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VARIATIONS OF SEA LEVE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NORTHEAST ASIAN WATERS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해수온도의 상승, 해수면의 증가, 어장 변화에 따른 어류의 이동과 해양생태계의 변화 등 해양환경의 변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온실효과에 따른 해수면의 상승과 해수면 온도의 증가로 산업, 경제, 생태계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북동아시아 해역에서의 해수면 온도 및 해수면 변화의 장기 변동과 추세를 알기 위하여 현장 관측 자료와 위성자료를 함께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해역은 일본기상청의 해역구분도를 기준으로 YS(Yellow Sea), NECS(Northern East China Sea), SECS(Southern East China Sea), SSTA(Southern part off the coast of Shikoku & Tokai Area), NSTA(Northern part off the coast of Shikoku & Tokai Area), SES(Southern East Sea) 그리고 CES(Central East Sea)의 7개의 해역으로 구분하였다.
NOAA/AVHRR 해수면 온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 해역에 걸쳐 여름에 상승률이 크게 나타났으며 해역별로는 대륙의 근처 해역에서 변화가 크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연구 해역의 특성상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고 대륙의 근처에서 열교환이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으로 보인다. EOF의 분석결과 계절주기를 나타내는 mode 1에서 97%이상의 분산 값을 보이며 해수면 온도는 계절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면의 경우에는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동중국해와 일본의 남쪽 해역에서는 연중 높은 값을 보였으며 한반도의 경우 울릉도 부근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warm eddy로 인해 주변 해역에 비해 연중 해수면의 변동 폭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RMS를 통해 분석해 본 결과 한반도의 서해안과 중국의 동쪽 연안에서는 낮은 수심과 큰 조석차로 인해 모든 계절에 걸쳐 높은 변화 값을 나타냈다. EOF의 분석 결과 해수면은 계절적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고 두 번째로 해류의 영향으로 일본의 북쪽 해역에서 쓰시마 난류와 북한해류에 의해 해류의 변화가 발생하여 해수면 변동에도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면 온도와 해수면의 장기 관측 자료의 시계열 분석과 조화분해의 연 위상을 비교해 본 결과 해수면 온도와 해수면은 공간적으로 비슷한 형태의 변화분포를 보이지만 시기적으로는 해수면 온도의 최댓값이 발생한 후 1~2개월 정도 후에 해수면의 최고점을 기록한 것으로 보아, 해수면 온도가 1~2개월 정도의 시간차(Time lag)를 두고 해수면을 상승시키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uthor(s)
오승열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Sea level Sea Surface Temperature Interannual vari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위성정보과학전공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891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623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위성정보과학전공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Advisor
윤홍주
Table Of Contents
CONTENTS ⅰ
LIST OF FIGURES ⅱ
LIST OF TABLES ⅴ
ABSTRACT ⅵ
1. INTRODUCTION 1
2. DATA and METHODOLOGY 4
2.1. data and study area 4
2.2. methodology 6
3. RESULT and ANALYSIS 10
3.1. SST analysis 10
3.2. SLA analysis 34
3.3. comparison of SLA and SST 56
4. Conclusions 60
5. REFERENCE 6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