 인증 API 53
4.2.3 트윗 추출 API 54
4.2.4 구글 API를 이용한 재해 위치 표출 56
4.2.5 구현 화면 58
4.3 활용 시나리오 60
4.4 기존 연구와의 비교 분석 64
4.4.1 기능 비교 64
4.4.2 성능 비교 66
5. 결론 69
5.1 고찰 및 활용 69
5.2 추후 연구 71
5.2.1 중복 위치 정보 처리 71
5.2.2 한국어의 형태소 분리 문제 72
< 참 고 문 헌 > 7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IT융합응용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