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소설 작품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Feminine Writing of work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high School : - Through the review of 『Turbid Waters』,『Naked Tree』
- Abstract
- 우리나라는 확고한 유교적 전통으로 인해 남존여비 사상이나 가부장제도 아래 여성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소홀하였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여성의 교육수준이 향상되고, 사회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여성에 대한 권한이나 인식이 많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UN개발계획(UNDP)의 여성권한 지수(Gender Empowerment Measure)에서 2001년 61개국 중 61위이라는 매우 낮은 순위를 받아 남녀 균등하게 교육이 개방되어 있지만 사회 진출이나 권한의 배분에 있어서는 불균형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교육에서 양성 평등 교육이 적극적으로 실행되어 사회통념이 바뀌어져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어교과서의 현대소설을 페미니즘 시각에서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국어과 교육의 양성 평등 교육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가치관 정립을 통한 자아 형성을 위해 사회적 갈등을 이해, 비판할 수 있는 고등학생들의 국어교과서 중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양성 평등 교육의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Ⅱ장에서는 양성 평등 교육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우리나라 문학의 페미니즘 흐름과 페미니즘 비평 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대표적인 교수-학습자료인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재의 교과서가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문제점을 수정,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또한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 중 페미니즘 비평 방법 중 하나인 ‘여성적 글쓰기’를 바탕으로 남성작가의 여성적 글쓰기의 작품으로 채만식의『탁류』를, 여성작가의 여성적 글쓰기 작품으로는 박완서의 『나목』을 분석해 보았다. 두 작품을 살펴본 결과, 『탁류』에서는 근대
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희생양 강요와 가부장제 제도의 모순을 폭로하고 여성 주인공인 ‘초
봉’과 대립하는 대안적 인물을 제시하여 성숙하는 여성의 문제에 접근하고 있었다. 『나목』에서는 작가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적 글쓰기를 통해 모성과의 단절 속에서 여 주인공이 자신을 회복하려는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고백의 언어, 광기의 언어, 육체의 언어, 독백의 언어와 같은 언어층위를 통해 여성으로써 자신의 존재와 경험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문학교육의 목표와 페미니즘 소설 교육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 페미니즘 문학을 소설교육에 활용 이를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여성 교육의 입장에서 접근해보면 페미니즘 소설은 여성의 주체적인 자아 형성을 위한 훌륭한 교육 제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페미니즘 소설 교육은 여성 의식을 다룬 작가의 작품을 통해 진정한 여성성이 무엇이며 여성의 정체성 형성과정의 특수성은 무엇인지 대해 고찰해보는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습자들은 문학작품의 페미니즘적 읽기를 통해 성차별적 이데올로기에 대해 분석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올바른 성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성차별적 문제점을 밝히고 페미니즘 소설을 분석함으로써 여성의 자아 주체성 확립과 바람직한 양성 교육을 위한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가 미약하나마 양성평등 의식 신장을 위한 국어과 수업 방향에 도움이 되었기를 기대한다.
- Author(s)
- 손세진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국어교과서 페미니즘 여성적글쓰기 나목 탁류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892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701
- Alternative Author(s)
- Son, Se Ji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 Advisor
- 송명희
-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연구의 필요성
1. 연구의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Ⅱ. 페미니즘 비평의 흐름과 이론적 기초
1. 한국 문학과 페미니즘 비평의 흐름
2. 페미니즘 비평의 이론적 기초
가. 여성이미지 비평
나. 여성작가 비평
다. 여성적 글쓰기
Ⅲ. 여성적 글쓰기와 문학교육
1.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교과서 분석
2. 채만식의 『탁류』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
가. 가부장제 사회의 희생양 강요와 모순 폭로
나. 대안적 여성 제시
3. 박완서의 『나목』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
가. 모녀의 단절 속에 나타난 자기회복 의지
나. 언어를 통한 자신의 존재와 경험 표현
Ⅳ. 페미니즘 소설의 문학 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