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조직간 미션일체감과 직무특성이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감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터영성의 매개효과
- Alternative Title
- The Influence of Person-Organization Mission Congruency and Job Characteristics on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itizenship Behavior: Mediation Effects of Workplace Spirituality
- Abstract
- 삶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행복에의 추구는 인간의 본질적인 모습으로, 인생의 상당부분을 직장에서 보내야 하는 현대인이 일과 직장에서 행복을 찾고 자아완성을 이루려는 욕구가 커지면서 일터에서의 영성(workplace spirituality)이 중요한 주제로 대두되고 있다.
영성은 개인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이 맡은 일과 몸담고 있는 공동체 안에서도 영성을 체험하게 됨으로써 개인의 직장생활의 질(Quality of Working Life)과 조직의 성과와 관련하여 생각하게 되었다. 기업내외의 환경변화와 종업원의 일에 대한 의미추구 욕구가 커지고 있고, 또 영성이 기업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여 줄 것이라는 기대와 이를 지지해주는 실증적 결과는 기업의 이익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많은 경영자들이 영성에 관심을 갖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개인의 영성은 외부적인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그 환경요인에 따라 형성되고, 어떠한 요인에 의해 더욱 촉진 또는 증진될 수 있다. 따라서 영성이 발현되어질 수 있는 선행요인을 찾으려는 시도는 큰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이 지각하는 일터영성의 형성 및 증진에 기여하는 선행변수 및 그 결과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으로, 개인-조직간 미션일체감과 직무특성이 일터영성을 매개로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감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및 일반 기업체 종사자들로부터의 설문지 339부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과 일반기업체 종사자들의 표본을 비교ㆍ분석하였다.
결과는 개인-조직간 미션 일체감의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의 자율성이 높을수록 일터영성이 높아지고,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터영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개인-조직간 미션일체감은 일터영성을 매개로 하지 않더라도 심리적 안녕감과 조직시민행동에 높은 유의적 관계를 보이는데,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조직이 지향하는 가치와 자신의 가치의 일치 및 일체감의 형성은 조직과 개인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회복지 종사자들과 일반 기업체 종사자들의 표본을 공통된 요인을 통해 별도의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터영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일터영성의 공동체의식, 의미로운 일, 내면적 세계의 추구 중 어느 요소가 일상 행동에 내재적 영적 동기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구성원이 일터영성을 지각하는데 개인-조직간 미션일체감의 중요성과 미션일체감을 높이기 위해 개인과 조직 모두의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었으며, 개인이 자신의 맡은 일과 일터에서 지각하는 영성이 어떤 내적인 차원을 통해 작동하는지에 대한 작은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 Author(s)
- 김혜영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workplace spirituality 일터영성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89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762
- Alternative Author(s)
- Kim, Hye Young
- Department
- 대학원 경영학과
- Advisor
- 김영조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4
제 2장 이론적 배경 5
제 1 절 영성과 일터영성 5
가. 영성의 개념 5
(1) 영(spirit) 5
(2) 영성(spirituality) 6
(3) 영성의 차원 및 주요속성 7
(4) 종교와 영성 8
나. 일터 영성 10
(1) 일과 일터영성 10
(2) 일터영성의 개념 및 차원 12
(3) 일터영성의 선행연구 16
제 2 절 일터영성의 선행변수 18
가. 개인-조직간 미션 일체감 18
나. 직무특성 23
제 3 절 일터영성의 결과 28
가. 심리적 안녕감 28
나. 조직시민행동 32
제 3 장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7
제 1 절 연구모형 37
제 2 절 가설설정 38
가. 개인-조직간 미션 일체감과 일터영성의 관계 38
나. 직무특성과 일터영성의 관계 39
다. 일터영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40
라.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40
마. 일터영성의 매개효과 41
제 4 장 연구방법 43
제 1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43
가. 일터영성 43
나. 개인-조직간 미션 일체감 45
다. 직무특성 46
라. 심리적 안녕감 48
마. 조직시민행동 49
제 2 절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51
가. 조사설계 및 자료수집 51
나. 설문지의 구성 51
다. 분석 방법 52
제 5 장 실증분석 53
제 1 절 표본의 특성 53
제 2 절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58
가.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성 58
나. 변수 간 상관관계 63
다. 표본별 일터영성에 대한 평균차이 검정 65
제 3 절 가설검증 66
제 6장 결 론 82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82
제 2 절 시사점 및 한계점 84
가. 시사점 84
나.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85
참고문헌 87
Abstract 92
설문지 9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경영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